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화서훈》의 언어론과 점복

        윤조철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In a sense, the history of thought of the Edo period in Japan was also the history of the theory of language. The fact that their ancient history was written in the Chinese script, and the perception that the letters and words did not coincide, bothered and at the same time gave stimulus to the people of the Edo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Irumagawa Shigetsune’s manuscript Yamatoshokun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when the manuscript was published, the ideology of Japan was facing a so-called “linguistics situation,” while the Suika Shinto School of thought, to which Shigetsune belonged, was continuing to pay attention to Japanese studies. It was in this academic atmosphere that the Yamatoshokun was written. Subsequently, noting that the Yamatoshokun discussed Jindai moji (ancient Japanese script), we have reviewed major sources and theories about Jindai moji up to the first half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the early theories, the perspective that explicitly linked Jindai moji and divination was unearthed, which may be traced back to the Japanese awareness of the Chinese culture at the time. Thereafter, theories that followed was by Tomobe Yasutaka, who was from the Suika Shinto school of thought, presented the object of Jindai moji, which is similar to the Japanese syllabary system. On the other hand, we point out that the context of the wide distribution of texts related to the Chinese phonological text Yunjing was because it was used as a diviner's manual for fortune telling using the writing or pronunciation of a person's name. The claim that Jindai moji originated from the divination tradition and the fact that Yunjing was used in the divination sh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divination in the era of the Yamatoshokun. The Yamatoshokun shows an aspect of the Edo period, in which a reflection on language was used to gauge the distance from the Chinese culture and to form a “self” image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divination has also existed and cast a shadow not far from the language theory of that period. 어떤 의미에서 일본 에도시대의 사상사는 언어론의 역사이기도 했다. 그 시대에 언어론은 사상에 영감을 부여했으며 역으로 사상은 언어론으로 수렴되었다. 자국의 고대사가 외래의 한자로 기록되었다는 사실, 문자와 말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인식은 당대의사람들을 괴롭히는 동시에 자극했다. 언어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국학(國學)에서 정밀하게 전개된 까닭에 일본어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사에서는 국학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고는 국학 이전 단계의 언어론에 관심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언어론이라는 시각에서 이루마가와 시게쓰네의 《대화서훈》을 검토했다. 이 책이 출판된 18세기 초 근세 일본의 사상계는 이른바 ‘언어론적 상황’을 맞이하고있었으며, 다른 한편 시게쓰네가 속해 있던 스이카 신도파에서도 일본어 연구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학파적 배경 속에서 《대화서훈》이 출현했다. 이어서 《대화서훈》의 신대문자론에 주목하여 역대의 주요 자료들을 개관하고 시게쓰네와 관련되는 한에서 18세기 전반까지의 신대문자론을 살펴보았다. 초기 신대문자론에서도 신대문자와 점복을 결부시키는 관점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문화를 의식한결과일 가능성이 있으리라고 추정하였다. 그러다가 스이카 신도파의 인물인 도모베 야스타카에 의해 오십음 배열의 신대문자 실물이 제시됨으로써 신대문자론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고 평가했다. 한편 근세에 들어 중국 음운서인 《운경》 관련 서적이 광범위하게 유포된 배경에는이 책이 성명 판단을 위한 점복서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지적했다. 신대문자의 점복기원론과 《운경》을 이용한 성명 판단은 《대화서훈》이 놓인 시대에서의 언어론과점복의 결합을 느슨하게나마 보여주고 있다. 《대화서훈》은 언어에 대한 성찰을 통해 중국 문화와의 거리를 가늠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상(像)을 형성해 갔던 일본 근세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점복 또한 당대의 언어론 및 언어현상과 멀지 않은 거리에서 존재하면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 KCI등재

