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을-겨울철 황해 북부의 동물플랑크톤 시공분포 특성

        임동현,윤원득,양준용,이윤,Lim, Dong-Hyun,Yoon, Won-Duk,Yang, Joon-Yong,Lee, Yo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5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황해 환경에 대한 조사 필요성에 의하여 공동으로 수행한 결과 중 일부이다. 계절에 따른 황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을 보기 위하여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에 걸쳐 매년 1회 3개 선 24개 정점에서 동물플랑크톤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동물플랑크톤 시료는 일정 비율로 분할 후 생물량을 측정하였으며, 1998, 2000, 2002년 등 3개년에 걸쳐 주요 분류군의 경우 종수준까지 동정하였고, 1999, 2001, 2003년 등 3개년은 주요 분류군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황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분포 변동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시기에 따른 공간적 분포 양상에 있어 반복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중요 분류군인 요각류의 경우 한국측 해역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모악류의 경우 중국측 해역에서 높았다. 현 결과에서 조사시기 동안 황해를 대표하는 요각류는 Calanus sinicus, Paracalanus parvus s.l., Oithona atlantica, Corycaeus affinis 등 4종으로 이들 종의 밀도 변화가 수산자원의 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The joint cruises of six time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carried out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and ocean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Sea for 6 years from 1998 to 2003.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one time per year at 24 stations on 3 lines of the Yellow S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Yellow Sea. There is no trend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pepoda, the major taxon of the Yellow Sea, was high in distribution in the eastern part and Chaetognatha in the western part of the Yellow Sea. In this results, the dominant copepods were Calanus sinicus, Paracalanus parvus s.l., Oithona atlantica, and Corycaeus affinis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density fluctuation of these dominant species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isheries resource of the Yellow Sea.

      • KCI등재

        Zostera속 해초에 부착하는 규조류의 부착 특성과 해초 종별 군집 변화

        정미희,윤석현,윤원득,Chung, Mi-Hee,Youn, Seok-Hyun,Yoon, Won-Duk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4

        부착규조류는 초기 부착 생물로서 부착 천이과정에서 부착성 박테리아 층 위 해초 잎 표면 맨 아래 층에 부착함으로써 잎 표면의 미세 지형을 결정하고 다른 부착 생물에게 알맞은 부착환경을 제공해 주는 중요 생물로 부착 기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부착 생물 생태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부착규조류가 해초에 부착 서식하는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1) 해초 잎 세포에 평행하게 또는 세포 변형을 통한 부착 2) 해초 잎 끝부분에 주로 밀집하여 서식 3) 잎의 끝에서 2차 부착 규조류인 줄기를 이용한 규조류보다 1차 부착규조류인 타원형의 규조류 밀집 지역이 많은 것이었다. 또한, 해초의 종별 규조류의 부착 군집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길이와 너비의 차이가 많으나 세포의 모양이나 크기가 비슷한 Z. marina와 Z. japonica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의 차이가 컸던 반면 길이와 너비는 비슷하나 세포의 모양과 크기가 다른 Z. marina와 Z. caespitosa의 경우에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초의 미세지형이 될 수 있는 세포의 모양보다 해초의 길이와 너비 등 외형의 차이가 부착규조류 군집 변화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Epiphytic diatoms are very important organisms in the seagrass ecosystem because their colonization on leaves increases microtopography and provides attachment sites that make the leaves more hospitable for other epiphytes. Epiphytic diatoms were attached to the leaves in the following 3 manners: (1) parallel to the cells of the seagrass leaf or by molding the shape of the diatom along the cell shape of the leaf; (2) with increasing diatom density toward the leaf tip; (3) Cocconeis species as attaching species than the Naviculoid species as the second attaching species on the leaf tip. In addition, the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on Zostera marina leaves differed from those on the Zostera japonica leaves, but were very similar to the epiphytic communities on Zostera caespitosa leav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piphytic community on seagrass leaves varied according to the leaf shape such as leaf length and width, but the leaf cell shape or size did not influence the dynamics of the diatom communities.

