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차등적 공간 높이를 갖는 단위주거로 구성된 층단형 집합주거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윤재신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5 No.6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living environment has experienced dynamic changes of built form One of the most distinguishable features of this transformation is the ubiquitous multi-story housing development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variety of space height in a dwelling unit of multi-story housing This paper introduces a new housing type, named as 'stepped-level' type The idea of stepped-level type came from the fact that a dwelling urea normally has two bays The multi-story housing of the stepped-level type can have spaces of different heights m a dwelling unit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split floors in the stepped-level type can be chosen by the designers without any design constra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design with the stepped-level type and to give a few exemplary 'support' designs in order to illustrate its capacity as a new architectural type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pped-level type are revealed by comparing the sectional types of multi-story housing The thematic principle of stepped-level type is explained m two separate operations in which a section set of sectional units is devised first and two section sets are loured horizontally to make a dwelling unit The merits and the prospective of stepped-level type are discussed after two stepped-level support designs of Hall-type and Gallery Access type are introduc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석굴암의 신화 분석과 건축공간 복원에 관한 연구

        윤재신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4

        Recognizing that the debate on the original form of the Seokguram Grotto is closely related to the mythologiz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which is far from factual understanding, this paper is prepared to restore the Seokguram Grotto based on scientific facts. To this end, we will first analyze its active meaning and fiction from three directions: the founding legend, the rediscovery story, and the concept and discourse of the Line of sight for Buddha statue (對佛像視準線), which have contributed to the mythologiz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The original restor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should be based on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Seokguram space. However, past debates and restoration attempts have been based on imagination and not on scientific knowledge. Therefore, Chapter 3 attempts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light environment of thr Seokguram Grotto and critically examines the existing errors and realistic mythological images to correct the public's spatial perception of Seokguram's architecture and to propose a rational restoration of Seokguram's architectural space. 본 논문은 석굴암 건축의 원형에 대한 논쟁이 사실적 이해와는 거리가 먼 석굴암 건축의 신화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고,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여 석굴암 건축을 복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석굴암 건축의 신화화에 기여한 창건설화, 재발견설화, 대불상시준선(對佛像視準線)의 개념과 담론 등 세 가지 방향에서 그 적극적 의미와 허구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석굴암의 원형 복원은 석굴암 공간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논의와 복원 시도는 과학적 지식이 아닌 상상력에 기반한 것이었다. 따라서 3장에서는 석굴암 석굴의 빛 환경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시도하고 기존의 오류와 사실적 신화 이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석굴암 건축에 대한 대중의 공간 인식을 바로잡고 석굴암 건축 공간의 합리적 복원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석굴암의 돌은 말한다: 석불사 석굴의 건축 평면과 벽면 설계

        윤재신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건축역사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sonably derive the plan and wall design of Seokbulsa Grotto.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forms of the current Seokguram, toexamine the completed architectural forms of the Seokbulsa Grotto, and to reasonably infer theplan and wall design of the Seokbulsa Grotto. Seokbulsa Grotto was designed as 'coherentmodules' and was built by the dry construction method of coordinating 'module parts'. The designprinciples governing Seokbulsa Grotto are the spatial axis of symmetry, modular coordination, andthe plan grid of a quarter Tang-Ruler(TR: 唐尺). The plan design of the Seokbulsa Grotto is inferredas follows. In the main chamber, Ansang-stone’s diameter is 24TR, and Flagstone’s diameter is24.5TR. In the front chamber, the width between the two Ansang-stones facing each other is 22TRand Ansang-stone’s depth is 12TR, while the width between the two Flagstones facing each other is22.5TR and Flagstone’s depth is 12TR. In the passageway, the width between the two Ansang-stones facing each other is 11.5TR and Ansang-stone’s depth is 9TR, while the width between thetwo Flagstones facing each other is 12TR and Flagstone’s depth is 8.75TR. The distance from thecenter of the main chamber to the entrance of the passageway is 10.5TR. Therefore, the total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lan design of Seokbulsa Grotto is 43.5TR at the level ofthe Ansang-stones, and 44TR at the level of the Flagstones. 본 논문의 목적은 석불사 석굴의 평면과 벽면 설계를 합리적으로 도출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현재 석굴암의 건축 형태를 분석하고, 석불사 석굴의 준공된 건축 형태를 점검하여, 석불사 석굴의 평면과 벽면 설계를 합리적으로 추론하는 것이다. 석불사 석굴은 ‘정합적 모듈’로 설계되고, ‘모듈 부품’의 정합으로 건식 시공되었다. 그러나 석불사 석굴은 수리공사의 습식 시공으로 일체화됨으로써, 좌우 대칭이 미세하게 일그러진 석굴암으로 재창조되었다. 석불사 석굴의 설계에서 공간 대칭축은 유지되면서 정합적 모듈 설계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했다. 『석굴암 수리공사 보고서』에서 임의로 창안한 허구의 ‘대불상시준선(對佛像視準線)’은 공간 대칭축의 설계 원리를 약화시켰다. 불상판석의 폭은 4당척으로 설계되었다. 주실 안상석의 길이 치수를 분석해 보면, 석불사 석굴의 평면 설계는 1/4당척 단위의 그리드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졌다는 합리적 추론이 가능하다. 석불사 석굴을 지배하는 설계 원리는 ‘공간 대칭축’과 ‘정합적 모듈 설계’ 및 ‘1/4당척 단위의 평면 그리드’이다. 석불사 석굴의 평면 설계를 다음과 같이 추론한다. 주실에서 안상석 직경은 24당척이고, 불상판석 직경은 241/2당척이다. 전실에서 안상석 사이의 폭은 22당척이고, 깊이는 12당척이지만, 불상판석 사이의 폭은 221/2당척이고, 깊이는 12당척이다. 통로에서 안상석 사이의 폭은 111/2당척이고, 깊이는 9당척이지만, 불상판석 사이의 폭은 12당척이고, 깊이는 83/4당척이다. 주실 중심에서 통로 입구까지의 거리는 101/2당척이다. 그러므로 석불사 석굴의 평면 설계에서 종 방향의 전체 길이는 안상석 레벨에서 431/2당척이고, 불상판석 레벨에서 44당척이다.