        사상사 연구의 실마리로서의 신대문자 - 이즈모(出雲) 문자를 둘러싼 근세 전기의 동향 -

        윤조철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4 No.-

        신대문자(神代文字)는 한자가 전래되기 이전 일본 열도에서 사용되었던 고유의 문자라고 여겨진다. 다만 그 비역사적인 성격 때문에 문자 자체가 진지하게 검토되는 일은 많지 않고, 오히려 일본의 자문화 중심주의나 ‘일본적인 것’의 맹목적 추구를 비판하는 맥락에서 언급되 는 일이 많다. 신대문자는 히라타 국학(平田国学)에서 활발히 논의되었다. 따라서 근세 후기 의 국학 언어론이나 일본의 자문화 중심주의 해명의 일환으로 신대문자에 관심을 갖는 것은 일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신대문자가 오로지 근세 후기에 발현된 국수주의 적인 망상의 산물에 불과하다고 치부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신대문자의 역사적 출현에 유의하면서 이즈모 문자와 관련된 근세 전기 의 자료를 검토했다. 전반부에서는 다치바나 미쓰요시(橘三喜)와 에도 스이카파인 아토베 요 시아키라(跡部良顕) 및 도모베 야스타카(伴部安崇)를 중심으로 에도 인근에서 이즈모 문자를 둘러싸고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에 주목했다. 미쓰요시 및 그로부터 이즈모 문자를 전수받았 다는 다카하시 미쓰요리 관련 자료를 검토한 결과, 미쓰요시와 야스타카가 모두 히카와 신사 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본고에서는 미쓰요시와 에도 스이카 파 사람들이 학문이나 인간관계를 통해 어떤 식으로든 연결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정황들을 제시했다. 한편 후반부에서는 요시아키라와 야스타카의 신대문자론 저작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그 들의 신대문자론의 윤곽을 파악하고, 이즈모 문자를 둘러싸고 전개된 신대문자에 대한 인식 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했다. 요시아키라는 신대문자를 본 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사노 오가 제작한 이즈모 문자가 진정한 신대문자라는 확신을 피력했고, 신대문자를 가나의 기원 으로 보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야스타카는 전체적으로는 스승 요시아키라의 관점 을 계승하면서도, 자신이 입수한 이즈모 문자를 기준으로 삼아 기존의 신대문자론을 재검토 했다. 아울러 야스아카에게 있어서는 신대문자와 오십음의 관계가 한층 명확하게 인식되고 있었다는 점도 중요하다. 본고는 신대문자가 근세 사상사 연구의 좋은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 다. 양과 밀도에 있어서 근세 전기의 신대문자론 문헌은 히라타 국학의 그것에 미치지 못하 나, 전기의 사본 단계에서 신대문자가 유포되는 과정이 당사자들의 학문적 계보관계나 연결 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신대문자론이 필연적으로 신화시대와 일본어에 대한 모종의 인식 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내용적으로도 사상사 연구의 자료로 활용될 여지가 충분하다. It is believed that jindai moji(神代文字) is the original system of script used in Japan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because of its ahistorical nature, the characters are rarely given serious consideration. Rather, it is often mentioned in the context of criticizing Japan’s ethnocentrism or the what is referred to as a blind pursuit of “Japanese things.”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jindai moji of the early modern period related to the Izumo script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historical appearance of the jindai moji. For example, Izumo characters can even be seen in documents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related to a person named Mitsuyoshi Tachibana(橘三喜). In the modern study of jindai moji, there is a tendency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otive of the emergence of the jindai moji as a Japanese “cultural complex” for China. However, the history of the jindai moji, which was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guistic theory and ideology of the time, and consists of contributing factors that are more than just aberrant psychological manifestations. In that sense, this paper argues that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jindai moji and its possible originations focusing on the Edo period can be a valuable approach to the investigation of jindai moji. This in turn can lead to objective historical factors that can better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jindai moji.

