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윤일훈,문원희,박수정 한국융합학회 2023 미래기술융합논문지 Vol.2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하위요인 간의 점수 비교를 통해 좋은 죽음의 속성 중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한 102명을 편의 모집하였다. 연구도구는 Schwartz 등의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을 번역한 도구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좋은 죽음 인식의 세 가지 하위요인별 점수의 평균차이를 보인 요인은 임상실습의 경험으로 도출 되었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3.13±0.36점)이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학생들(2.90±0.31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156, p=.002). 특히 임상실습 유경험자(3.46±0.39점)가 무경험자(3.16±0.37점)보다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친밀감에 대한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이 높았다(t=3.476,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상실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효과적 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goo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and compare sub-factors among the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s for the research method, 102 people who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were conveniently recruited. As a research tool,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by Schwartz et al. (2003) was translated by Lee (2017),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of the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were used. Factors showing average differences in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good death awareness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The mean of good death (3.13±0.36 points)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ou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2.90±0.31 points) (t=3.156, p=.002). In particular, the mean of good death for ‘clo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3.46±0.39 points)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3.16±0.37 points) (t=3.476, p=.001).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a good death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were in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for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in nursing students.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과 임종간호태도가 공감역량에 미치는 영향

        모서우,방가영,윤일훈,문원희 한국융합학회 2024 미래기술융합논문지 Vol.3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환자에 대한 간호태도가 공감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대학 생 155명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4월 11일부터 총 34일 이 소요되었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검정, 일원배치 분 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더미변수인 ‘지인의 죽음 경험’을 통제한 결과, 임종간호태도가 높을 수록(B=.312) 공감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인의 임종경험(β=.226), 임종간호태도(β=.220)였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다(F=6.968, p<.001). 하나의 더미변수(지인의 임종경험)와 2개의 독립변수(임종간호태도, 좋은 죽임 인식) 는 공감능력을 10.4%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간호대학 생의 공감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determine how nursing students' good death awareness and nursing attitudes toward dying patients affect their empath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5 nursing student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metho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6. Higher attitude toward care of dying (B=.312)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athy capacity (p<.010). The variables that affected nursing students' empathy capacity were end-of-life experiences of relatives (β=.226) and attitude toward care of dying (β=.220).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6.968, p<.001), explained 10.4% of empath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the empathy capacity of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