      • KCI등재

        영암사지(靈巖寺址) 금당의 목조 가구구조(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윤재신,Yoon, Chae-Shin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건축역사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Buddhist temple, Kumdang in Youngamsaji which assumed to be built in the 9th century of Unified Silla Dynasty. The remaining site of Kumdang in Youngamsaji is investigated thoroughl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bay size and column distribution. Th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which were built in the same period also have the same frame type as Youngamsaji Kumdang. Thes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Kumdang in Youngamsaji are meticulous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bay sizes and measuring modules. The framework schema is devised as a conceptual tool to conjecture wooden frame structures of Buddhist temple. A theoretical differentiation between frame type and frame structure is attempted to formulated a wooden frame structure as a stepping-stone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mainly follows the oldest Korean wooden pavilion, Muryangsujeon in Busuk temple, with a hip and gable roof.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is reconstructed through 3D computer modeling to such an extent that every wooden components of the structure can be 3D printed. The reconstruction also takes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통합형 소규모 초등학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개방형건축을 적용한 아파트먼트 1층의 리모델링을 중심으로

        윤재신,김진희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4

        The elementary schools in a large city are over-populat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enough estate for new school buildings due to fast raising land value. Therefore, a new type of school, that is, a mini-school, necessarily becomes a plausible candidate as a resolution to such problems that our school environment is facing today. The Ministry of Education supports this idea by proclaiming to study variety of school models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building more schools in Korea. Based on my research, I suggest a“mini-school” to be built within an apartment. A mini-school is a school that covers kindergarten and lower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Here, I assume that the kindergarten school should be included in public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靈巖寺址 금당의 목조 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윤재신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건축역사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Buddhist temple, Kumdang in Youngamsaji which assumed to be built in the 9th century of Unified Silla Dynasty. The remaining site of Kumdang in Youngamsaji is investigated thoroughl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bay size and column distribution. Th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which were built in the same period also have the same frame type as Youngamsaji Kumdang. Thes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Kumdang in Youngamsaji are meticulous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bay sizes and measuring modules. The framework schema is devised as a conceptual tool to conjecture wooden frame structures of Buddhist temple. A theoretical differentiation between frame type and frame structure is attempted to formulated a wooden frame structure as a stepping-stone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mainly follows the oldest Korean wooden pavilion, Muryangsujeon in Busuk temple, with a hip and gable roof.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is reconstructed through 3D computer modeling to such an extent that every wooden components of the structure can be 3D printed. The reconstruction also takes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9세기 초에 건립되었다고 추정되는 영암사지(靈巖寺址) 금당(金堂)의 복원 과정에서, 가구유형(架構類型)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도목수 얼개도식(framework schema)과 3D 디지털 모델링을 통해 가구구조(架構構造)를 구체적으로 도출해 봄으로써 실질적으로 건설 가능한 고대 목조불전의 복원을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한국에는 12세기 이전에 건립되어 온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건축 유구가 없다. 그러므로 9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불전을 복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도목수의 ‘얼개 도식(圖式: schema)’이라는 구상(構想) 도구를 설정하고, 이것에 표현되는 바탕 윤곽선을 이용하여 고대불전의 가구구조를 설득력 있게 추정하고자 했다. 도목수 얼개 도식의 개념을 배경으로 목조 전각의 가구유형과 가구구조의 개념 구분을 시도했다. 한국에서는 고대불전의 목조 가구에 대한 일차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현존하는 불전 중에서 팔작지붕으로 가장 오래된 부석사 무량수전의 가구를 기본 모델로 했다. 9세기 영암사지 금당의 복원을 도목수 얼개도식을 바탕으로 먼저 구상하였고, 그 다음 가구구조를 구체적으로 추정했다. 영암사지 발굴조사에서 규명된 초석 배열과 기단의 치수는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구조 복원에 필요한 일차자료로 활용했다. 영암사지 금당이 건립된 것과 비슷한 시기에 건립되었고, 초석들이 동일한 형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가지는 5개의 고대 불전을 조사 및 분석했다. 그것들에 대한 용척(用尺) 길이와 주간 길이에 대한 분석 및 해석 자료는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구조를 추정하는데 활용했다. 또한 영조법식에서 전하는 재분법과 가구형식들도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구조를 복원하는데 중요한 참조 자료로 활용했다.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구조 복원을 3D 디지털 모델링을 통해 구체적으로 수행하면서 목조 부품들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의장 기법에 관해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이와 동시에 목조 가구에 대한 전문가의 구조해석 자문을 이용했다.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3D 디지털 모델은 스케치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이를 이용하여 RP 모델을 제작했다. 고대 목조 전각이 하나도 온전하게 남아있지 않은 한국의 현재 상황에서, 고대 불전의 복원을 연구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영암사지 금당의 가구에 대한 실재적인 역사 규명이라는 고증적 차원에서는 근본적 한계를 갖고 있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