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정주 『화사집』의 문체 혼종 양상에 대하여 - 일상구어와 한자(漢字) 에크리튀르écriture의 문제를 중심으로

        윤재웅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4

        This essay is designed to emphasize the copious amount of Chinese vocabularies in Hwasajib by Seo Jeongju. The essay rather applies the concept of écriture signifying the historical products determined by different time, not the concept of literary style revealing personal differences. Among all anthologies of Soe Jeongju's poems, Hwasajib not only has the most excessive amount of Chinese characters, but also shows various symbolic processes in which Korean literary language had transformed from Chinese literary language to Chinese characters, finally to Korean alphabet (Hangul). It deserves a meaningful sample of the historical revolution of Korean writing style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This means that Hwasajib was written in the perspective of a young poet,revealing conflicts between literary language and colloquial language. These conflicts were found in diplomatic documents, newspaper, modern literature or other various printed media since the Declaration of Choseon National Language(朝鮮國文宣言) advocating “From Chinese literary language toward Korean colloquial language” in the first issue of the Independence newspaper (7th April. 1896). This aspect may be considered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hybrid writing style. Hwasajib 's hybrid writing style, caused by excessive use of Chinese vocabularies, contributes to not only collision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but also various competing, antinomic mentality in texts. However, it is clear that its unlimited openness produced a huge gap between the true pictures of everyday life's language. The hybrid writing style in Hwasajib has the quality of écriture on the borderline by revealing the tight aesthetical tension between an attractive dialect and an inviting inheritance of ‘Chinese character-culture memory.’ On the one hand,Hwasajib represents Korean colloquial language as an ancestral, national language; on the other hand, it is harmonized with the effort of language excavation of pan-literary circles in the 1930s, intentionally borrowing the traditional background kept by the gigantic écriture of Chinese language and Chinese characters. 이 글은 서정주의 『화사집』에 나타나는 과도한 한자 어휘를 주목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개인적 차이를 드러내는 문체style의 개념보다 시대에 의해 결정되는 역사적 산물을 의미하는 에크리튀르écriture의 개념을 활용한다. 『화사집』은 서정주의 모든 시집 가운데 과도할 정도로 한자가 많이 등장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어(文語)가 한문(漢文)에서 한자(漢字)를 거쳐 한글로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다채롭고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래서 우리는 이 시집을 개화기 이후 우리의 문체 변혁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한 사례로 기억할 만하다. 이는 ‘한문이라는 문어에 대한 조선어라는 구어로의 전환’을 주창한 『독립신문』창간호(1896.4.7)의 ‘죠션 국문’의 선언 이래 외교문서나 신문기사나 근대문학을 비롯한 각종 인쇄매체 등에서 벌어진 한 세대 동안의 ‘문어-구어’의 대결 양상이 한 젊은 시인의 의식 속에 압축적으로 재현되고 있다는 관점이다. 이를 『화사집』 문체 혼종 양상의 역사적 성격으로 불러도 좋다. 『화사집』의 과도한 한자 어휘 도입으로 인한 문체 혼종 양상은 ‘전통과 근대의 경계 충돌’을 비롯한 텍스트상의 다양한 대립적․이율배반적 심리를 드러내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하지만 결국 ‘무제한한 개방 성향을 드러내어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말의 실상과 큰 괴리’를 빚었다는 점도 분명하다. 또한 『화사집』은 ‘사투리’의 매혹과 ‘한문-문화기억’ 상속의 유혹 사이에서 일어나는 팽팽한 미적 긴장의 형식을 보여줌으로써 경계선상의 에크리튀르 성격도 가진다. 한편에선 조상의 언어이자 겨레의 언어인 일상구어가 재현되지만 다른 한편에선 한자 에크리튀르가 온존시켜 온 전통세계의 두터운 배후를 의도적으로 빌려 쓰려는 노력, 혹은 1930년대에 범문단적으로 요구되는 새로운 시대의 ‘언어 발굴’의 노력이 겹쳐진다.

      • 대구시 도시형 한옥의 녹지공간 구성 및 이용실태

        윤재웅,여미나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8 응용과학연구논문집 Vol.6 No.2

        본 연구는 도시형 한옥에서의 녹지공간에 대한 거주가의 인식과 구성 및 이용실태, 미래 요구 등을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형 한옥 거주자들이 자연을 인식하는 장소로는 주택내 식물, 주변의 산이나 강, 도로변 가로수나 꽃밭 등이었고, 대상은 식물, 곤충의 울음소리, 개울/연못 등이었다. 2. 조사대상 주택의 녹지공간은 주로 마당, 부속사 옥상, 담장 주위, 본채 기단부 등 이었으며, 마당은 대부분 생활기능을 담기 위해 비워두고 부분적으로 '화단', '화단과 화분', '텃밭', '정원' 등으로 꾸며, 관상수·채소류·화초류·유실수 등을 가꾸고 있었다. 3. 녹지공간에 대한 요구도 조사 결과에서는, 마당을 화단이나 정원 등으로 녹화하고, 본채 기단부와 부속사 옥상 화분에 채소나 화초류를 길러 가족의 취미생활 및 이웃과 함께 즐기며 주택 내·외부를 녹화하고 싶다는 요구가 높았다. 주택내에 두고 싶은 자연물은 나무나 화초, 개울/연못 등이 많았고, 기타 공충의 울음소리, 산이나 논밭, 구름/달 등을 보고 들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어 주택내·외부의 녹지 구성 뿐만 아니라 주변의 자연물을 시각적·청각적으로 느끼고 싶은 욕구가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조망을 위한 도심 주변부 스카이라인(skyline)에 대한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구시 도시형 한옥은 마당을 중심으로 녹지공간을 구성하여 일상생활과 더불어 가족들이 취미생활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거주자들의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거주자 속성 및 건축적 특성과의 관계, 양옥과의 비교연구 등을 통해 도심지 주변 주거의 질 향상을 위한 녹환경 관련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is a positive study for researching of the cognition, realities of composition and utiliz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future about Green spaces of the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nearby downtown of Taegu. This study is constructed to the actual and servey examination, and the subject areas were Sam-Duk-Dong and Su-Sung-D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weller more preferences anti-artificial and hearing than artificial and visually nature elements. 2) The best plant space was 'Madang', and the kind of best plant was ornamental. the main purpose of plants were admiration and to use as food. 3) The dweller's requirements rather hearing elements than visually, and they preference in indirectly method but they had subconsiousness about directly plant plan. Also they want to water space.

