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오웬의 칭의론에 관한 개혁주의적 고찰

        윤종훈 ( Jong Hun Yo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4 성경과신학 Vol.72 No.-

        존 오웬과 리차드 박스터는 17세기 잉글란드 청교도를 대표하는 위대한 지도자들이었다. 17세기 잉글란드의 사회경제적 상황은 너무 열악하였으며 각종 혁명과 반혁명의 교차가 일어났던 시대였다. 이러한 정황 속에서 존 오웬과 박스터의 칭의론 논쟁은 잉글란드 칭의론의 핵심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이 두 사람의 칭의론은 상당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었다. 1647년 존 오웬의작품이 출현되자 리차드 박스터의 반박적인 출판물로 인하여 17세기의 칭의론 논쟁은 당대 가장 큰 주제였다. 이 두 사람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이신칭의의 형상인에 관한 문제였다. 오웬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보혈의 능력을통하여 선택받은 죄인이 무조건적으로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를 통해 의인화되었음을 강조한 반면에, 박스터는 믿음을 가진 개인(Believing Individual)의신앙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의로 인하여 의의 전가를 이루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오웬은 진정한 의의 전가는 내 안에 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낮선 의가 전가됨을 의미함을 강조하였다. 오웬은 ex justitiapropter relationem naturalem, ex voluntaria, ex injuria, ex mera gratia 등 네 가지범주로 그의 의의 전가론을 논증하였다. 특히 오웬은 칭의론의 형상인이 되는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의 배경은 선택된 죄인과 그리스도와의 신비적인유기적 연합과 하나님께 대한 보증인으로서의 그리스도 사역임을 강조하였다 오웬의 칭의론의 핵심적 . 요소 중 하나는 그리스도의 진정성으로서 새 언약의 보증인이라는 사상이었다. 오웬은 박스터와는 달리 새 언약의 공적 원인은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의 희생적 죽음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지와 은혜에 달려 있음을 강조하였다. 오웬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으심은 새 언약에 대한 알선 및주선이 아니라, 확증이며 비준이었고 언약의 은혜가 신자에게 효과적으로적용됨을 의미하였다. 만일 그리스도 십자가 사건이 새 언약의 유일한 알선이라면 어느 누구도 구원을 이룰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존 오웬의 칭의론은 전통적인 개혁주의 신학의 초석을 이루었으며 존 칼빈을 위시한 칼빈주의 신학자들의 칭의론 선상에 굳게 자리 잡고있었다. 제임스 패커의 주장처럼, 갈보리 사건은 구원의 가능성이나 알선 및주선이 아니라 구원의 발생이며 성취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an argument between the two representative puritans in 17th century in England, John Owen and Richard Baxter, including John Owen` understanding on the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To further examine Owen`s theory of the Justification, the concept and formal cause of Justification, the ground of imputation, the mystic union with Christ and Christ`s suretyship for His people were considered by analysis work for Owen`s literary work title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In Baxter`s thought of Justification, man`s evangelical faith is given as the primary role and this faith is the formal cause of Justification based on the covenant purchased by Christ`s legal righteousness. But Owen emphasizes that Christ`s righteousness is the only cause of Justification. Owen`s idea of Justification is supremely centered on Christ`s righteousness, which is based on Scripture. Contrary to Baxter`s theory, Owen insists that the imputation is not our own antecedently, but is solely “ex mera gratia”. Owen classifies what is not our own antecedent to that imputation in four categories: ex justitia propter relationem naturalem, ex voluntaria, ex injuria, ex mera gratia. To Owen in particular the grounds of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are the union with Christ and Christ`s suretyship. The most significant aspect of the eternal ordination of Christ to be the mediator between sins` curse and God`s righteousness is that Christ undertook to be the surety of the new covena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ground of the union with Christ. Owen affirms that Christ was the surety not primarily to us for God, but to God for us. Owen is quite emphatic on this point, it is worth noting the key arguments he make.

