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연탄(無煙炭)가스에 의(依)한 가잠(家蠶)의 발육(發育)과 생리작용(生理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산화탄소(酸化炭素)와 무수아황산(無水亞黃酸)가스를 중심(中心)으로-

        윤종관 ( Chong Kwan Yoon ) 한국잠사학회 1969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0 No.-

        1. 부화비율 대조구에 비해서 무연탄가스구에서는 4.7∼17.7% 감소되었고 일산화탄소구에서는 2.3∼16.0%, 무수아황산가스구에서는 4.7∼12.7% 감소되었으며 각 처리구 공히 가스농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부화비율은 낮았다. 2. 감잠비율 가스의 종류별 피해상태는 같은 농도에 있어서는 무수아황산가스가 가장 심했고 다음이 무연탄가스 일산화탄소의 순이었다. 즉 무수아황산가스 400ppm (0.04%) 30분 처리구에서 감잠비율이 각 처리구별 평균 38.3%인데 무연탄가스구에서는 0.06% 30분 처리구에서 21.7% 일산화탄소구 0.06% 30분 처리구에서 19.7%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각 처리시기별로는 대개 란기, 장잠기, 치잠기, 전령기의 순으로 감잠비율이 높았으며 처리구별에 있어서는 각구 공히 가스의 농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높았다. 3. 선견비율 무연탄가스 0.06% 30분 처리구에서 상견이 18.4% 하견이 29.5%인데, 0.15% 1시간구에서는 상견이 8.5%에 하견이 50.5%이었고, 일산화탄소구에서는 0.06% 30분 처리구에서 상견이 23.5% 하견이 26.5%인데 0.15% 1시간구에서는 상견이 7.8%에 하견이 51.3%이었으며 무수아황산가스에서는 120ppm 30분 처리구에서 상견이 22.2%에 하견이 23.5%인데 400ppm 30분 처리구에서는 상견이 17.3%에 하견이 40.4%였다. 즉 각 가스 종류별 처리구 공히 가스의 농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상견비율은 낮고 하견비율 높았으며 옥견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자웅별 견층비율 수컷은 암컷에 비하여 보통 평균 2%내외 높았으며 처리시기별로는 각 가스별 공히 대개 난기, 장잠기, 치잠기, 전령기의 순으로 낮았고 처리구별에 있어서는 가스의 농도가 높고 각 처리시간이 길수록 낮았다. 5. 화룡비율 화룡비율에 있어서는 처리가스구별 사이에 차가 별로 없고 처리구별로 종합하여 볼 때에는 가스농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비율이 낮았다. 처리시기별로 미화용수 조사하여 볼 때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즉 무연탄가스구와 일산화탄소구에서는 난기처리시기에 적었지만 무수아황산가스구에서는 전령기처리시에 적었고 무연탄가스구에서는 치잠기 처리시에 많았지만 일산화탄소구에서는 전령기 처리시에 많았고 무수아황산가스구에서는 치잠기 처리에 많았으며 처리구별로 종합하여 볼 때에는 각 처리가스구별 공히 가스농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많았다. 6 발아비율 처리가스구별 처리시기 및 처리구별 사이에는 물론 대조구와도 별 차가 없었다. 즉 일단 화용한 것은 처리 무처리를 막론하고 발아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7 1아평균산난수 발아비율에 있어서는 가스구별, 처리시기 및 처리구별 사이는 물론 대조구와도 별차가 없었지만 산난수에 있어서는 각 가스별 공히 대조구에 비하여 가스농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하였고 부수정난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8 부결견잠의 견사선 이상 각 처리가스구별 공히 부결견잠에 있어서 견사선의 이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이상의 내용을 보면 주로 중부사선 각 구에서의 이상인데 즉 중부사선 각구의 파동 및 이상발육 후구의 특징있는 기형, 굴곡방향의 반대, 구에 따른 발육상태의 빈약 등이 있는가 하면 정상적인 굴곡부가 비틀어져 있고 곳에 따라 액부가 형성되어 있었으면 특히 무연탄가스구에서는 좌 우측 견사선의 발육이 고르지 못한 것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은 무연탄가스구에서 좌 우측 견사선의 Since widely use of anthracite for the radiating purpose in a rearing room in Korea, the weakness of silkworm, poor uniformity of the worm growth, the increase of missing worm ratio, unusual cocoon assorting ratio, and the decrease of cocoon layer ratio have been realized by the author, therefore, he has started out to search the mechanism of these evil influences regarding with various gas densities and terms of the gas treatment which will be supposed to be a warning for temperature control during the silkworm reading work. Among the anthracite gas components, CO or SO2 influence and their complexed harm effect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use of anthracite gas, CO and SO2 gas. Meantime, each treatment was applied, separately, during the worm egg stage, young instar, adult instar and whole instar, because the harm intensity for any improperable rearing condition is flexible by the growing stages. Meantime, the gas density and term variation were applied for the above each treatment such as in case of anthracite and CO gas, the following treat methods were used. 1) 0.06% for 30 mins. 2) 0.06% for 1 hour. 3) 0.1% for 1 hour. 4) 0.15% for 1 hour. on the other hand, SO2 gas was used as 1) 120ppm for 30 mins. 2) 200ppm for 30 mins. 3) 400ppm for 30 mins. The measurement of gas density was proceeded by using CO tester (Carbon Monoxide Indicator) and SO2 tester (Indicator Sampler Cg3) which could keep any specific density before each treatment.