      • KCI등재

        야마다 요시오(山田孝雄)의 신대문자 부정론 재고

        윤조철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2 일본연구 Vol.37 No.-

        신대문자는 한자가 전래되기 이전 일본에서 사용되었다고 믿어지는 고유의 문자이다. 에도시대에 들어 자국의 전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특히 신도가들 사이에서 신대문자가 하나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그런데 18세기에 처음으로 다수의 실물 문자가 등장하면서 신대문자론은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신대문자의 존재 여부뿐만 아니라 특정 실물 문자의 기원, 진위, 소재지, 전승 관계 등이 새로운 문제로 부상했다. 신대문자의 존재를 긍정하는 입장에서 관련된 논의를 주도한 것은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와 그의 후예들이었다. 근대 이후 신대문자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지는 상당히 약화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대문자 및 그 문자로 기록된 고대의 문헌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일본서기 와 고사기 에 앞서는 신대문자 사료가 존재한다는 주장을 좌시할 수 없었던 야마다는 81세의 고령에 신대문자를 부정하는 삼부작 논문을 집필했다. 그의 논문으로 인해 신대문자의 유무에 관한 논쟁은 일단락되었다는 것이 학계의 공통 인식이다. 본 논문은 신대문자 연구에 한 획을 그은 야마다의 1953년 논문들을 재검토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야마다는 ‘신대문자의 부정’이라는 논쟁적인 동기에서 논문을 집필했고, 그의 견해는 학계의 정설이 되었다. 즉 학문적으로 신대문자의 현존은 확실히 부정된 것이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지금은 야마다가 신대문자를 부정한 논거는 잊혀지고 ‘신대문자는 없다’는 결론만이 피상적으로 언급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야마다가 논문에서 제시한 것은 객관적이고 완전무결한 논증이 아니라 신대문자에 관한 다분히 주관적인 관점 및 그것에 기반하는 일련의 경험과 지식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야마다의 논증 내용에 대한 판단은 유보하고 그것의 논리와 의미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과거의 신대문자 논쟁을 재점화 시키는 것이 본고의 의도는 아니다. 본 논문은 네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야마다의 논문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신대문자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개략적으로 검토한다. 둘째, 1953년 논문에 선행하는 야마다의 1937년 연구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관점을 지적하고, 1953년 논문의 개요를 제시한다. 셋째, 야마다가 신대문자를 부정하는 논리를 다섯 가지로 유형화 하여 서술한다. 넷째, 야마다 논문의 자료 해석상의 문제점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검토한다. 야마다는 신대문자가 풍문과 유사하게 익명성에 기대어 확산되는 정보라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그는 신대문자가 ‘잘못된 풍문’임을 입증하려고 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야마다의 전제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신대문자가 필사본을 통해 유포되던 단계에서는 어느 정도 출처와 전달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기명(記名)’ 정보에 가까웠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야마다는 신대문자의 역사에서 주요한 문헌들 사이의 ‘오류’의 영향관계를 중시했지만, 본 논문에서는 신대문자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의 학문적 인간적 관계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할 것이다. Jindai moji has been argued to be Japan’s first indigenous script, historically prior to of kanji. In the Edo period, as interest in Japan’s indigenous traditions grew, jindai moji emerged as a central interest, especially among the Shintoists. However, when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first emerged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jindai moji entered a new phase. Its origin, authenticity as well as its geographical genesis, and the transmission routes that specific characters took, emerged as new scholarly issues. It was the Kokugaku scholar Hirata Atsutane and his successors who led the discussion from the standpoint of affirming the authenticity of jindai moji. In modern times, the position of those who advocated the authenticity of jindai moji weakened significantly, but they nevertheless continued to argue that ancient documents written in this script were real. Unable to ignore the assertions that jindai moji predated Nihon Shoki and Kojiki, Yamada Yoshio at the age of 81 wrote a three-volume thesis refuting the authenticity of jindai moji, which settled the debate. As a result, Yamada’s claims became a common viewpoint in modern academi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Yamada’s 1953 thesis, which made a major mark in the study of jindai moji. Yamada wrote his dissertation with the controversial motive of refuting the authenticity of jindai moji, a stance which has prevailed in academia. However, paradoxically, it now seems that Yamada’s rationale has been forgotten and only his conclusion, that “there is no authentic jindai moji”, tends to be mentioned only in passing. In the following, this paper will attempt to focus on the logic and meaning of Yamada’s argument, while withholding judgment its validity. In other words, it is not the intention of this paper to rekindle the past debate on jindai moji. The argument of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I will briefly review how research on jindai moji has been conducted from the time of Yamada’s thesis to the present. Second, the characteristic viewpoint found in Yamada’s 1937 study, which preceded the 1953 thesis, is discussed, and an outline of the 1953 thesis is presented. Third, I will describe the elements of Yamada’s logic in casting doubt on jindai moji by categorizing them into five types. Fourth, the problems in Yamada’s thesis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ource materials he used are divided into two types and reviewed. Yamada seems to have considered the knowledge of jindai moji to have been spread anonymously. Based on this assumption he attempted to prove that jindai moji was no different from “false rumors.” However, there is a flaw in Yamada’s premise, which this paper shows by pointing out the stage when jindai moji circulated in manuscript form, in texts with named authors whose sources and transmission lineages can be traced. Although Yamada emphasized the influence of what he called “errors” in the major texts in the history of jindai moji,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academic network of people connected through jindai moji in order to explain them.

