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역세권 내 용도지역 상향이후 용적률 달성 요인 분석:

        윤은정(Eun-Joung Yun),최창규(Chang-Gyu Choi) 한국주택학회 2017 주택연구 Vol.25 No.3

        1995년 전후, 도시기본계획의 공간구조 실현을 위해 도시관리계획인 상업지역으로 변경 지정하였다. 상업지역 지정은 대부분은 역세권, 기성시가지에서 지구단위계획(당시상세계획)이라는 수단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실제 도시의 변화에 기여를 했는지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평가되지 못했다. 더욱이 지금도 다수의 자치구에서는 상업지역으로의 상향 지정을 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물, 필지, 역세권 등과 관련된 각종 서울시 공공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280개 역세권 범위를 대상으로 필지단위까지 분석하여 1995년 이후 상업지역 지정이 용적률과 상업,업무 용도의 밀도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136,834개 필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995년 이후 상업지역으로의 지정이 개발 밀도와 상업업무 용도의 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1995년 이전부터 상업지역이었던 지역에 비해서는 그 영향이 크다고 할 수는 없었다. 또 필지가 속해있는 역세권의 중심지 위계가 높을수록 더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일반적판단과는 달리 역세권의 중심지 위계는 개발밀도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전체차원에서 과거 20여년 간 정책결정자의 판단에 의존하였던 용도지역 변경의 효과에 대해 객관적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있겠다. 그러나 향후에는 지역별로 분석을 하거나, 지역특성에 관한 변수를 추가로 투입하여 보다 정교한 양상을 파악하여야 할 것이며, 나아가 합리적 정책결정을 지원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1995, commercial zones were designated by the Urban Master Plan of Seoul. Most of these areas were located in existing urban areas or station areas, and managed by district unit plans. However the demand for additional designations (or rezoning) of commercial areas has persisted, calling for an evaluation of the city’s zoning policy. Therefore, the scope of this research includes 280 subway areas of Seoul to analyze commercial areas in parcel units,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designation of commercial areas after 1995 influenced the density ratio and density of commercial and business uses. According to this empirical analysis on 136,834 parcels in total, the designation of commercial areas after 1995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density and the density of commercial use. Nevertheless, such effect was not as significant as shown in commercial areas that were commercial before 1995. Unlike the general notion that the higher the spatial hierarchy of which the station area and its parcels belongs to, the higher the development density of the station area, this research did not find such a positive effect of spatial hierarchy on development dens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de an effort to objectively analyze the effect of rezoning, which has been heavily reliant on the judgement of decision-makers for the past 20 years for the City of Seoul. However, further analysis on rezoning by region with additional variable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could help to gain a more sophisticated perspective, and could serve as a basis to support rational policy making.

      • KCI등재

        과학용어에 대한 `포털 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 설명의 비교 분석

        윤은정 ( Eunjeong Yun ),박윤배 ( Yuneba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1

        학생들의 과학 학습 및 일반 대중의 과학적 소양 함양 측면에서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을 통한 과학용어 교육 이외에 학생들이나 일반 대중이 직접 과학용어의 의미를 찾아보고 학습할 수 있는 보조 자료가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스스로 과학용어를 학습하기 위한 보조 자료들인 포털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에서 과학용어를 설명하는 글의 텍스트적 특성이 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에 얼마나 용이한지, 그리고 실제 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포털사전이나 표준국어대사전에 비해 과학교과서가 상대적으로 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에 쉬운 자료로 나타나기는 했으나, 세 자료 모두 학생들의 수준에 비해 이독성이 낮은 편에 속하며 이독성을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erms of science learning for students and of scientific literacy for the general public, understanding science terminology is very important. Aside from the science language education delivered in schools, we assumed that supplementary materials are necessary to search and study the meaning of science terminologies for students or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explanation texts of portal dictionary, Pyojun Korean Dictionary, and science textbooks are easy to read or understand for students and how the students perceive the explanations they present. The results show that science textbooks are easier to read and understand for students than the portal dictionary or Pyojun Korean Dictionary. However, all three materials have very low level of readability compared with students` average level. There definitely are rooms for improvement to increase their read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다중 의미를 갖는 과학용어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의미 처리 반응 조사

        윤은정 ( Yun Eunjeong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20 텍스트언어학 Vol.49 No.-