      • KCI등재

        Revelation or Reason?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Church Polity Between Thomas Cartwright and Richard Hooker

        윤종훈(Jong Hun Yoon)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6 No.-

        본 소고는 잉글란드 튜더왕조부터 스튜워트 왕조 당대에 활동하였던 장로교와 성공회의 교회정치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당대 대변인들이었던 토마스 카트라이트와 리차드 후커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교회정치론에 대한 장로교주의와 성공회주의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으로서, 먼저 장로교는 성경이 모든 인간의 행동과 교회 조직체에 대한 진정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함에 반하여, 성공회는 성경은 교회 정치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제시하기 보다는 오히려 구원에 관련된 총 주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자연법 사상까지 담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성공회주의의 대변자이자 설계가인 토마스 후커는 교회의 조직 및 구성에 관한 문제는 구원론의 영역을 넘어선 인간의 경험과 필요성에 근거한 내용임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그는 교회조직 및 정치는 교회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고려하여 제정해야 하며 다양한 경험과 유용성은 교회 정부의 다양한 형태를 구축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라고 강조하였다. 교회 정치에 대한 카트라이트와 후커는 이성과 같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견해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성공회는 이성을 하나님의 의지를 분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후커는 인간의 이성과 성경은 상호의존적이며 상보적임을 강하게 주장한 반면에, 카트라이트는 인간의 전적 타락 상태는 너무도 심각하고 철저하여 인간의 이성적 능력은 불충분함을 역설하였다. This research challenge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hurch government between Presbyterian and Anglican in the eras of Tudor and Stuarts in England by research on Thomas Cartwright and Richard Hooker. The prime point of difference between Presbyterianism and Anglicanism was that Presbyterian conceived that the Scriptures revealed a model for church organization and for all human behavior, whereas Anglican understood the Scriptures as an authority for all things pertaining to redemption, but composed of many natural law. In particular, the architect of Anglican, Hooker regarded the form of the church as a matter beyond salvation s jurisdiction, and hence liable to considerations of expediency, so that experience and convenience were the appropriate yardsticks for a viable form of church government. Besides, one of the discrepancies between Cartwright and Hooker was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such as reason. Anglican understood that reason provided a way to define God s will. On this basis, Hooker was able to argue forcibly for the complete complementarity and interdependence of reason and Scripture, But Cartwright insisted that the total depravity of humanity was far more complete and thoroughgoing so that every faculty was deficient.

      • KCI등재

        존 오웬의 구원확신론에 관한 개혁주의적 고찰

        윤종훈 ( Yoon Jong Hu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8 성경과신학 Vol.86 No.-

        오웬은 존 칼빈의 개혁주의 신학의 전통을 계승하여 당시 영국 청교도들에게 구원의 확신론을 목회론적 관점에서 적용하였다. 그는 자신의 전집 가운데 8권을 중심으로 신자의 구원의 확신론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특히 시130편 주해서를 통해 구원확신은 신자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며 더욱 삶 속에서 추구해야 할 신자의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그는 신자의 구원확신은 하나님의 영원한 예정에 근거한 속죄 사역을 통한 법정적 칭의의 결과이며, 이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약(Covenant)에 근거하며 은혜언약에 기초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그는 신자의 구원확신은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통해 가능케 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즉, 성부 하나님과의 사랑의 교제를 통해서, 성자 하나님의 은혜의 교제를 통해, 성부 하나님의 위로와 성결의 교제를 통해서 신자의 구원의 확신이 심어진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그는 성령의 인치심 사건과 구원의 보증자가 되심과 기름부으심 사역을 통해 신자들이 구원의 확신을 경험케 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오웬의 구원확신론은 영국 청교도 혁명의 신앙적 배경이 되었으며 순교적 신앙을 고수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Owen succeeded John Calvin’s Reformed Theology tradition and applied the doctrine of Assurance by his English Puritan contemporaries from the view point of pastoral care. Among his collective works, eight were directed towards guiding parishioners on the details of the doctrine of assurance. The text of Psalms 130 was used chiefly to indoctrinate and equip parishioners, and he emphasized the need for parishioners to apply this to their lives. He believed that the Assurance of believers was the result of God’s eternal promise of atonement through legal justification, and bases this on the covenant of the Triune God and argues that its genesis is in the covenant of grace. Owen maintains that the believer’s assurance is possible through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Triune God. Therefore he argued that the seeds of assurance are planted through the love of God the Father, the grace of God the Son, and the counsel and holiness of the Holy Spirit, which all manifest through our relationship with the Triune God. He especially emphasized the sealing of the Holy Spirit, the pledge of salvation, and the anointing to assure believers of their salvation. Historically, Owen’s assurance doctrine became the religious background for the Puritan Revolution and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ir adherence to faith and martyrdom.

