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D입체영화관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화적 요인

        윤재선(Jae-Sun Yun),임찬(Chan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3D입체영화 관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3D입체영화 관객의 관람만족도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 3D입체영화 산업의 발전전략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영화 관객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크게 영화 내부적 요소, 영화 환경적 요소, 영화 관객요소로 나뉘며, 그 중 영화 내부적 요소의 영향력이 나머지 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3D입체영화는 기존의 영화와 촬영, 상영, 관람방식, 인지과정 등 영화 환경적 요소와 영화 관객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큰 차이점을 보이므로 3D입체영화에서는 영화 환경적 요소와 영화 관객요소의 영향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3D입체영화 관객을 대상으로 관람만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피로감 개선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 된다. 둘째, 영화관 구조와 좌석배치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관객의 입장에서 납득할 수 있는 3D입체영화 가격수준을 책정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3D stereoscopic movie audiences' satisfaction in Korea, and to provide strategic solutions to improve audiences' satisfaction. According to study about movie audiences' satisfaction, factors that affect movie audiences' satisfaction are separated to movie internal factors, movie environmental factors and movie audience factors. And leverage of movie internal factors is bigger than either. But 3D stereoscopic movie is different from ordinary movie in shooting, screening, seeing and recognizing method. So it is expected that movie environmental factors and audience factors' influence is bigger than internal factors. So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3D stereoscopic audiences.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method to reduce visual fatigue is necessary for satisfaction. Second, it is required that improvement method of seat arrangement to provide high quality 3D stereoscopic contents. Third, level of 3D stereoscopic movies' price need to adjust to valid level.

      • KCI등재

        반복사운드 활용이 게임 유저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완석(Wan-Suk Kim),윤재선(Jae-Sun Yun),임찬(Chan Lim),민병철(Byung-Chul Min)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3

        게임 콘텐츠(game contents) 속 몰입을 위한 요소는 영상, 게임 인터페이스(game interface) 등 여러가지이지만 그 중에서도 사운드(sound)의 첨예한 운용은 게임 개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게임 유저(game user)는 적절한 조건이 충족되면 게임 안에서 몰입하여 과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조건을 위해 게임 속 몰입 요소들이 존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사운드의 운용 방법중에 특히 반복적인 사운드를 통해 유저를 몰입하게 만드는 과정을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Csikszentmihalyi. M)의 플로(flow)이론, 도너 호프만(Donna L. Hoffman)과 토마스 노박(Thomas P. Novak)의 플로변인을 통해 분석하고, 진행과정에서 선행연구인 게임과 몰입간의 시각적 관점의 분석과도 비교한다. 분석 텍스트(text)로는 퐁포코(Ponpoko, Sigma Enterprise Inc., 1981), 바이오해저드4(BioHazard 4, Capcom, 2007)를 선정하여 해당 텍스트 중 반복적인 사운드와 일반적인 사운드를 구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방법은 빈도분석, 다변량 분산분석이다. There are elements for the game user get into the emotion of flow (the mental state of operation in which the person is fully immersed in what he or she is doing by a feeling of energized focus, full involvement, and success in the process of the activity). In game contents, for example, a considerable sophisticated application of 'sound'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must be considered for a qualified game development process. If a proper audio condition is satisfied, a game user is intrinsically solving problems by auditorial sense and the participant get into immersing into the game spontaneously. There are elements in game contents storytelling for the user to be in flow condition, this study will be analyzing a game user's flowing, especially with repetitive usage of sound. To be accurate, 'flow analysis' of Csikszentmihalyi. M, and 'flow factors' of Donna L. Hoffman & Thomas P. Novak, in addition, would be proper references in the research. comparing to a precedent study that analyzed a game and flow focused on visual elements. Ponpoko(Sigma Enterprise Inc., 1981) and Bio Hazard 4(Capcom, 2007) will be given as the main texts. To achieve the desired proposition in the study, user's reaction is monitored by listening repeatable and ordinary sound. Questionnaires are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 KCI등재

