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제기록물의 통합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개발에 관한 연구

        윤은하,배삼열,심갑용,김용 한국기록관리학회 2014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proposed a metadata schema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produced individually. To achieve the goal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 studied comparison analysis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Korea, Australia, and England, as well as interviews with festival staffs. With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that compared the standardizations related to metadata and analysis of features in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this study proposed a metadata schema to describe various features on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The expec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which are created in various organizations related to festivals, can be managed effectively. Also, the proposed schema can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management for various types of festival archives and records.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으로 생산․관리하고 있는 축제기록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메타데이터와 축제기록물에 대한 문헌조사 및 한국, 호주, 영국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을 분석하고 축제조직위원회의 축제기록물 담당자 면담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축제기록물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를 제안함으로써, 축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관들로부터 생산되는 기록물의 통합관리의 효율성을 확보하여 축제 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 KCI등재

        법적 증거로서 기록의 속성에 관한 연구

        윤은하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60

        According to ISO 15489, records are “information” (ISO 15489-1: 2001, 3.15) that “an organization or individual produces, receives or maintains as evidence or information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its legal obligations or in the conduct of its business”. Records in KS ISO 15489 are also referred to as “information that is produced, received and maintained as evidence and information presented by the organization or individual in the course of performing legal obligations or in the course of busines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X ISO 15489). Based on the definitions, the nature of the legal traits of record is examined, focusing on the evidential elements of the record. ISO 15489에 따르면, 기록이란 “조직이나 개인이 법적 의무를 수행하거나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증거나 정보로서 생산, 접수, 유지하는 정보”(ISO 15489-1:2001, 3.15) 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록의 정의의 의미가 무엇인지, 기록의 법적 증거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상법과 형사소송법에서 언급한 기록의 용례를 살펴봄으로서 기록의 속성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 KCI등재

        북미 기록학의 동향과 전망 - 패러다임 변화를 중심으로 -

        윤은하 한국기록관리학회 2011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1 No.2

        In this article, the author introduces the paradigm shift in archival studies that occurs in north America. Although the dominant paradigm in the archival studies-the positivism paradigm-greatly contributed to build modern archiv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during last decades, new ideas and technologies led the archival communities to re-identify their social roles and powers and to adopt new values of archives and archivist. This essay argues that this changes is essential to our future and we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hanges from the broader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of archives studies, information studies, and history. 최근 전자기록의 등장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은 기록학계에 기술적, 이론적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기록학 패러다임의 다원화와 커뮤니티 아카이브의 확산으로 이어지며 서구 기록학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추세는 기록을 효율적 관리 대상으로, 기록관리의 기술적 문제를 강조하던 과거의 경향에서 벗어나, 기록과 기록관리의 의미를 사회적 산물로 이해할 것을 요구했다. 기록학 내부에서 행해진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록의 범주를 광범위하게 확장시키고 다원화된 새로운 기록 전통을 정립해 나가고자 했다. 현재의 변화는 표면적이고 일시적인 기술적 문제에 한정된 것이 아닌 기록의 본질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데, 본고는 북미 기록학계가 추구하는 변화에 대해 문헌정보학과 역사학의 변화의 맥락 속에서 그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통령기록물 재평가에 관한 소고

        윤은하 한국기록학회 2023 기록학연구 Vol.- No.76

        대통령기록물은 어떠한 방식으로 그 가치를 재평가하고 폐기되어야 할까. 현재 대통령기록물 재평가는 대통령기록물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공공기록물로서 대통령기록이 가지는 속성에 근간을 두고 7종으로 그 가치를 재평가하는 방식의 이중적 체계 안에서 운영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국내 대통령기록물 재평가제도의 특성을이해하고 현 재평가제도의 문제와 이슈를 정리함으로서 대통령기록물의 가치와 재평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미국의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서 규정한 대통령기록물의 재평가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국내 대통령기록물 재평가제도에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고자한다.

      • KCI등재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재고찰 - 클리포드 기어츠(Clifford Geertz)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윤은하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7

        It has been basic value and fundamental philosophy for a long time for archivists to protect neutrality and objectivity in records management. The demands to maintain objectivity of records management is directly related to protect the administrative and legal evidence of records for fulfilling jurisdictional goal, and more fundamentally, it is related with the intrinsic nature of archives. As an archivists’ expertise is seems to be derived from ability to give objective-judge on record value, and candor to organize and classify records. Thus, the international Code of Ethics of archivists stipulates that all such obligations directly or indirectly. However, since Hans Booms and Terry Cook emphasize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rchivists and highlighted the social power of archives, the discourse of archival objectivity gets to be given more attention to people. This article, following the cultural anthropologist Clifford Geertz’ interpretative methodology theory, examine the archival implications to adopt the theory,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ivity and archival otherness. 기록학이 일반 대중이나 사회적 소수자의 기억에 대해 관심을가지고, 그들의 기록을 수집하려는 시도를 한 지는 오래지만, 기록 공동체 간 문화적 이질성과 타자성에 대한 주목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우리가 문화적으로 우리와 상이한 공동체들의기록을 수집·정리할 때, 공동체의 기록과 기억을 그대로 옮겨올 수 없기 때문에 문화적 타자라 할 수 있는 공동체의 기억과타자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는 대단히 중요하다. 타자성에 대한 이해는 공동체 기억을 왜곡시키지 않고 보존하는데 근간이 되며 나아가 젠킨슨 이래 줄곧 논의되었던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관한 논제와도 관련이 있다. 본고에서 저자는 타자성에 대한 이해와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논의를 인류학 담론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징인류학자로 불리며 상징을 통한새로운 인류학적 해석 방법론을 주장한 클리포드 기어츠의 이론을 근간으로 기록학에서 타자성에 대한 논의를 소개했다. 저자는그의 해석적 방법론은 상이한 문화적 공동체에 속해 있는 아키비스트와 공동체 구성원 간의 상호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문화적산물로서 기록을 이해하는데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이러한 기어츠의 주장에 내포되어 있는 이러한 해석학의 기록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이를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방향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

        윤은하 한국기록관리학회 2012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2 No.2

        The author discusses the nature and scope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 through the debate to user studies in the 1980s and the 1990s. Until the 1990s, archivists paid little attention to studying their user population. A new approach to archival user service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public services of archives and resulted in active interaction with the public. Based on the discussion, the article examines the implication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 in Korean society. 본고는 1980년대와 90년대를 거쳐 미국과 캐나다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던 기록정보 서비스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록정보 서비스의 본질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당시 학자들은 논쟁을 통해 기록관리가 기록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바뀌어야 하는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피력했고, 기록관리의 의미와 원칙에 대해 재확인했다. 이러한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서비스 논쟁을 바탕으로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한국의 정보 공개 청구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록정보 서비스를 살펴보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시민기록에 대한 개념적 고찰

        윤은하,Youn, Eunha 한국기록학회 2023 기록학연구 Vol.- No.77

        In recent discussions on civil records, the term citizen records is being used instead of civil record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term 'citizen record' instead of the term 'civil record'.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how various words, including min, are understood and used in modern Korean politics and society, and the conceptual changes in relation to social changes in Korean society, so that we can name them civil records rather than civilian records. We want to find out the conceptual implications of what we do. To this end, first, we understand the concept of citizen as a historical contrast to the people, and second, we examine the meaning of citizen record management as part of citizenship.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associational civic movements, we will look at village development and community movements, and consider the political and social meanings of civic records produced by citizens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se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