      • KCI등재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의 신대문자 수집과 출판 ─ 근세 신대문자의 존재방식의 변화에 주목하여

        윤조철 일본사학회 2023 일본역사연구 Vol.62 No.-

        본 논문에서는 신대문자의 ‘수집’과 ‘출판’이라는 관점에서 근세의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의 신자일문전 을 분석한다. 신자일문전 은 근세 신대문자의 역사에서 단연 중요한 의미를 갖는 문헌인 만큼 그동안의 연구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신대문자를 둘러싼 아쓰타네의 언설과 국학사상과의 조응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연구들은 그의 신대문자론을 히라타국학의 논리적인 귀결로 여기거나, 더 나아가 근세 신대문자의 역사 전체를 히라타국학의 파생물이라고 보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신자일문전 은 당시의 주요한 신대문자 관련 자료와 문헌을 망라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자인 아쓰타네의 신대문자 수집 및 고증 과정, 그리고 무엇보다 신대문자를 둘러싼 그와 지인들의 학문적 협력 관계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주는 소중한 정보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자일문전 에 실린 자료의 오류 및 허위 가능성에 유의하면서 이 책을 실마리 삼아 근세 신대문자의 역사를 탐구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아쓰타네가 신대문자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의 결절점이었다고 파악하고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서 그것을 논증하고자 했다. 첫째로 신대문자는 근세 전기부터 특정한 종교적 권위와 결부된 비전의 형태로 존재했다. 아쓰타네의 신자일문전 은 신대문자의 존재(매개)방식을 비전에서 출판으로 이행시켰다. 둘째로 시간이 흐르면서 신대문자는 소수의 학자들 사이에서 고증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신자일문전 에 수록된 신대문자 중에서 다수는 이런 고증적 관심 속에서 아쓰타네의 주변사람들이 자율적으로 수집한 것을 한데 모든 것이지 아쓰타네의 지시 하에 문인들에 의해 일괄적으로 수집된 것이 아니었다. 셋째로 신자일문전 의 핵심적인 아이디어와 자료는 사토 노부히로의 신자일문고 와 대동소이하다. 이는 만약 신자일문고 가 먼저 성립했고 아쓰타네가 그 책에 가필을 하는 형태로 신자일문전 을 집필했다면 신자일문전 의 신대문자론을 히라타국학의 귀결이라고 보았던 종래의 이해가 크게 수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is paper analyzes Hirata Atsutane's Kannahifumiden(神字日文傳) from the perspectives of collection and publication of Jindai moji. Kannahifumiden holds paramoun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Jindai moji in the early modern period, making it a subject of considerable interest in previous studies. However, prior research focused on Atsutane's discussions about Jindai moji and its alignment with Kokugaku philosophy without definitively concluding whether his Jindai moji' theory was a logical extension of Hirata Kokugaku or if the entire history of the early modern preriod Jindai moji should be viewed as a derivative of Hirata Kokugaku. Kannahifumiden not only compiles key contemporary Jindai moji–related materials and documents but also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Atsutane's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process for Jindai moji, as well as the scholarly collaborations among him and his associates. Consequently, in this study, while being mindful of potential errors and inaccuracies in Kannahifumiden we utilize this work as a starting point for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Jindai moji of the early mondern period. In this paper, we aim to establish that Atsutan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history of Jindai moji and present arguments in three directions. Firstly, Jindai moji existed in the form of secret teaching associated with specific religious authority from the early modern era. Atsutane's Kannahifumiden transformed the mode of existence (mediation) of jindai moji from secret teaching to publications. Secondly, over time, jindai moji became recognized as a subject of investigation among a group of scholars. Many of the jindai moji included in Kannahifumiden were collected independently by Atsutane's associates out of their own scholarly interest, rather than being uniformly collected under Atsutane's direction. Thirdly, the core ideas and materials in Kannahifumiden closely resemble those in Sato Nobuhiro's Kannahifumikou(神字日文考). This implies that if Kannahifumikou was writtetn first, and Atsutane wrote Kannahifumiden by copying from that book,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that Atsutane's jindai moji theory was a result of Hirata Kokugaku would require significant revision.