      • KCI등재

        해파리 대량발생의 연구동향

        정미희,윤석현,윤원득,Chung, Mi-Hee,Youn, Seok-Hyun,Yoon, Won-Duk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1

        기후변화, 수산자원 남획, 연안 간척 및 방조제 건설 등으로 인한 해양환경 변화는 해파리의 잦은 출현과 대량발생을 유발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해양생태계 파괴, 수산업붕괴, 행락객 해파리 쏘임사고 발생 등 국가적 규모의 사회경제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해파리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다수의 국가들은 해파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해파리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해파리 대량발생을 막기 위한 생리 생태 연구와 해파리 구제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유럽 연합은 해파리 대량발생의 원인과 조절, 통합관리를 위한 연구를 수행중이며, 미국은 한 부처를 지정하여 수산자원 보전 및 보호를 목적으로 해파리를 관리하고 있다. 일본은 부처 및 연구기관의 지정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해파리 이동과 대량발생 예측에 관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연구방향을 비교하여 1) 통합연구시스템의 설치와 관리방안 마련, 2) 해파리에 대한 접근방식의 개선, 3) 적극적인 교육과 정보의 제공이라는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파리뿐만 아니라 기타 유해해양생물의 정책적 대처 방안에도 기본적으로 필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frequency and abundance of jellyfish, presumably related with climate change, fisheries overexploitation, marine pollution including land reclamation and dyke construction, are increasing worldwide. This feature has attracted interest and concerns from general public and public officials, and government is seeking how the damages could be prevented or reduced down. Korean government, having recent huge blooms of jellyfish, engaged in reducing and/or countermeasuring jellyfish damages. Korean research themes include ecology and physiology of blooming jellyfish species, understanding of the blooming mechanism, and focus on the eradication of blooming jellyfish, without governmental integrative management plan. EU is undertaking scientific project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and control of jellyfish blooms,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ive management. In USA,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code on jellyfish management for conserving and protecting the fish and shellfish resources and one of its department is specially assigned to monitor jellyfish appearance, undertake research, and prepare management plan. Japan also assigned a department and research institute for jellyfish research. Their main interest is to predict jellyfish drifting and mass bloom. Compared to Korea, USA, EU and Japan emphasize integrative management that includes ecological understanding, public education and outreaches, communication and control, if possible, of jellyfish blooms, based on scientific data. We suggest then, 1) establishment of an integrative scientific system consisting of policy and scientific experts to prepare inter-ministrial integrative management plan to effectively combat jellyfish blooms and to maximize the scientific result; 2) concept change from harmful to exploitable marine animal in policy making and research; and 3) active edu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for people. We expect that these suggestions can be useful for jellyfish management and policy making on another harmful marine organisms.

      • KCI등재

        인천 연안 미세오손생물 군집 형성과 원생동물의 영향

        최중기,양은진,이원제,윤원득,심재형,Choi, Joong-Ki,Yang, Eun-Jin,Lee, Won-Je,Yoon, Won-Duk,Shim, Jae-Hyung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4