      • 유충(幼蟲)의 생식후원선(生殖後原腺)이 아닌 한 쌍(雙)의 소반점(小斑點)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2)

        윤종관 ( Chong Kwan Yoon ),사기언 ( Ki Yon Sa ) 한국잠사학회 1970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2 No.-

        수컷 제9복절의 복면에 암컷의 생식후원선의 위치에 해당하는 곳에 생식후원선과 비슷한 한 쌍의 소반점이 있는 경우가 있어 자웅감별에 있어서 혼란을 이르키고 있기 때문에 실용상의 문제로서 기보한 바와 같이 6품종의 잠품종에 대하여 조사 연구한 바 품종별 또는 계통별 특성이 있어 보편적으로 중국종은 일본종에 비하여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품종 고유의 특성이기 때문에 반드시 품종간의 교잡F1에 있어서도 유전적인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첫 번째 조사에서는 계통별로 보아 일본종이 평균 17.8%이고 중국종이 57.0%였지만 재조사한 바에 의하면(참조 Table 1.) 일본종이 평균 13.6%이고 중국종이 37.8%인 것을 보면 품종별로 일정한 경향은 없지만 중국종계가 일본종계에 비하여 항시 고율인 것에는 틀림없었다. 2. 일본종계에 있어서 수컷을 암컷으로 오인한 것이 1.2~2.6%이고 암컷을 수컷으로 오인한 것이 0.5~0.9%였으며 중국계에 있어서는 수컷을 암컷으로 오인한 것이 7.1~9.4%이고 암컷을 수컷으로 오인한 것이 2.9~3.4%로서 여기에서도 중국종계가 고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중국종계에 이 소반점이 많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는 것이었다. 3. 교배형식을 각각 달리한 교잡 F1에 있어서도 소반점이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가 분리되었다. 4. 소반점 출현수가 적은 품종을 모체로 하고 여기에 소반점이 있는 수컷을 교배한 교배형식 보다는 소반점 출현수가 많은 품종을 모체로 하고 여기세 소반점이 없는 수컷을 교배한 교배형식에서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 (참조 Table 2. C·G>B·F) 5. 소반점 출현수가 많은 품종끼리 교배한 교배형식은 출현수가 적은 품종끼리 교배한 교배형식보다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H>E) 6. 예외(A·B)는 있었지만 같은 형식의 교잡종(C·D, E·F, G·H)에 있어서는 소반점이 있는 수컷을 교배한 것이 소반점이 없는 수컷을 교배한 것 보다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 Occasionally, We make mistake of discrimination of sex since a pair of small spots around tile abdomen of 9th abdominal of males and posterior spots of females of the silkworms larvae are found at almost same position. As already have reported, more larvae which have the small spots were found in Chinese race than the Japanes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grasp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small spotted larvae hereditarily when hybridize with different race (F1) 1. According to the first report, average 17,8% of the small spotted larvae are found in the Japanese race and 57.0% in the Chinese, but my re-invested data which was carried out recently shows that average 13.6% in the former case and 37.8% in the latter. Those new data are supposed to b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figures are flexible but in any cas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larvae were found in the Chinese race than the Japanese (Reference Table 1.) 2. Miscalculated ratio of the larvae from males to females are 1.2-2.6%, and from females to males are found 0.5%-0.9% in the Japanese race, In case of the Chinese race, 7.1-9.4% in tile former and 2.9-3.4% in the latter. Those data also shows that more of the larvae found in Chinese race. 3. The larvae of small spotted and non-spotted are also seperated when hlybridize with different mating types and races. 4. More small spotted larvae are seen when hybridize with less appeared of the small spots of females and males which have the small spots than more appeared of the small spots of females with none spotted of the males (Reference Table 2. C.G.>B.F.). 5. More larvae of the small spots and found in case of hybridize in a group of having small spots than none of the spots (H>E). 6. With the exception of the case (A.B), in the same type of cross breeding (C.D, E.F, G.H), more larvae of the smal1 spots are also found in case of hybridize with males of having the spots than none of the spots.

