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이중원관의 냉각과정에 미치는 과냉각의 영향

        윤정인,김재돌,Yun, Jeong-In,Kim, Jae-Dol,Kato, Toyofumi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0 No.10

        A fundamental study in cooling and solidification process focused on ice storage was performed, including the interesting phenomena of density inversion, supercooling and dendritic ice. A numerical study was performed for natural convection and ice formation in the cooling and freezing processes with supercooling in a space between double cylinders. When water was cooled under the freezing point by a cooling wall in a cavity, solidification was not started at once, but a subcooled region was formed near the wall. Especially, when the cooling rate was low, subcooled region extended to a wide area. However, after a few minutes, supercooling is released by some triggers. Dendritic ice is suddenly formed within a subcooled region, and a dense ice layer begins to be developed from the cooling wall. Due to the difficulties, most previous studies on solidification process with numerical methods had not treated the supercooling phenomena, i.e. the case considering only the growth of dense ice. In this study, natural convection and ice formation considering existence of supercooling and dendritic ice were analyzed numerically with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boundary fixing method.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were well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SCOPUSKCI등재

        수중 하베스트형 빙축열 시스템의 운전특성 실험

        최인수,김재돌,윤정인,Choe, In-Su,Kim, Jae-Dol,Yun, Jeong-In 대한기계학회 200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5 No.5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 for making and separating ice in-water and saving floated ice by installing an evaporation panel in an ice storage tank. The new method shows very good heat transfer efficiency than that of the convectional method. It is because the evaporation panel is directly contacted with water in the storage tank.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varying inlet and outlet refrigerant temperatures of its evaporato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in-water harvest-type ice storage system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emperature and pressure at each point of the ice storage system and power required to operating compressor respect to the changes of the inlet and outlet refrigerant temperature of evaporator. It can be think that defrost frequency decreased and heavy ice created as the refrigerant temperature of evaporator outlet and defrost setting temperature is low so gotten result can effect to release efficiency. Also, consumption power, condensing heat quantity, refrigerating capacity and performance efficiency decreased as time goes by.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the basic data for system optimiz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other fields.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강좌(3)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2 No.-

        사진을 결정하는 것은 노출 구도 초점 이라 했다. 이 3박자가 완벽하게 되면 정말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다. 구도와 초점은 정해진 법칙이 있어서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선천적으로 감각을 타고나기도 하지만 노출만큼은 누구도 쉽게 가르쳐줄 수 없을 정도로 정말 영원한 숙제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열정을 가지고 정말 끊임없이 사진에 시간을 투자하여 많은 사진을 찍어봐야 한다. 노출 구도 초점에다가 '빛'을 보는 시각을 익힌다면 그야말로 자기만의 독특한 작품을 만들어 낼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빛의 방향에 따른 빛의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강좌(1) - 카메라 기능 제대로 알아야 사진과 친해진다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0 No.-

        사진의 디지털화와 대중화라는 말이 새삼스럽게 느껴지지 않을 만큼 사진은 너무도 친숙한 일상이 되었다. 똑딱이(콤팩트 디지털카메라) 카메라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DSLR(렌즈교환식 디지털카메라)의 보급률도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필자의 경험을 비추어보건데 카메라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줄 아는 이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 추측된다. 필자 역시 사진에 대해 깊이 몰랐을 적에는 항상 '자동(AUTO)모드'로만 촬영을 했다. 이후 자치구 문화원에서 사진에 관한 평생학습과정을 수료하고 사진동아리 활동과 함께 일주일에 한번정도 계속적으로 촬영에 나서면서 사진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게 되었다. 사진학과도 나오지 않은 필자가 초보자를 위한 촬영 가이드를 요청받았을때 부끄럽기도 했으나 '과부 심정 홀아비가 안다'는 속담처럼 사진을 배우는 입장에서 다른 초보자들도 필자와 같은 궁금증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용기를 내어 필자가 촬영현장에서 느꼈던 경험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자 한다. 사진에 대해 알아가면 갈수록 사진은 빛으로 쓰는 언어라고 감히 정의를 내려본다. 이번호부터 필자와 함께 빛을 찍는 사진의 세계를 같이 탐구해 보도록 하자.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촬영 기초강좌(5) -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한 '테크닉'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4 No.-