        본 연구에서는 미세오손생물 군집 형성에 있어서 원생동물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 미생물막 형성과 미세오손생물 군집의 형성 및 부착과정, 부착 박테리아에 대한 원생동물의 포식영향 등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내항과 외항(해경부두), 실험실 등에서 부착실험을 10~30일간 계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인천내항 실험에서 박테리아와 편모충류는 실험 시작 6시간내에 미생물막을 형성하기 시작하였고 섬모충류는 9시간 경과시에 빈모류가 2 cells $mm^{-2}$ 출현하였다. 부착오손생물인 따개비 Balanus albicostatus의 유생은 실험 첫날부터 부착하기 시작하였다. 수괴가 안정된 인천내항에서 편모충류는 13일경 최대 465 cells $mm^{-2}$ 출현하였고, 섬모충류는 11 일째 63 cells $mm^{-2}$이 최대로 출현하였다. 인천외항에서 편모충류는 초기에 최대 223 cells $mm^{-2}$ 출현하였고, 섬모충류는 5일째 최대 39 cells $mm^{-2}$ 출현하여 인천내항보다는 외항에서 미생물막이 빠르게 발달하였으나 원생동물 출현 개체수는 작았다. 미생물막에 출현한 편모충류는 대부분 자서성인 Metromonas종류와 Bodonids종류였고, 섬모충류는 초기에는 소형 유종섬모충류 종류와 빈섬모충 Strombidium종류였고, 후에는 빈섬모충 Strombidium viridae(60 ${\mu}m$)와 부착성 Suctoria인 Acineta, turherosa가 출현하였다. 오손생물 군집은 따개비 유생이 초기부터 부착하여 7일째 18 개체 $cm^{-2}$ 까지 증가하였다. 이때 따개비 성체가 출현하기 시작하고 9일째부터는 따개비 사체가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이외에 오손생물로 강장동물 Anthozoa sp., 참굴(Crassostrea gigas)유생, 갯지렁이 유생 등이 실험시작 3일 후부터 부착하기 시작하였다. 부착판에 서식하는 요각류 Harpacticus sp. 등과 단각류 등은 미생물막이 잘 발달된 7일 이후에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미생물막 형성에는 알루미늄판이 유리판과 아크릴판보다 다소 유리하였고, 오손생물 군집과 부착판 서식생물 군집의 형성에는 유리판이 알루미늄판 보다 유리하였다. 미생물막 박테리아에 대한 원생동물의 섭취율은 낮은 편이나 포식율은 0.058 $h^{-1}$로 비교적 높아 원생동물이 미생물막 박테리아 개체군 사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understand the role of protozoa in the early formation of microbial fouling community, the studies on the formation of microbial film, the succession of microbial fouling communities, and the grazing pressure on bacteria population in microbial film were carried out in the laboratory, Inchon outer port and Inchon inner harbour. Bacteria and heterotrophic flagellates formed primary microbial film on the aluminum surface within 6 hours and oligotrich ciliates were observed 2 cells $mm^{-2}$ on the same surface at 9 hours in Inchon inner harbour which had physically stagnant condition. The larvaes of Balanus albicostatus which were dominant meiobenthos in Inchon coastal area attached on the glass surface at the first day of experiment. Heterotrophic flagellates showed maximum abundance of 465 cells $mm^{-2}$ at the 13rd day and ciliates showed maximum abundance of 63 cells $mm^{-2}$ at the 11st day in the Inchon inner harbour. In the Inchon outer port which opens to the outer sea, the maximum abundance of protozoa occurred at early phase, but not so many. The dominant heterotrophic flagellates were Metrornonas simplex and Bodonids. Dominant ciliates were small tintinnids and oligotrich ciliate Strombidium sp., Large Strombidium (oligotrich ciliate) and sessile Acineta turberosa (suctorian ciliate) occurred after 10 days. The attached larvae of Balanus occurred as biofouling organism on the early surface and showed maximum abundance of 18 indiv. $cm^{-2}$ at 7th day. At that time, adult barnacle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and dead barnacles were observed after two days. Except barnacles, the larvaes of Anthozoa sp.,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Polychaeta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from 3rd day. 3 benthic copepods including Harpacticus sp., I isopod, 1 polychaeta and 1 gastropoda were observed as predators of the microbial film on the surface after 7 days when microbial film developed very well. Although the ingestion rates of protozoa on the bactctia of the rnicrobi31 film were relatively low, the average grazing rate of protozoa on bacteria was high of 0.058 $h^{-1}$. This implied that the grazing pressure of protozoa influences the mortality of bacteria populations on the microbial film. but protozoa cannot get enough energy from only bacteria on the microbial film.