        This study examines if polysemy scientific terms interfere with students' science learning, and explores ways to solve students' difficulties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experience in polysemy scientific terms actually. I extracted polysemy scientific terms from science textbooks, and examined how successfully students deal with the meanings of these terms in scientific context. Pilot test was conducted to 324 high school students for extracting polysemy scientific terms that most s tudents know both scientific meaning and everyday meaning. A semantic association test consisting of 35 polysemy scientific terms and 15 monosemy scientific terms were developed. The semantic association test was conducted for other 335 high school students to confirm the semantic processing ability of polysemy scientific terms compared to monosemy scientific term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emantic processing by their grade levels of science and Korean language subject matter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having difficulty in processing the meaning of polysemy scientific terms compared to monosemy scientific terms regardless of grade and gender. Seco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was found to be helpful in the processing of meanings of monosemy scientific terms, but did not affect the processing of meanings of polysemy scientific terms. Third, students who were good at science but did not good at Korean language were found to be immature in meaning processing in both polysemy and monosemy scientific term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devising a more careful teaching strategy for polysemy scientific terms in science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matters to be noted in relation to Korean language ability in science teaching and evalu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중학교 "힘과 운동" 단원에 사용된 과학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단어 연상 분석

        윤은정 ( Eun Jeong Yun ),이윤주 ( Yun Joo Yi ),박윤배 ( Yun Ebae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3

        본 연구는 과학 시간에 사용되는 과학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머리 속 의미 구조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과학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힘과 운동’ 단원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과학 용어 26개를 추출하여 316명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어 연상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과학 용어에 대하여 매우 발산적인 의미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교사의 의도와는 다른 의미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추출되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이 과학 용어들에 덜 익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 용어를 사용할 때 용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등의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quire the semantic structure with science terminology used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and based on this, we wanted to look for the way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In this study, we extracted twenty-six science terminologies used in "Force and Motion" unit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and administered word association test using the 26 science terminologies to 316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result, we found that students had a divergent semantic structure to given science terminology, and there were cases to be interpreted as different meaning with teacher`s intention. Also, we identified the terminologies which were not familiar to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familiar with science termilology than male student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chools.

      • KCI등재

        과학 용어 교육을 위한 과학 교과서 수록 물리 용어 분석

        윤은정 ( Eun Jeong Yun ),박윤배 ( Yune Ba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lieve the difficulties caused by science terminology in science learning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cience education. The reason why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science terminology is because science words are used without being filtered by a criteria and students have not had the opportunity to be educated properly in science terminology. As a way to solve his problem, we propose establishing a criteria about the science words used in science education and to teach the science words systematically to the students under the criteria. In this study, we used the method of empirical linguistics that investgate the science terminologies actually used in science education to establish a criteria for science words. As a basic research for this, we analyzed all words contained in the physics section of science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hen, we collected all words used in the physics section of science textbook, and selected the science words for teaching, and rated them by grade. As a result, a total of 930 physics terms were selected as the science words for grade 3 to 10. The numbers of physics terms per grade were as follows: 66 words for the 3rd grade, 38 words for the 4th grade, 35 words for the 5th grade, 28 words for the 6th grade, 203 words for the 7th grade, 135 words for the 9th grade, 123 words for the 9th grade, and 302 words for the 10th grade. 본 연구는 학생들이 과학을 학습함에 있어 용어로 인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과학 교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학생들이 과학 용어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에 대한 원인이 과학 교육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이 특정한 기준에 의한 걸러짐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과 학생들이 과학 용어에 대해서 제대로 교육받을 기회가 없다는 데 있다고 보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학 교육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에 의해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용어를 교육할 것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에서 용어 사용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제 과학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를 조사하는 경험적 언어학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과학 교육에서 사용할 교육용 과학 용어를 선정하고 각 용어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기에 적절한 학년으로 배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 전체의 물리 단원에 수록된 어휘를 조사하고 이 가운데 교육용 과학 용어를 선정하여 학년별로 배치하는 작업을 통해 학년별 교육용 과학 용어 예비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물리 영역의 교육용 과학 용어 930개를 선정하였으며, 학년별로 3학년 66개. 4학년 38개, 5학년 35개, 6학년 28개, 7학년 203개, 8학년 135개, 9학년 123개, 10학년 302개의 용어를 편정하였다.

      • KCI등재

        과학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단어 연상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 환경 요인

        윤은정 ( Eunjeong Yun ),박윤배 ( Yuneba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사람의 머릿속에 어떤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들이 어떤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해 심리학, 정신분석학, 언어학, 교육학 등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과학 교육 분야에서는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생들의 머릿속에 과학용어로 표현되는 개념들이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가 관심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용어들에 대한 학생들의 머릿속 의미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하나의 방법인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함에 있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 환경 변인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이 제시된 자극어를 과학적상황으로 제한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변인을 4가지(자극어의 과학용어 여부 명시, 일상어와 섞어 제시, 검사자의 과학교사 여부, 해당 개념의 학습 여부)로 정하고,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검사 결과 비교를 통해 이들 4가지 변인이 과학용어에 대한 단어연상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일상적 의미와 과학적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과학용어 9개를 정하고 중학교 학생 282명을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검사지에 제시된 자극어들이 모두 과학용어임을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경우에 학생들은 과학적 의미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나머지 변인에 대해서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나타났다. The list of words and the semantic structure that connects them have been important to the areas of psychology, psychoanalysis, linguistics, and education. Some researchers i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of science education also have interests in the structure of science concepts expressed by science terminolog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test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the word association test as a method to identify students` semantic structures for science terminologies. We set up four variables that are possibly considered in recognizing a word as having scientific meaning. The four variables include: noticing whether stimulus words are science terminologies or not, presenting science terminologies and everyday words alternately, whether presider is science teacher or not, and whether students have learned the concepts or not. In comparing the 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 have checked whether each variable influences the test result or not. Stimulus words included nine science terminologies containing both ordinary and scientific meanings, and subjects included 282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gree of recognizing science terminology as having scientific meaning was found to increase only when stimulus words were noticed as science terminologies. In the case of the remaining variabl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 KCI등재