      • KCI등재
      • KCI등재

        존 칼빈의 구원 확신론에 관한 고찰

        윤종훈 ( Yoon Jong Hu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6 성경과신학 Vol.80 No.-

        오늘날 기독교는 구원의 확신론에 대하여 매우 다양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 역사적 기독교에 등장하였던 왜곡된 구원의 확신론은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과 삶의 목적 그리고 내세론을 약화시키거나 잘못된 신앙관을 형성케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개혁신학의 초석을 마련하였던 존 칼빈의 구원의 확신론의 시대적, 이론적 배경을 살피고 다양한 신학적 주제들과의 유기적상관성을 고찰함으로서 건실한 그리스도인의 본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칼빈은 로마 카톨릭과 재세례파의 구원의 확신론에 대한 성경적 비판을 통해 구원의 확신론을 정립하였다. 그는 구원의 확신은 하나님에 대한 확실한 지식에 근거한 믿음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그리스도의 객관적인 구원사역의 결과물임을 논증하였다. 칼빈은 확신론과 성례론을 비교하면서 영적인 은혜의 잔치에의 참여는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확신을 경험케 하는 수단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칼빈은 실천적 삼단논법의 원리를 구사하여 확신론에 대한 활력을 제공하도록 노력하였다. John Calvin argued in depth with two perspectives of Roman Catholics and Anabaptists on ‘Assurance of Salvation’ in his times. First of all, the perspective of Roman Catholics on this issue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crament of penance and priestly absolution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Meanwhile Anabaptist understood the issue as a certainty of faith in an immediate revelation which is not bound to scriptural content. Calvin suggested that the total depravity of human being is to 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ssurance of salvation. He has shown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 people to have assurance of salvation by their efforts, because of the total depravity of human reason. He also criticized the mystic assurance of salvation excluding the work of Holy Spirit. For him, the faith is rather including saving knowledge, God’s promises, real confidence than a mere intellectual assent, and also assurance of salvation is of the essence of faith. It is not an optional extra for the believer. Calvin argued that the Words of God is the only foundation and ground of assurance of salvation of the believer. Calvin described that the Holy Spirit is the witness and consoler of God’s people and the Spirit by the testimonium provides an objective ground for the subjective confirmation of the believer’s participation in Christ. Calvin also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sacraments are aids to assure our faith and do nourish, strengthen, increase, and sustain our faith. finally, although Calvin never refers in his writing the term ‘syllogismus practicus’ in direct, he admitted that our works can help to assure us of our assurance of salvation.

      • KCI등재

        John Calvin의 “De aeterna Praedestinatione”에 관한 소고+C39

        윤종훈 ( Jong Hun Yoon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4 역사신학 논총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the theory of “De aeterna Praedestinone” of John Calvin by analysing the Works of John Calvin`s, in particular,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On the Eternal Predestination of God” and “The Secret Providence of God”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ternal Predestination of John Calvin` included God`s sovereign and gracious election and His sovereign and just reprobation. Calvin tried to have a speculative discussion of the eternal predestination with a soteriological context. In his works, he revealed that Scripture must be the exclusive source of this doctrine. Calvin has shown that election is from beginning to end the sovereign work of gracious God. And the first and principal cause or ground of predestination is not good works of human being, but only God Himself. According to him, the goal and means of eternal predestination are God`s glory and His people`s sanctification. In Calvin, Christ Himself was author of the decree of eternal predestination. In his theory, reprobation involved God`s decretive work. A review of Calvin`s definitions of the eternal predestination demonstrates that Calvin tied reprobation to God`s eternal decree. Calvin emphatically contended that sinful works of human being are not the cause or basis for God`s eternal decree of reprobation. He rejected the foreknowledge of sin as the cause for God`s decree, but he admitted that the only cause is God`s sovereign will.