      • 가잠외피(家蠶外皮)의 조직학적(組織學的) 구조(構造)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사기언 ( Ki Yon Sa ) 한국잠사학회 197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7 No.2

        곤충의 외피는 충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더러 근육의 부착점으로써 마치 골격과 같은 역할도 하고 있다. 가잠의 외피에 관해서는 종래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모두 특정시기 또는 부위를 대상으로 하여 왔고 또한 수직적이며 조직학적인 구조에만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가잠은 발육단계 즉 영별 또는 기잠 성잠 면잠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므로 광범위한 시기와 부위에 걸쳐 평면적인 구조는 물론 외피의 분화 또는 토사기 및 전용기에 이르기까지 이를 추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육에 따른 외피의 표면구조 외피의 표면구조는 발육과 그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기잠의 외피의 추피는 그 후의 발육에 따라 소실된다. 2) 부위에 따른 외피의 표면구조 성식기에 이르르면 체표면에 구열상의 요철선에 의하여 불규칙한 구획을 이루고 그 형상은 tergum에서는 성상을 하지만 sternum에서는 능형으로서 사행한다. 반문부에 있는 표면소돌기는 표면적으로도 유색세립상을 이루어 다른 부분보다 선명하게 관찰되며 더구나 이들의 소돌기군은 백색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있다. 3) 흉복부 및 절간막부에 있어서의 외피 흉부:ecto-endo cuticle의 중간에 haematoxylin에 의하여 엷게 염색되는 반점부가 있어 이것이 meso cuticle에 해당된다고 간주되며 cuticle의 외면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표면소돌기의 대응적 위치에 있는 것 같고 전면적인 세립상의 표면소돌기는 그 기부가 크게 비대발달함으로써 소위 유상부는 여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인정된다. 복부:표면소돌기의 기부융기는 한층 발달되여 있고 anal plate의 표면은 평활하며 표면소돌기가 전혀 분포되어 있지 않고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당히 두껍다. 절간막부:ecto-endo cuticle의 2층만으로 구조되어 있고 여기에는 표면에 표면소돌기가 없고 전면이 불규칙한 추상을 이루고 있다. 4) 眠期에 있어서의 外皮의 分化 胸部와 腹部에서는 外皮는 이미 分明히 構成層으로 認定되지만 頭部에서는 表面小突起의 形成은 大略 끝난 程度로서 外皮의 分化는 거의 認定되지 않는다. 5) 各齡別에 있어서의 外皮의 差異 盛食期에 있어서의 外皮의 두께를 各 位置에 따라 調査한 結果를 보면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고 5齡期에 있어서의 外皮의 量的變化(頭部除外)에 關하여 調査한 結果를 보면 Fig, 1-Fig 6에서와 같다. The function of cuticle of insect is not simply to protect the body, but to take a role to frame- the body with the power of muscle. Although there are volumnous studies of silkworm, most of them are limitted to the specific time of development or particular regional studies. Some of these studies are confined to anatomical aspects. However, silkworm shows many variations at each instar or development stages, i.e. newly exuviated silkworm, gluttonous stage silkworm, etc. Therefore, the wider studies on the differentiation, spinning stage and prepupa stage as well as other subjects must be included in the study. In this line, the results of experiment are as follows:1) Construction of cuticle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The construction of cuticle is different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and each portion of the body. Wrinkles in the cuticle are disappearing as the body grows. 2) Construction of cuticle in the different portion of body; Whenever the development stage reaches gluttonous stage, the surface of body is cracked irregularly by uneveness line. The shape has appeared as if the star-like formation in the tergum region. However, it has appeared rhomb-like at the sternum. Tubercles in spotted regions appeared as if coloured granules and it is quite distinct from other regions by white colouring appearance. 3) Cuticle of thorax and intersegmental membrane; Thorax:In the middle of ecto-endo cuticle, there are coloured spots which are produced by haematoxylin. However, these spots seems to be equivalent to meso cuticle. It also seemed that these spots take certain role as if the round shaped nodules in the surface of cuticle. The entirely covered granu1ar-shape nodules is enlarged at bottom region. However, it is understood as nodules is equivalent to so-called knobs. Adbomen:Base rising of nodules is well developed and the surface of anal-plate is flat and smooth. However, there are no spread of nodules at all. This region is seemed much thicker than other regions. Intersegmental membrane portion:It it constructed with two layers of ecto-endo cuticles. There are no nodules in the surface and the entire surface is wrinkled irregularly.