        세상에는 사진만으로 구사할 수 있는 언어가 있다. 사진에서 차지하는 구도는 사진 제작에서 본질적인 것이며 매우 중요성을 갖는다. 구도의 본질은 구성이고 그 목적은 주제를 강조하고 시각적으로 가장 유효적절하게 나타내려는 것이다. 좋은 구도는 눈을 즐겁게 하면서 관심을 끄는 한편 시각적으로 잘 표현된 사진은 단순한 사물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중요한 요소이다. 사진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구도까지 공부했으니 이제는 왕초보에서 '왕'자를 떼어내고 초보 사진가로서 세상의 보이는 모든 것들을 지휘해보자.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 강좌 (2) - 매뉴얼만 익히면 사진촬영이 즐거워진다 -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1 No.-

        지난호에 필자는 '카메라 매뉴얼을 최소한 10번은 정독하고서 촬영을 나가자'고 강조했다. 장소와 빛에 따라서 조리개와 셔터속도 조절로 인한 노출에 대해서 개념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이에 덧붙여 ISO등 노출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다. 조리개, 셔터속도, ISO 등 세 가지만 이해하면 사진촬영의 모든 것을 다 배운 것과 같다. 그래도 개념이 잡히지 않는다면 지금까지의 내용을 반복해서 읽고 실습해 보자, 특히 디카 사용자라면 각각의 셔터와 조리개 변경에 따른 사진의 변화를 바로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글로만 읽으면 어렵게 생각될 수도 있으나 직접 실습해 본다면 정말 금방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확신한다.

      • KCI등재

        공법분야 투고논문 : 마그나 카르타와 저항권

        윤정인 ( Jeong-in Yun ),김선택 ( Seon-taek Kim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4

        1215년 6월 15일 영국의 러니미드 초원에서 40인의 봉신들의 압박하에 존 왕이 날인함으로써 마그나 카르타가 탄생하였다. 이후 마그나 카르타는 몇 차례의 개정과 왕들의 반복된 승인을 통해, 그리고 영국의 실정법 속에 반영됨으로써, 영국 헌정에 깊이 뿌리내리게 되었다. 나아가 마그나 카르타에 담긴 - 이후에 매우 중요한 헌법적 원리 및 제도로 발전된 - 원칙들은 영연방,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의 헌법제정에 참고가 되었고, 세계인권선언 등 보편적 차원의 인권보장규범의 제정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 글에서는 마그나 카르타에 포함되었던 저항권의 의의와 내용, 후대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저항권이란, 국가권력에 의해 헌법질서에 중대한 침해가 이루어졌을 때 국민이 자신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기 위하여 국가권력에 대하여 실력으로 저항하는 주관적 권리를 의미한다. 마그나 카르타가 성립될 당시 존 왕은 반복된 패전과 과도한 세금 징수로 봉신들과 일반 백성들의 반란 위협을 받고 있었고, 결국 봉신들과 귀족들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양해각서인 마그나 카르타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마그나 카르타는 종래 법의 지배 바깥에서 권력을 행사하며 봉건적 의무를 남용하였던 왕을 국가의 법과 마그나 카르타의 효력에 기속시키게 된최초의 문서였다. 심지어 그러한 내용의 문서를 왕에게 직접 날인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마그나카르타는 그 자체로서 이미 폭정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마그나 카르타는 효력을 관철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제61조를 두고 있었는데, 동 조항은 마그나 카르타를 위반하여 봉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한 왕에게 25인의 봉신들이 실효적으로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었다. 즉 왕이 봉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함부로 침해할 경우 봉신들이 왕을 제재할 권리를 명시적으로 규정하였다는 점에서 저항권조항이 헌법적 문서에 규정된 최초의 사례로 볼 수 있다. 현대 입헌민주주의 국가들에서, 전제왕정에 대항하여 전개되었던 고전적 저항권사상이나 저항권 논리는 그 현재적 적실성을 의심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부당한 국가권력 행사에 대하여 저항하고, 자신에게 보장된 존엄과 자유와 권리의 보장을 관철할 수있는 수단으로서의 저항권은, 초실정법적 권리로서, 국민주권의 구체적 징표로서 그리고 정법(正法)을 지향하는 인간의 권리로서 여전히 중요성을 가진다. 800 years ago, Magna Carta was sealed by King John under the pressure of forty barons on 15 June 1215. Over time, Magna Carta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English laws and deeply embedded in the constitutional tradition of the Commonwealth states. The clauses in the Magna Carta,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institutions, gave great influence on constitution-making in many countries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such a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ignificance and contents of the right of resistance contained in Magna Carta and its influence today. The right of resistance refers to the subject right of the people against the exercise of state power when it violated to a great degree constitutional order. In 1215, King John faced with a serious threat of rebellion by barons and other subjects over recurrent defeat in the war and excessive tax burdens. King John had no choice but to make concessions that he should not infringe on the liberties and rights of barons and nobles. Magna Carta made the king’s power bound to the laws of the lan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humankind. In that the king could not help sealing on the Magna Carta against his own will, Magna Carts itself can be called a kind of resistance against tyranny. Moreover, the Clause 61 of the Magna Carta provided that the barons could distrain and distress the king and its possessions when he violated the liberties and rights of the barons enshrined in the Magna Carta. So, the Clause 61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s the first clause of sanction against the king in the constitutional document ever. In modern constitutional democratic states, in which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its mechanisms are well established, it could be doubted that the right to resistance against the king is still useful. However, the right of resistance is still important because it is a right of resistance against the unjust act of government and a right of asserting own’s dignity, liberty and rights. And it also implies the people’s sovereign power.