      • KCI등재

        김효경 연구를 위한 예비적 검토: 연구이력과 독서목록을 중심으로

        윤조철 ( Yun Jocheol ) 종교문화비평학회 2024 종교문화비평 Vol.45 No.45

        김효경(金孝敬)은 일제시대에 일찌기 일본의 종교학을 접하고 조선의 종교를 연구한 인물이다. 근년 세 권의 김효경 저작집이 간행되어 연구의 문턱은 획기적으로 낮아졌고 축적된 선행연구를 통해 그의 생애와 학문에 관해 다소나마 윤곽을 그리는 일도 가능하게 되었지만 그가 생산한 적지 않은 분량의 텍스트를 분석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향후의 연구를 위한 예비적 작업의 일환으로서 김효경에 관한 ‘사실들’(그의 이력 및 저작목록과 독서목록)을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김효경의 저작을 읽어가는 과정에서 단편적인 정보들이 상호 연관되며 일련의 의미있는 흐름이 드러나거나 새로운 추정의 단서가 마련되기도 했다. 본론에서는 세 부분-연구주제의 변화, 교육자로서의 이력, 독서목록으로 보는 학문의 성격-으로 나누어 김효경의 연구활동의 궤적을 검토했다. 이 글에서는 김효경이 다이쇼대학 종교학연구실을 졸업한 후(~1931) 동 대학 종교학연구실의 부수(1932~1933)를 하면서 의욕적으로 무속 연구에 뜻을 두기도 했다가, 연구비를 지원받으면서 본격적으로 풍수 연구를 진행했고(1935~1936), 일 년 동안의 공백기(1937)를 거친 후 중일전쟁 이후의 급박한 정세 속에서 중국과 남양에 관한 계몽적인 차원의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해외신사 사관양성소 강사(1938~)나 만선강좌·다이쇼대학 강사(1940~) 등으로 일했다는 정도의 간단한 도식을 얻게 되었다. 김효경은 중일 전쟁 직후부터 시세에 기민하게 대응하면서 많은 계몽적인 글을 집필했지만, 그가 이전에 해오던 통상적인 학술활동의 방식과는 결이 달랐기 때문에 이를 평면적으로 김효경 학문의 ‘지역적 다양성’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편 향후에 김효경의 학문을 보다 내실 있게 평가하기 위해 동시대에 조선의 종교를 연구했던 학자들과의 비교 검토가 불가결하다는 것은 새삼 말할 필요도 없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김효경이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요하게 참조한 학자들의 연구를 포괄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제시한 독서목록이 그 단서가 되기를 바란다. Kim Hyo-kyung, a figure in the era of Japanese occupation, early on delved into Japanese religious studies and conducted research on Korean religions. In recent years, the publication of three volumes of Kim Hyo-kyung's works has significantly lowered the threshold for research, allowing a glimpse into his life and scholarly contributions. Despite this progress, the analysis of the substantial volume of texts he produced has been relatively lacking. Acknowledging this situation, this paper focuses on preliminary tasks for future research by organizing ‘facts’ about Kim Hyo-kyung, including his background, a list of works, and reading materials. The process of reading his works revealed interconnected fragments of information, unveiling meaningful patterns or providing clues for new interpretations. The main discuss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 changes in research topics, post-graduation career, and the nature of scholarship seen through the reading list - aiming to scrutinize the trajectory of Kim Hyo-kyung's research activities. The narrative outlines Kim Hyo-kyung's engagement with religious studies at Taisho University, including his enthusiastic pursuit of shamanistic studies, substantial funding-supported Fengshui research (1935~1936), a hiatus in 1937, and a subsequent shift to enlightening studies on China and Southeast Asia post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dditionally, he served as an instructor at overseas Shinto academies (1938~) and lectured at Manchurian courses and Taisho University (1940~). To comprehensively evaluate Kim Hyo-kyung's scholarship, future research must include a comparative review with contemporaneous scholars of Korean religions. The provided reading list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such investigations.

      • 야마다 요시오(山田孝雄)의 신대문자 부정론 재고

        윤조철 ( Yun Jo-cheol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2 일본연구 Vol.37 No.0