      • 인후측선적출(咽喉側線摘出)과 이상착색용(異常着色용)과의 관계(關係)에 관한 연구(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 한국잠사학회 1978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20 No.2

        곤충의 일반적인 피부조직의 색소는 물론 용체 특유의 색채에 관여하는 호르몬과 변태에 관여하는 인후측선호르몬 및 전포대상선호르몬의 연관성을 분명히 하려는 목적에서 4령기에는 포식 후 48시간이 경과한 후부터 약 12시간 간격으로 5회에 걸친 처리구를 설정하였고 5령기에는 면기 후 72시간이 경과한 후부터 약 12시간 간격으로 6회에 걸쳐 4·5령기 공히 춘·추추잠기에 걸친 처리구를 설정하였으며 상응기이후 화용전에 있어서는 7시간 간격으로 5회에 걸쳐 인후측선을 적출하므로써 용색변화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령기초기 적출에서는 3면잠이 많이 출현했고 후기에는 4면잠이 많이 출현했다. 2) 3면잠 및 4면잠 공히 대조구에 비하여 용체 이상착색을 인정할 수 있으며 그 정도는 3면잠에 비하여 4면잠에 있어서 기하였다. 3) 대조구는 대부분 정상착색이고 1부가 경도의 이상착색이었다. 4) Table 1과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잠기에 있어서 처리구의 경사수가 많았다. 5) 5영기 및 상족기 이후 화용전에서도 인후측선 적출용체의 차색에서 그 영향력이 있음을 인정할 수 있다. 6) 결론적으로 인후측선호르몬은 용색변화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In order to identify hormone activities which related to the changing of cutaneous tissue and pupal bodies and also to identify the interaction of corpora allata hormone and prothoracic glandular band hormone which act upon the metamorphosis of the insect. The item of treatment is carried out in 5 different times at the interval of about 12 hours after 4 weeks from the first feeding of 4th instar stage, and as far as 5th instar stage in concerned 6 times of item treatments have been carried out, at about 12 hours interval after 72 hours from the molting, Item treatments were, made in the stage of spring, autumn rearing,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post mounting stage and pre pupation by picking out of corpora allata in 5 times at the interval of hours the following change of pupal colour is observed; 1) By an early pick out of 4th instar stage, the three molters are found in greater number, However, by a later pick out the four molters are found instead of others. 2) An abnormal colour is found in the three and four molters when comparing with the control molters. 3) The most of control molters have shown the normal colour except a few samples. 4) As shown in the table 1 and 2, the death number of item treatment is greater in the autumn rearing season. 5) The picking out of corpora allata of 5th instar stage, the post mounting stage and pre pupation period is affecting the change of colour. 6) As a final conclusion, the corpora allata hormon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ing of pupal colour.

      • 토사불능잠(吐絲不能蠶)의 출현기구(出現機構)에 관(關)한 생리해부학적(生理解剖學的) 연구(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 한국잠사학회 1968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8 No.-