      • 大邱地域 近代住居建築에 關한 硏究

        尹在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89 연구논문집 Vol.38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rms of modern domestic architecture in Taegu area. In Teagu, the inflow of modern domestic architecture took place mainly through Catholic and christian groups on purely religious mission. and so, The styles of western religious architecture were Gothic, Georgian and Bunglaw ones. The main stream of the modern style domestic architecture by westerners was brick-building, the construction of which was chiefely executed by chineses and Japaneses. Bricks were supplied by the on the spot making by Chineses, and brick bond method of client's own countries was generally adoped rather than that of constructors. The style of building was also based on that client's own countries.

      •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의 최대 도달 가능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윤재웅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8 No.-

        본 연구는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가 물리적으로 도달 가능한 최대 수치에 관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선 이용자 만족도를 리커트 척도로 조사하여, 만점에 해당하는 수치를 최대 만족도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대중교통 사업자나 정부가 물리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서비스의 최대 수준과 각 개인이 리커트 척도 만점을 부여하는 서비스수준인 기대수준 간엔 차이가 존재한다. 즉, 물리적으로 가능한 최대 만족도 수치에 도달했음에도, 절대적인 리커트 척도점수가 낮은 경우 정책적으로 과도한 추가 투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최대 도달 가능 만족도 (Maximum Satisfaction) 지표를 제안하며, 이용자 만족도를 새로운 관점에서 볼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대중교통 환승실태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이며, 리커트 척도 자료에 대한 분석 모형인 Ordered Logit과 그 변형 형태인 Hierarchical Ordered Logit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개항(開港) 이후(以後) 대구지역(大邱地域) 근대주거건축(近代住居建築)에 관한 연구(硏究)

        윤재웅,Yoon, Jae-Woong 한국건축역사학회 1992 건축역사연구 Vol.1 No.2

        This Study is to analize the transfiguration of the domestic architectur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irty two houses which were located in Taegu province and constructed during the period from 1886 to 1945, were surveyed and analized about the characteristic and their transfiguration. The modern domestic architecture of Taegu province had been constructed greatly by the missonaries and Japanes.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modern houses in Teagu province can be devided into three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policy, housing styl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 first period (1886-1910) wa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house. Most of the mission houses of that period were made with brick structure of korean-western style or colonial style. In the second period (1911-1926), colonial, Japanese-western, Japanese housing style were co-exited in Teagu province. During the third period (1927-1945) new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reinforced concrete and mortar was introduced, therefore the houses become row house (a two or three-family house) and much simpler.

      • KCI등재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활용한 지능형 유사상표 검색 모형 개발

        윤재웅,이석준,송칠용,김연식,정미영,정상일 대한경영정보학회 2019 경영과 정보연구 Vol.38 No.3

        Recently, many companies improving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by building a powerful brand value which is recognized for trademark rights. However, as growing up the size of online commerce market, the infringement of trademark rights is increasing. According to various studies and reports,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companies infringing on their trademark rights are increased. As the manpower and the cost required for the protection of trademark are enormou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could not conduct preliminary investigations to protect their trademark rights. Besides, due to the trademark image search service does not exist, many domestic companies have a problem that investigating huge amounts of trademarks manually when conducting preliminary investigations to protect their rights of trademark. Therefore, we develop an intelligent similar trademark search model to reduce the manpower and cost for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hich is developed in this study, test data selected by intellectual property experts was used, and the performance of ResNet V1 101 was the highe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experimental results empirically demonstrate that the image classification algorithm shows high performance not only object recognition but also image retrieval. Since the model tha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learned through actual trademark image data,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applied in the real industrial environment.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상거래 시장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국제 및 국내 기업의 상표권이 침해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다양한 연구 및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기업 또는 개인이 국내 기업의 상표권을 침해한 사례와, 국내 기업 간 발생하는 상표권 분쟁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허청의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상표보호를 위한 사전 예방활동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는 선등록 상표에 대한 사전조사 또는 자사의 상표보호를위해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국내에서 선등록상표에 대한 사전조사를 위해 상용되는 서비스를 살펴보면 상표 이미지를 활용한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해 국내 대다수의 기업은 자사의 상표 보호 및 선등록 상표에 대한 사전조사 수행 시 방대한 양의 선등록된 상표를 수작업으로 조사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상표권 보호 및 선등록 상표에 대한 사전조사 수행 시 투입되는 인력 및비용절감과, 국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표권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성곱 신경망 기법을 활용한지능형 유사 상표 검색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지적 재산권 전문가가 선정한 테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지능형 유사 상표 검색 모델의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ResNet V1 101의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당결과를 통해 이미지 분류 알고리즘이 단순한 사물 인식 분야뿐만 아니라 이미지 검색 분야에서도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했으며, 본 연구는 실제 상표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했다는 측면에서실제 산업 환경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