        용도지역 상향(up-zoning)이 용적률과 그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내 1997년에 형성된 역세권의 20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윤은정(Yun, Eun Joung),최창규(Choi, Chang Gyu)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3 No.2

        1980년대 제시된 ‘서울시 역세권 중심 공간구조 이론(로자리오, TOM)’은 외국의 TOD보다 앞서 급속한 도시화와 복잡한 도시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제시되었는데, 이를 실행하는 수단은 대부분 ‘업조닝’이었다. 역세권 업조닝은 1990년대 중반이후 약 20여년 간 시행되어왔으나 업조닝 평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고, 일부 연구에서는 업조닝이 오히려 신축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에서 역세권 업조닝은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으로의 변경으로 나타났고, 그 목적은 업조닝을 통해 다른 지역보다 더 큰 용적률 변화를 일으켜 역세권 지역을 고밀로 형성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밀도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인 ‘용적률’과 ‘그 변화’에 대하여 평균비교와, 그 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제어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업조닝 지역이 업조닝 되지 않고 남아있는 지역보다 용적률은 더 높고, 용적률 변화도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 업조닝의 전수 효과를 최초로 확인했다는 점과, 도시계획의 장기적 효과를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정밀한 분석과, ‘용도’ 측면에서의 업조닝의 효과분석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로자리오 계획에 의한 업조닝 정책의 ‘역세권 고밀복합’에 대한 영향 분석이 완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osario plan(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in Seoul was proposed in the 1980s before the concept of TOD was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was intended to solve complex urban problems through upzoning. Upzoning in the station’s sphere of influence has existed since the mid-1990s, yet upzoning has been contested in that critics claim it somewhat hindered new development. In Seoul, upzoning has been considered as the act of changing land into a commercial or semi-residential zone according to the urban master plan, while its purpose is to create a highly dense station’s sphere of influence by allowing a drastic FAR(Floor Area Ratio) change than in other areas. By performing a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R and its rate of chang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upzoned areas had a higher FAR and a higher rate of change than areas that have not been upzoned.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the effects of all of upzoning cases on the FAR in Seoul for the first time and confirmed the long-term effects of urban planning.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can further advance the analysis of the real impacts on the “high-density complex in the station’s sphere of influence” - the purpose of the Rosario plan by performing an additional analysis including the “use” of buildings.

      • KCI등재후보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의 관점에서 초중등 교사와 학생이 본 현행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

        윤은정 ( Eunjeong Yun ),권성기 ( Sung Gi Kwon ),박윤배 ( Yunebae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3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 시간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로 교과서를 꼽고, 현행 과학 교과서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한 뒤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을 위해 과학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요건과 현재 과학 교과서가 가진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고 초, 중학교 과학교사 99명과 학생 8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학생들은 현재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으로 설명이 부족하고, 어려운 단어가 많으며, 문장이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렵고, 재미가 없다 등을 꼽았고, 과학 교사들은 학습 분량이 많고, 지식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실생활 연계가 부족하고, 스토리가 없는 등의 문제점을 꼽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과학 교과서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학생 활동을 늘이며,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단어나 문장을 구사하고, 스토리를 강화하고, 학생들이 자신들의 이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It is important for student to participate in classroom actively in order to raise effeciveness of education. In this study, we have considered the science textbooks as major factor which influence to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class, and aimed to find the problems of current sicence textbooks as tool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the improvement method.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 the questions to ask requirements for and problems of science textbooks for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developed, and then 99 science teachers and 821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students responded that current science textbooks lacked explanation, had many of difficult words and complex sentences, and were uninteresting. Teachers responded that current science textbooks had large in quantity, were written knowledge centered, and lacked of link with real life, and of story. To conclude, science textbooks revitalizing the students’ participation had to strengthen the link with real life, increase students’ activities, use words and sentences appropriate level for students, strengthen storyline, and provide sufficient chances to check the students’ understanding by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