        산견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불결견잠을 방제하는 일이 급선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누에를 생리해부학적인 면에서 그 출현기구를 분석 구명하여 이의 방제책을 한 자료로 삼으려 한 것이며 조사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견사선에 이상이 없음에도 영견치 않는 누에의 토계부부근의 조직을 검사한 결과 토계관의 기부에 와 있는 신경, 기관 및 근육 등에서 다각체를 발견하였다. 2. 불토사잠중에서 농병에 의하는 것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3. 5령의 누에에 향식 당일부터 8일간에 걸쳐 농즙을 접종한 결과 결견잠수에 있어서 접종이 늦을수록 많고 불결견잠수는 접종초기와 중기에 있어서는 큰 차가 없었지만 후기에 이르러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사육 및 족중폐잠수는 접종시기가 빠를수록 많았다. 4. 농병의 증세는 농즙 접종 후 약 3일전후하여 농잠으로서의 특징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농병잠이라 하여도 영견능력이 있는 것은 상족직전에 접종된 것 중에서 영견개시 후 발병되기 때문에 도중에서 토계불능케 되어 박피 또는 중피견 밖에 영견할 수 없는 것이고 또한 경도의 농병잠은 토계기능의 마비상태가 토계불능까지는 되지 않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5. 원종 교잡종을 합하여 44품종에 걸친 불결견잠 출현경향을 조사한 결과 교잡종에 비하여 원종이 불결견잠의 수가 많았고 원종에서도 일본종계통이 많았다. 6. 불결견잠의 견사선에 있어서는 중부계선에 파동이 많았다. 7. 정상숙잠과 농병불결견잠의 잠체 및 소화기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길이에 있어서는 큰 차 없지만 체건-동체 둘레 및 소화기의 나비에 있어서는 농병불결견잠의 것이 훨씬 컸다. 8. 5령 성식기에 낙하충격을 가한 결과 두부하위낙하보다는 경면하위낙하의 것이 또는 온돌과 마루바닥보다는 시멘트바닥에 낙하된 것이 충격이 컸다. In order to achieve efficiency of laying eggs of silkworms, it is very important to eliminate noncocooning silkworms. This study is written on the basi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mechanism of silkworms physiologically and anatomically. It is hoped that given herein will contribute to the effecting elimination work. Outline of the study summarize as follows: 1. It is observed through microscope that the silkworms which are seen normal state in the silk gland but no ability of cocoon making have polyhedrosis in the nerve, trachea and muscle near the tissue of the spinneret. 2.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non-cocooning silkworms are caused by the grasserie of the silkworms. 3. As a result of inoculation with purulent discharges against silkworms from first fooding through 8th day of 5th instar, number of cocooning silkworms were increased when inoculation are applied at laterer day of the instar. In the case of non-cocooning silkworms, meanwhile, resulted not big varriation when it is apllied in the early and middle of the period, but number of non-cocooning silkworm was reduced when the inoculation are given at laterer of the instar. Number of death during rearing and mounting are increased when earliest application of inoculation are carried out. 4. Symptom of grasserie was appeared more or less three days after application of the inoculation. Some silkworms which were inoculated just before mounting has ability of cocooning making even taken grasserie, in this case the silkworm can make thin cocoon. since the silkworm fall sick during cocoon making and unable of spinning soon. when the worm was affected by grasserie slightly, it was observed that the silkworm can spinning. It is supposed to be the light paralysis of spinneret is not very much influenced to spinning. 5. As a result of observation of original stock and hybrid including other 44 kinds of silkworm, many non-cocooning silkworms were found in the original stock especially originated from japanese than in hybrid. 6. A number of undulations are found in the middle division of the silk gland of non-cocooning silkworms. 7.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the sizes of the body and digestive organs, normal natured silkworms and non-cocooning silkworms are more or less same in length, but the width, circumference of bodies and digestive organs were more larger in the later. If silkworm which was in the period of active eating of 5th instar was given shock of dropping to the floor, the silkworm receives little more shock when hit to side of the body than to head, and concrete floor than ondol and wooden floor.

      • 5령유충(齡幼蟲)의 배맥관운동(背脈管運動)에 대(對)한 양(陽)이온의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사기언 ( Ki Yon Sa ) 한국잠사학회 1976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8 No.2

        동물에 대한 생리적 염류용액은 소위 링가씨액으로서 냉혈척추동물의 신경근육 심장 등을 비교적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지속시키기 위한 용액으로 개구리 (Frog)의 심장의 관수실험을 하기 위하여 처방한 최초의 생리적 염류용액에 지나지 않았지만 현실에 있어서는 몇몇 동물은 물론 사람에 이르기까지 거의 완전한 생리적 용액으로 되어 있는데 가잠에 있어서는 몇 가지 처방이 발표된 바는 있어도 아직 그 결과가 만족할 만한 정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리적 염류용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출한 기관과 조직에 대하여 장시간에 걸친 정상적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한 용액으로 사용되는 염류의 혼합용액이기 때문에 적당한 Ion조성 삼투압 pH를 갖도록 조제된다. 대개 생기 내에서 이들의 기관과 조직을 적시는 혈청 등 체액성분에 근사한 것을 사용한다. 용액의 Ion성분은 Na+을 비롯하여 K+, Ca#, Mg# 등을 가하고 여기에 NaHCO3, NaH2PO4 등의 연형제를 첨가하므로서 pH를 조절한다. 생리적 염류용액중에 포함하여야 할 Cation의 최적농도 2종 이상의 Cation의 최적혼합비율 등에 대하여 가잠유충의 배맥관 운동을 지표로 하여 이를 검토하였다. 각 Cation의 최적농도는 영점미만의 NaCl의 함유액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각각 농도를 달리한 KCl, CaCl2및 MgCl2 등을 조합하여 이들의 액체를 적하하므로서 5령유충의 배맥관 운동의 지속시간과 맥박수를 지표로 하여 이들 시험액의 효과를 검토한 바에 의하면 NaCl 단독일 경우에는 해부 후 일시적으로 맥박수는 증가하지만 점차 정지되고 만다(일시간 정도). 여기에 대하여 KCI를 가하면 일반적으로 박동시간이 연장되고 맥박수의 저하도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 다시 KCl와 CaCl2를 가하면 그 지속시간은 더 한층 연장되었다. KCl와 CaCl2의 가용은 효과가 있지만 이들의 농도와 배맥관의 활동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이 인정되지 않았고 Ca# 또는 K+의 박동에 대한 작용은 이것을 분명히 할 수 없었고 Mg#의 작용에 있어서는 배맥관에 이를 가하면 박동 지속시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맥박수는 크게 저하됨을 인정할 수 있었다.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for animals is known as Ringer`s solution which is used for keeping the function of cold blooded vertebrate animals. Primaily the saline solu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perfusion experiment in frogs. Later the saline solution is applied in several kinds of animals including human being with satisfactory results. However, this saline solution was introduced to silkworm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 was not as successful as in the case of other animals and human being. Normally, in the case of silkworm,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is prepared in order to maintain the normal function of separated organs and tissues. To this end, the saline solution is adjusted to contain the certain amount and strength of ions, osmosis pressure and hydrogen concentration. The most of cases,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constituent of the solution be the same with the blood selium and body fluid.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 the ion element of the saline solution is adjustable by adding Na+, K+, Ca#/, Mg# which are followed by adding of buffer solution such as NaHCO3 and NaH2PO4. Determination of optimum concentration of cation in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and the optimum mixing rate of more than two kinds of cations are based on the movement of dorsal vessel in the silkworm larva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cations in the solution is prepared by adding NaCl solution which is under zero point. However, this solution was further added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KCl and CaCl2. By dropping the prepared solution on the 5th larvae, the effects of solution was measured. The measurement was done by observation of movement of dorsal vessel and its time length, and the number of puls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when only NaCl solution was applied, the number of pulses is increased for a moment, and the pulse stopped after one hour or so. When KCl solution was added the time of pulse was prolonged and in the contrast, the number of pulses was slow down. If KCl and CaCl2 solutions are added the time of pulse was further prolonged. Even though the adding of KCl and CaCl2 are found to be effectib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solution and the movement of dorsal vessel was not observed. However, it was same in the case of adding Ca# or K+. It was found that when Mg# was added to dorsal vessel the number of the pulses was not decreased although the prolonged time pulse was observed.