        움직임 감지 기반의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거울

        임찬(Chan Lim),윤재선(Jae-Sun Yu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1

        센서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미디어의 진화는 인터액티브 미디어아트라는 새로운 예술장르를 탄생시켰다. 그 중 디지털 거울은 컴퓨터비전 기술과 비디오아트의 융합을 기반으로 등장한 작품분야로서, 관객의 시각적 이미지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구성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디지털 거울의 미학적 측면과 높은 관객접근성을 바탕으로 많은 디지털 거울 작품이 등장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디지털 거울은 관객의 참여 정도와 무관한 시각적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관객참여와 상호작용 유지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의 디지털 거울에 차영상 기반의 움직임 감지 알고리즘과 파티클 시스템을 연동하여 관객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 거울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된 관객이미지를 처리하여 관객의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파티클의 속성에 적용시켜 관객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파티클 시스템을 디자인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관객의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표현했다. Development of sensing technology and progress of digital media have been creating new art genre named interactive media art. digital mirror working based on convergence between computer vision technology and video art, is expressing reconstituted spectator’s visual image through various mediums. From this aesthetical point and high accessibility towards spectators, many types of digital mirrors have been introducing. However, the majority of digital mirrors express visual images unrelated to degree of spectator’s participation and this caused obstruction to spectator’s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his paper proposes digital mirror operated by spectator’s movements read through particle system synchronized with motion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analyzing image difference. This work extracted the data of spectator’s movement by image processing and designed particle system changed by this data. And it expressed reconstructed spectator’s image.

      • KCI등재

        관객의 생체신호 분석을 통한 감성 변화

        김완석(Wan-Suk Kim),함준석(Jun-Seok Ham),손충연(Choong-Yeon Sohn),윤재선(Jae-Sun Yun),임찬(Chan Lim),고일주(Il-Ju K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8

        영상을 주의 깊게 시청하는 관객은 보이는 영상의 성격에 따라 여러 심적 변화를 경험한다. 기쁨, 슬픔, 놀람 등 관객이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 상태는 심리학에서 많이 활용되는 제임스 러셀(James Russell)이 정의한 감정 원형모형을 통해 정리된다. 관객이 느낄 수 있는 감정들 중에서도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언급한 언캐니(uncanny)는 기존의 명료한 정서적 개념들의 틈새에 존재하는 첨예한 중간자로 대변된다. 언캐니 현상은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불쾌한 부분이 쾌로 수용되는 상태, 즉 사회적 금기에 대해 긍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는 사회윤리적인 해석과 더불어 명확한 수리적 분석이 후행될 때 비로소 첨예한 심리상태로서 분석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감정 원형모형과 언캐니 상태를 분석하고, 관객의 언캐니 상태에 관한 가설을 설립하여 ECG(Electronic Cardiogram)와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측청과 같은 생체신호 실험을 수치화한 결과를 러셀의 감정 원형모형을 기반으로 분포, 거리, 시간 등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Audience observing visual media with care experience lots of emotional trans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media. Enjoy, sadness, surprising, etc, a variety of emotional state of audiences is often arranged by James Russell’s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utilized on psychology. Especially, in various emotions, ‘Uncanny’ mentioned by Sigmund Freud is represented a sharp medium existing in a crack of clearly emotional conception. Uncanny phenomenon is an emotional state of changing from unpleasant to pleasant on an audience observing visual media is been aware of immoral media generally, therefore, because this is a positive state on a social taboo, we need to analyze with a scientific analysis clearly. Therefore, this study will organize James Russell’s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and uncanny phenomenon, will be progressed to establish a hypothesis about a state of uncanny on audiences observing visual media and analyze results of the physiological signals experiment based on ECG(Electronic Cardiogram), GSR(Galvanic Skin Response) signals with distribution, distance, and moving time in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