      • KCI등재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에 의한 헌법개정

        윤정인(Yun Jeong In)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7 世界憲法硏究 Vol.23 No.1

        촛불혁명과 대통령 탄핵 이후, 한국사회의 근본적 개선방향에 대한 시민사회와 정치권의 접근방식은 차이를 보인다. 시민들은 헌정의 정상화와 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위하여 촛불을 들고 광장으로 나왔고, 그 결과 신임을 잃은 정부수반을 파면하였다. 이는 우리사회에 새로운 헌법적 질서를 논의할 기회, 즉 ‘헌법적 모멘텀’을 가져왔다. 국회는 개헌특위를 통해 정부형태 개편을 포함한 개헌안을 마련하여 조속한 시일내 개헌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민들 대부분은 성급한 개헌논의에 대하여 비판적이다. ‘국민에 의한 혁명’과 ‘국민이 없는 개헌’의 역사가 또다시 반복되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주의국가의 헌법은 주권자인 국민의 문서이고, 국민의 참여로 정당성을 획득한다. 더욱이 국민에 의해 추동된 헌법적 모멘텀에 부합하는 헌법개정은 국민에 의하여,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하여 닥친 국가적 위기를 경제적ㆍ정치적 구조개혁과 사회적 가치의 재정립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였던 아이슬란드의 사례를 소개한다. 아이슬란드 국민들은 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위하여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헌법개정을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의 근본적 가치와 새 헌법에 들어갈 내용에 대한 합의에서부터 헌법개정안의 작성에까지 일반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헌법안을 심의하고 작성하는 단계에서는, 전세계에서 최초로,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여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크라우드소싱 방식에 의한 헌법개정’을 시도하였다. 아이슬란드가 집단지성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첨단 인터넷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헌법적 실험을 전개한 과정은,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 시민이 배제된 - 개헌논의에 여러 시사점을 준다. Concerning political and social reform of Korean society after the ‘Candle revolution’ and impeachment of a president, the civil society and the political sphere show different approaches to the problem. The people (or citizens) assembled and marched with candles in their hands on the square longing for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better society, and consequently, the head of government who lost the people’s trust was removed from the office. This brought our society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new constitutional order - in other words, we encountered a ‘Constitutional momentum’. The Special Committee on the Constitution, which was constituted in the Parliament at the end of last year, tried to proceed a quick process of constitutional amendment whereas most citizens are not in agreement. So the history of ‘revolution by the people’ and ‘constitution-making without the people’ is about to repeat itself. Constitutions in democratic countries are people’s documents and therefore gain legitimacy by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constitution-making process. Moreover, constitution-making in accord with the constitutional momentum driven by the people should be accomplished by the people and for the people. This paper introduces the Iceland’s constitution-making case after an economic crisis in 2008. Confronting unprecedented financial crisis and inefficient action by government, Icelandic people were deeply disappointed with political elites and looked back on the ground of the society, and then they decided to make a new constitution for re-establishment of social values. Many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onstitution-making, from the very first step to decide what were the most important values in the country and should be included in a new constitution and then they participated also in the next step to produce a draft. The most innovative and revolutionary point in democratic perspective in the process was that the draft for a new constitution was written with direct participation of its peopl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made it possible to make a crowdsourced constitution. The Iceland’s constitutional experiment, which combines the trust of collective wisdom with 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constitution-making, is full of suggestion concerning current discuss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 without citizens - in Korea.