      • 유충(幼蟲)의 생식후원선(生殖後原腺)이 아닌 한 쌍(雙)의 소반점(小斑點)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1)

        윤종관 ( Chong Kwan Yoon ) 한국잠사학회 1970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1 No.-

        유충기와 용기는 성충기에 비하여 외관상특징이 획연치 않기 때문에 유충기에 있어서의 현행 자웅감별 방법은 5령의 2∼3일째에 비교적 뚜렷이 관찰 할 수 있는 수컷의 Herold`s gland와 암컷의 석도생식원선 (생식전선과 생식후선)에 의하여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품종에 따라서는 수컷의 제9복절의 복면에 한 쌍의 소반점이 있고 이 소반점의 위치가 암컷에서 볼 수 있는 생식후원선의 위치와 일치하기 때문에 암컷으로 오인되기 쉬워 자웅감별에 있어 혼란을 이르키고 있으므로 이를 조사연구 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컷의 제9복절에 있는 소반점의 유무는 품종에 따라 다르다. 계통별로 보아 중국종은 일본종에 비하여 소반점이 나타나는 개체가 많을뿐더러 전감별 수컷의 과반수를 초과한 57.0%를 차지 하고 있다. 2. 소반점의 형상은 암컷의 생식후원선과 같이 대개 원형을 이루고 있지만 빛깔에 있어서는 생식 후 원선은 불투명한 유백색이며 소반점은 품종에 따라 다소 다르다고는 하나 약간의 회백색을 띄우고 있다. 그리고 이 소반점은 생식 후 원선에 비하기 소형이다. 누에의 생식선은 숙잠기에 이르면 식별할 수 없게 되지만 이 소반점은 숙잠기에 이르러도 육면으로 구별할 수 있고 또 생식후원선의 위치에 있다. 3. 소반점과 Herold`s gland를 기초로 하여 감별을 한 다음 그 정확성을 다시 확인하기 위하여 화용 후에 개체감별을 한 결과를 보면 평균 5.2%의 이성이 혼입되어 있다. 이러한 까닭은 소반점의 위치가 암컷에 있는 생식후원선의 위치와 일치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 소반점의 유무와 농담 등에 의하여 화용 후에 있어서의 활동상황 및 생식능력에 있어서는 하등의 이상이 없었다. 5. 소반점의 유무는 계통별로 차이가 있을뿐더러 품종간의 교잡시에 유전적인 연관성도 있을 것이고 화성 및 면성 등에 의해서도 그 출현상태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External features of silkworms are not evident during stage of larvae and pupae like in the stage of imagines. In general, therefore, sexing of larvae has been depended on Herold`s gland of males or Ishiwata`s sexual spots (Anterior sexual spots and posterior sexual spots) of a female 2-3 days after of the 5th age since it is relatively easy to classify in this period. Sometimes, however, we made mistake of sexing since a pair of small spot around the abdomen of 9th abdominal of males and posterior sexual spot of females was found at the same positio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obtain essential points of classifing the above it will be summarized as follows: A. Existence of the males small spots on 9th abdominal segment were varied by races. Through observation races by races the more larvae which had the small spots were found in Chinese races than the Japanese, and 57 percent of the Chinese orgin larvae of the small spot were picked among total counted males. B. The small spots were more or less roundly shaped just as posterior sexual spots of females, and these spots were colored slightly even the colors were somewhat different by races. Milky color was seen in the case of the posterior sexual spots. The small spots were observed smaller than the posterior sexual spots. It is difficult classify the sexual spots during stage of mature larvae, but it was easily classified small spots by the naked eye even in the same stage. The small spots were found at the same site of the posterior sexual spots. C. After sexing by based on the small spots and Herold`s gland, the sexing through purpae bodies were carried out again to confirm its correctness. Average 5.2 percent of more opposite sex were found in the latter. This figures supposed to be caused the location of the small spots coincide with the posterior sexual spots. D. The moths, no disorder were found in daily activities and their generative functions depend on the existence of the small spot and thickness of its color. E. It is presumed that existence of the small spots were caused by races, heredity nature, voltinism, moulting, and etc.