      • 존 웨슬리(John Wesley)의 구원확신론에 대한 개혁주의적 고찰

        윤종훈(Jong Hun, Yoon) 신학지남사 2021 신학지남 Vol.88 No.4

        본 논문은 감리교 신학의 창시자 존 웨슬리의 구원론 가운데 구원확신론에 대한 다양한 증거들을 살펴보고 이를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초대교회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구원확신론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살펴본다. 웨슬리가 활동할 당시 영국은 두 가지 신학적 조류가 흐르고 있었다. 그중 하나는 앙글리칸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신론적 합리주의의 도전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이성주의를 강하게 거부하였던 열광주의였다. 이 두 사상은 구원론의 핵심사상이었던 구원확신론에 대한 많은 신학적 문제점을 산출하게 되었다. 웨슬리는 당시 양대 신학 흐름에 반기를 들고 성경적인 구원론을 세우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구원 확신에 대한 적극적인 증거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에 입각한 성령의 내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그리스도와 성령의 내적 증거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로서 “오직 성경”을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웨슬리에게 있어서 성경이야말로 신자의 구원 확신의 실제이자 신적 기원이 된다고 확신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는 소극적 증거로서, 신자의 변화된 양심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변화된 양심을 통하여 신자는 간접적인 구원의 확신을 경험하게 된다고 주장하였으며, 성령의 선물로 주어지는 성화적 믿음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러한 성화적 믿음이 성령의 열매로 이어진다고 주장하였다. 비록 웨슬리의 구원확신론은 개혁주의적인 색채가 강하지만, 알미니안주의적인 예지예정과 구원의 확신을 가진 이후에도 구원에서 실패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개혁주의 노선에서 벗어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various evidence of the doctrine of assurance of salvation of John Wesley, the founder of Methodist theology, and analyzes and considers it from a Reformed perspective. To this end, we first look at the various understandings of the doctrine of assurance of salvation, from early Christianity to the modern era in church history. At the time Wesley was in action, England had two theological thoughts. One of them was the challenge of the Deistic Rationalism formed around Anglican. Another was Enthusiasm, which strongly rejected rationalism. These two ideas have produced many theological problems with the doctrine of assurance of salvation, which has been the core thought of the Soteriology. Wesley rebelled against the two major theological trends at the time and tried to establish a biblical theory of salvation. He presented the inner proof of the Holy Spirit based on the salvation ministry of Jesus Christ as a direct proof of the assurance of salvation. He also emphasized “the Bible” as an empirical basis for internal evidence of Christ and the Holy Spirit. Wesley has convinced that the Bible was the real and divine origin of the assurance of the salvation of the believer. He emphasized the changed conscience of the believer as indirect evidence of the assurance of salvation. He argued that by this changed conscience believers experience the assurance of salvation indirectly. Although Wesley’s assurance of salvation is of a strong reformed theological color, He deviated from the reformed line by asserting that the believer could fail in salvation even after he had the conviction of salvation, which is the perspective of Arminianism.

      • 스마트 모바일의 원전 도입을 위한 직무모형 기반 인적오류 평가 기법

        윤종훈(Jong Hun Yun),이용희(Yong-Hee Lee) 대한인간공학회 201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다양한 업종에서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 모바일을 업무지원용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원자력발전소 또한 APR1400과 같은 디지털 적용의 MCR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도입하면서 스마트 모바일의 적용 또한 눈앞에 두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사고의 위험성이 타산업과 비교하여 높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새로운 기기의 적용 이전에 위험성을 배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의 평가의 일환으로 스마트 모바일의 사용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유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법을 적용한 결과, 스마트 모바일 사용에 대한 오류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추후 조금 더 심도있는 연구를 통하여 원전에서의 디지털기기 도입을 위한 평가 요건으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