      • 국민의 이름으로 국민을 도구화? - 포퓰리즘의 도전 앞에 선 정당민주주의와 시민교육

        윤정인(Yun, Jeong-In) 헌법이론실무학회 2017 헌법연구 Vol.4 No.2

        한국의 정당민주주의는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고, 세계 각국도 기성정당들과 정치인들에 대한 불만으로, 포퓰리즘 정당들이 약진하고 있다. 국내외 정당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는 최근의 현상을 공통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개념은 ‘포퓰리 즘(Populism)’일 것이다. ‘포퓰리즘’은 정치영역에서 낯선 개념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포퓰리즘은 정치적 병리현상 내지 대중을 선동하고 현혹하는 정치전략으로 부정적 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기성 정치인들을 자성하게 만들고 민주주 의를 더 활발하게 만드는 측면도 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전세계적인 포퓰리즘 현상에 주목하여, 이러한 현상을 가져오게 된공통적 원인에 우선 주목한다. 즉, 대의제 민주주의 내에서 일반 대중이 기성 정치에 대해 실망하고 혐오감을 가지게 될 때, 그리고 사회적ㆍ경제적 양극화가 심각할 때, 대중은 기성 정치인이 ‘더 이상 국민의 진정한 대표가 아니다’라고 여기고 그러한 불만을 포퓰리스트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지지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들은 사회적ㆍ정치적으로 풀기 어려운 문제에 대한 단순한 해법을 무책임하게 제시하여 보통 사람들에게 호소하고, 특정한 부류의 사람들을 적대화하여 대중을 선동하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다양한 헌법적 가치를 해칠 우려가 있다. 이때 국민 들은 포퓰리스트들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이 글에서는 한국의 정당정치에서 포퓰리즘은 어떤 특수한 요인에 의해 활성화되며 어떤 양상을 띄는지와 관련하여, 한국 정당의 태생적 문제와 포퓰 리즘이 활성화되기 쉬운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조건을 지적한다. 한국에서는 시민과 정치인들 모두 민주주의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며, 헌법적으로 보장된 다양한 정치참여 방법을 알지 못한다. 그리고 한국은 특유의 정치문화 뿐 아니라 시민들의 정치참여를 방해하는 제도적 장애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결론적으로이 글에서는 더 많은 ‘시민교육’과 ‘정치참여’를 포퓰리즘으로 인하여 초래된 정당민 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궁극적 방안으로 제안한다. Party democracy in Korea is not functioning properly. In many countries populist parties are rising dramatically. Such recent phenomenon around the world could be captured with a word: ‘Populism’. ‘Populism’ is not a strange concept in the field of politics. Generally populism is understood negatively as a political pathology or a political strategy which incites and deludes the people. Meanwhile, the populism also has a positive aspects in that it leads the politicians reflect themselves and activates the democracy in some degree. This article focuses on populism’s rise around the world nowadays and the common cause of it. When the people dissatisfied with or feel disgust at the established politicians, and when social and economic polarization gets serious, the people think that the established politicians are not their true representatives any more and vote for the populists or populist parties. The populists (and the populist parties) propose a simple solution to the serious problems in the society irresponsibly and show hostility toward certain group of people to gain popularity, hereby they could cause social conflicts and violate important constitutional values. In this situation, the people were degraded to the instrument of the populists. Concerning the special factors which activate the populism in Korean party politics as well as the tendency of populism in Korea, this article points out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s well as the basic problems of political parties in the Korean context. In Korea, not only the people but also the politician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democracy, therefore, do not familiar with the various ways of public participation. Moreover, there are many legal barriers which obstruct the people in participation in politics.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ultimate solution to overcome a crisis of party democracy caused by populism: more civic education and mor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