      • 가잠용외피(家蠶용外皮)의 외부구조(外部構造)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 한국잠사학회 1978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20 No.2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외피에 관하여 활발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유충에 있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보고가 있지만 용체외피에 대해서는 그 표면이 장방형의 소구분에 의하여 구갑의 모양을 한다는 정도이므로 이를 더 소상히 조사하기 위하여 용외피의 각 부위에 따른 외부구조에 관한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부 및 촉지 등 성충재의 세포의 발달에 의한 새로이 분화한 부분에 있어서의 외피의 표면에 조각을 이룬 장방형의 소구분은 발견할 수 없지만 복근의 1부분에 망상으로 조각된 부분을 볼 수 있다. 이 요형의 부분은 직경이 8μ내외였고 그 주위는 약간 융기되어 요형의 부분에 비하여 약간 음갈색을 이루고 있다. 2) 복부에 있어서의 조각의 양상은 두부와는 약간 다르다. 요형의 부분은 환절에 따라 차이가 있고 전반적으로 두부의 복근에 있는 것에 비하여 뚜렷하지 못하였으며 전포를 거쳐 중포과 후포에 갈수록 요형부의 주위 즉 갈색의 융기된 모양이 분명하지 않다. 3) 체절간막부의 표면은 무색 또는 담황색으로 착색되어 있고 그 전면은 미세한 선에 의하여 호문을 이루고 있다. 4) 복부환절에는 요부의 주위의 융기된 부분에 의하여 구분된 장방형의 많은 소요의 조각된 모양에 의하여 망상을 이루고 있다. 5) 요부에 의하여 조각된 모양의 크기는 말단의 환절부근을 제외하면 복부보다는 흉부 동일환절에서는 배면보다는 복면 또한 환절의 후부보다는 환절의 전부에 있어서 작다. 6) 제7복절 이후에서는 체절간절막부를 인정할 수 없고 그 부분에 있어서의 외피의 외부구조는 환절에 있어서의 외부구조와 근사하다. 7) 강모는 두부 복근 촉지 및 혈 등 성충아의 세복발달에 의하여 분화된 부분에서는 발견할 수 없고 유충기의 일반세포로부터 되는 환절의 외피에서도 복면에는 강모가 없고 배면에서도 체절간막부에는 강모가 없다. There are relatively many reports have been issued on he active movement of cuticle of larva, which tend to protect their body, however, only a few reports have been disclosed on the cuticle of pupal body except the small portion of rectangle which shown tortoise-shell shape. In this connection, many portion of the external structure of pupal cuticle has been studi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1) No. spot of rectangle which is sculptured in the surface of cuticle that born by branching, out of the development of cell in imaginal bud of antenna and head were found. However, in the compound eye of net shaped sculpture was found in the 凹 shaped parts which holding, the diameter of about 8u and the surrounding area has the small bump and the one is dark brown coloured comparing with shape. 2) The sculpture shape of thorax is a little different than in the head. However, 凹 portion is varies from the segment to segment. In general, it is not very clear than the compound eye in the head, the dark brown bump shape is slowly fade a from the prothorax, mesothorax to metathorax. 3) The surface of intersegment membrane is colourless or slightly yellow, and the entire surface has stripped marking with thine lines. 4) In the abdominal segment, there are many and small sculptures in net shape around the 凹 shape portions. 5) The size of sculpture in 凹 portion of abdomen is smaller than one in thorax, and in the same segment, the dorsal is smaller than abdome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egment is larger than the front of segment. 6) After the 7th abdominal segment, no intersegmental membrane is found and the cuticle of the external structure is the same as external structure of the segment. 7) The seta is not found in head, compound eye, antenna and wing which portions were subdivided by development of imagined bud of the cell, no seta is found in cuticle of the segment in the general cell of the larva stage and also in the dorsal and intersegmental membrane.