        신대문자는 한자가 전래되기 이전 일본에서 사용되었다고 믿어지는 고유의 문자이다. 에도시대에 들어 자국의 전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특히 신도가들 사이에서 신대문자가 하나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그런데 18세기에 처음으로 다수의 실물 문자가 등장하면서 신대문자론은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신대문자의 존재 여부뿐만 아니라 특정 실물 문자의 기원, 진위, 소재지, 전승 관계 등이 새로운 문제로 부상했다. 신대문자의 존재를 긍정하는 입장에서 관련된 논의를 주도한 것은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와 그의 후예들이었다. 근대 이후 신대문자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지는 상당히 약화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대문자 및 그 문자로 기록된 고대의 문헌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앞서는 신대문자 사료가 존재한다는 주장을 좌시할 수 없었던 야마다는 81세의 고령에 신대문자를 부정하는 삼부작 논문을 집필했다. 그의 논문으로 인해 신대문자의 유무에 관한 논쟁은 일단락되었다는 것이 학계의 공통 인식이다. 본 논문은 신대문자 연구에 한 획을 그은 야마다의 1953년 논문들을 재검토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야마다는 ‘신대문자의 부정’이라는 논쟁적인 동기에서 논문을 집필했고, 그의 견해는 학계의 정설이 되었다. 즉 학문적으로 신대문자의 현존은 확실히 부정된 것이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지금은 야마다가 신대문자를 부정한 논거는 잊혀지고 ‘신대문자는 없다’는 결론만이 피상적으로 언급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야마다가 논문에서 제시한 것은 객관적이고 완전무결한 논증이 아니라 신대문자에 관한 다분히 주관적인 관점 및 그것에 기반하는 일련의 경험과 지식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야마다의 논증 내용에 대한 판단은 유보하고 그것의 논리와 의미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과거의 신대문자 논쟁을 재점화 시키는 것이 본고의 의도는 아니다. 본 논문은 네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야마다의 논문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신대문자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개략적으로 검토한다. 둘째, 1953년 논문에 선행하는 야마다의 1937년 연구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관점을 지적하고, 1953년 논문의 개요를 제시한다. 셋째, 야마다가 신대문자를 부정하는 논리를 다섯 가지로 유형화 하여 서술한다. 넷째, 야마다 논문의 자료 해석상의 문제점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검토한다. 야마다는 신대문자가 풍문과 유사하게 익명성에 기대어 확산되는 정보라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그는 신대문자가 ‘잘못된 풍문’임을 입증하려고 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야마다의 전제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신대문자가 필사본을 통해 유포되던 단계에서는 어느 정도 출처와 전달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기명(記名)’ 정보에 가까웠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야마다는 신대문자의 역사에서 주요한 문헌들 사이의 ‘오류’의 영향관계를 중시했지만, 본 논문에서는 신대문자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의 학문적 인간적 관계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할 것이다. Jindai moji has been argued to be Japan’s first indigenous script, historically prior to of kanji. In the Edo period, as interest in Japan’s indigenous traditions grew, jindai moji emerged as a central interest, especially among the Shintoists. However, when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first emerged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jindai moji entered a new phase. Its origin, authenticity as well as its geographical genesis, and the transmission routes that specific characters took, emerged as new scholarly issues. It was the Kokugaku scholar Hirata Atsutane and his successors who led the discussion from the standpoint of affirming the authenticity of jindai moji. In modern times, the position of those who advocated the authenticity of jindai moji weakened significantly, but they nevertheless continued to argue that ancient documents written in this script were real. Unable to ignore the assertions that jindai moji predated Nihon Shoki and Kojiki, Yamada Yoshio at the age of 81 wrote a three-volume thesis refuting the authenticity of jindai moji, which settled the debate. As a result, Yamada’s claims became a common viewpoint in modern academi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Yamada’s 1953 thesis, which made a major mark in the study of jindai moji. Yamada wrote his dissertation with the controversial motive of refuting the authenticity of jindai moji, a stance which has prevailed in academia. However, paradoxically, it now seems that Yamada’s rationale has been forgotten and only his conclusion, that “there is no authentic jindai moji”, tends to be mentioned only in passing. In the following, this paper will attempt to focus on the logic and meaning of Yamada’s argument, while withholding judgment its validity. In other words, it is not the intention of this paper to rekindle the past debate on jindai moji. The argument of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I will briefly review how research on jindai moji has been conducted from the time of Yamada’s thesis to the present. Second, the characteristic viewpoint found in Yamada’s 1937 study, which preceded the 1953 thesis, is discussed, and an outline of the 1953 thesis is presented. Third, I will describe the elements of Yamada’s logic in casting doubt on jindai moji by categorizing them into five types. Fourth, the problems in Yamada’s thesis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ource materials he used are divided into two types and reviewed. Yamada seems to have considered the knowledge of jindai moji to have been spread anonymously. Based on this assumption he attempted to prove that jindai moji was no different from “false rumors.” However, there is a flaw in Yamada’s premise, which this paper shows by pointing out the stage when jindai moji circulated in manuscript form, in texts with named authors whose sources and transmission lineages can be traced. Although Yamada emphasized the influence of what he called “errors” in the major texts in the history of jindai moji,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academic network of people connected through jindai moji in order to explai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