      • 연화병(軟化病)의 병원체(病原體)를 경구(經口) 또는 피하접종(皮下接種)했을 때에 출현(出現)하는 왜소잠(矮小蠶)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사기언 ( Ki Yeon Sa ) 한국잠사학회 197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7 No.1

        잠병중에서 연화병은 그 발생이 광범위하고 가장 많이 발생하여 잠작의 풍흉을 좌우케 한다. 연화병은 세균에 의해 발병 또는 병세를 더하게 하여 누에를 죽게 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세균성 소화기병 패혈증 및 졸도병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세균성 소화기병은 누에의 소화관내에 세균이 기생 번식하므로서 발병되며 연화병의 대부분이 이 병에 속하고 있으며 패혈증은 누에 체액 중에 세균이 번식하므로서 발병되며 유충기에는 그 발생률이 비교적 적고 졸도병은 누에가 독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뽕과 함께 삼키면 그 독소의 중독에 의하여 죽는 병이다. 연화병의 발생요인은 불량환경이여서 잠좌가 불결하면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게 되고 이 세균은 누에의 구기 또는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침입하므로서 발병케 하는 고로 그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누에를 마취하여 원심분리이기에 의하여 그 려과액을 채취하여 춘·추잠의 유잠 중잠에 경구 또는 피하접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화병의 누에를 마취하여 원심분리기에 의하여 그 려과액을 채취 이를 경검한 바 여기에서는 다각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경구접종시험구 ⓐ 접종 후 3일이 경과할 때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식욕부진의 현상을 나타냈다. ⓑ 약 1주일이 경과할 때부터 기속 공두 설사 및 졸도 등의 병잠이 나타났다. ⓒ 개체 중에는 다소 식상은 하지만 Fig. 3, Fig.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왜소잠을 발견할 수 있었다. ⓓ 1령기접종구와 2령기접종구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 2령기를 벗어나면 령을 더 함에 따라 병잠 발생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3) 피하접종시험구 ⓐ 3령기접종 4령기접종 공히 특이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발생율도 적었다. ⓑ 체액이 산성이므로 독소가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발병률이 비교적 적었다. 따라서 피하접종은 경구접종에 비하여 피해를 주지 않았다. Flacherie of all other silkworm diseases greatly affects cocoon crop as it is far-reaching and wide spreading. Fleacherie which kills silkworms caused by bacteria can be classified as bacterial digestive organ disease, and "Sotto" disease. Bacterial digestive organ disease is caused by the bacteria living in the silkworms alementary canal and a majority of flacherie belongs to this disease. Septicemia is caused by bacterias breeding in silkworms body fluid but its attach is comparatively limited during the larva period. "Sotto" disease is caused by eating mulberry leaves infected with bacteria which produce toxin and silkworms are intoxicated and killed by the toxin. The cause of flacherie is mainly due to a poor environment. The unclean and unsanitary silkworm rearing beds help bacterias breeding and bacteria enter silkworms body through mouth organ or skin.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causes of flacherie by means of pulverization of silkworm. Filtrated fluid is extracted by centrifuge and hypodermic of peroral inoculation is given to young and medium silkworms of spring and autumn. The gained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1. Silkworms infected with flacherie were pulverized and their filtrated fluid was extracted by centrifuge and inspected under microscope to find polyhedron from the fluid. 2. The experimenting group of peroral inoculation. a) From the third day of peroral inoculation silkworms appetite generally decreased and ate l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 After 7 days of the inoculation silkworms suffered from empty head, loose bowels and fainting. c) Some of the silkworms still ate but as were shown in Fig. 3 and 4 some dwarfish silkworms were found. 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1st and 2nd instar inoculation groups. e)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diseased silkworms was decerased as the increase of instars. 2. The experimental group of hypodermic inoculation a) Both of 3rd and 4th instar inoculation groups showed no remarkable singularity and the number of diseased silkworms decreased. b) The rate of diseased silkworms was comparatively low because the body fluid was acidy or toxin was hard soluble. Hypodermic inoculation could not give much harm to the silkworms compared to peroral ino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