      • KCI등재

        전 생활사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에 대한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의 포식과 먹이 선호도 실험

        이혜은,한창훈,이혜현,윤원득,Lee, Hye-Eun,Han, Chang-Hoon,Lee, Hye-Hyun,Yoon, Won-Duk 한국해양학회 2015 바다 Vol.20 No.1

        해파리에 대한 쥐치의 포식률을 파악하기 위하여 메두사, 에피라, 폴립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를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에게 공급하고 포식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크기의 쥐치는 메두사를 적극적으로 포식하였으며, 포식률은 쥐치의 체중과 비례하였다. 평균 습중량 0.5, 1, 2.2 g의 쥐치 치어는 평균 $0.77{\pm}0.51g\;fish^{-1}h^{-1}$을 포식하였으며, 평균 습중량 150, 344 g의 쥐치 성어는 각각 $9.26{\pm}1.61$, $15.89{\pm}3.67g\;fish^{-1}h^{-1}$을 포식하였다. 유생에 있어서도 평균 습중량 3.7 g의 쥐치가 10분 이내에 100개체의 에피라를 포식하였고, 평균 습중량 2.2 g의 쥐치는 단위체중당 $5.73{\pm}0.59$ polyps $g^{-1}$ of fish $h^{-1}$의 폴립을 포식하였다. 반면에 쥐치 성어는 폴립을 포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쥐치의 해파리 포식이 현장에서도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먹이 선호도 실험에서, 쥐치 성어는 다른 먹이인 굴(약 60%)과 갯지렁이(약 80%)를 주로 포식하였고 메두사 포식은 약 2%에 불과했다. 하지만 쥐치 치어는 다른 먹이인 곤쟁이류와 함께 에피라, 폴립도 포식하였으며, 폴립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포식활동을 보였다. 그리고 쥐치 치어는 주변에 다른 먹이가 있어도 보름달물해파리 유생에 대한 포식이 활발했지만, $11^{\circ}C$ 이하에서는 섭식활동을 중지한 실험결과로부터 $11^{\circ}C$ 보다 수온이 낮은 3-4월경에 발생하는 에피라 유생에 대한 현장에서의 포식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폴립의 경우 수온에 관계없이 연중 서식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쥐치 치어의 폴립 포식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쥐치를 이용하여 보름달물해파리 구제작업을 시행할 경우, 폴립을 대상으로 하여 쥐치 치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o determine the predation rate of threadsail filefish, we conducted feeding experiment of threadsail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on different life stages (medusae, ephyrae, and polyps) of Aurelia aurita s.l. in the laboratory. All size groups of threadsail filefish actively preyed on moon jellyfish Aurelia aurita s.l. and predation rate was proportional to the wet weight of threadsail filefish. Average wet weight 0.5, 1, 2.2 g of threadsail filefish preyed on average $0.77{\pm}0.51g\;fish^{-1}h^{-1}$ of medusae. Average wet weight 150 and 344 g of threadsail filefish preyed on $9.26{\pm}1.61$ and $15.89{\pm}3.67g\;fish^{-1}h^{-1}$ of medusae respectively. In ephyrae and polyps, average wet weight 3.7 g of juvenile of threadsail filefish preyed on 100 ephyrae within 10 minutes and average wet weight 2.2 g of juvenile of threadsail filefish preyed on $5.73{\pm}0.59$ polyps $g^{-1}$ of fish $h^{-1}$. Whereas adults of threadsail filefish did not prey on polyps. In feeding preference experiments to elucidate whether threadsail filefish prey on moon jellyfish in the sea, adults of threadsail filefish preyed on mostly oysters (ca. 60%) and polychaetes (ca. 80%). Medusae were consumed only 2% of total. However, juvenile of threadsail filefish preyed on ephyrae and polyps as well as mysid shrimps. Besides, polyps were consistently consumed during the experiment. Although juvenile of threadsail filefish consumed all kinds of prey, they ceased feeding at temperatures below $11^{\circ}C$, which suggests that possibility of predation on ephyrae may be very low in the sea because ephyrae are released at low temperatures below $11^{\circ}C$ from March to April. Whereas polyps are inhabitable in all seasons in Korean coastal waters, juvenile of threadsail filefish may prey on polyps in the s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moving moon jellyfish at polyp stage by using juvenile of threadsail filefish is the most effective way for extermination of moon jellyfis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문 : 하계 강우기 섬진강 하구역의 일차생산력 및 식물플랑크톤 색소조성 변화

        민준오 ( Jun Oh Min ),하선용 ( Sun Yong Ha ),최보형 ( Bo Hyung Choi ),정미희 ( Mi Hee Chung ),윤원득 ( Won Duk Yoon ),이재성 ( Jae Seong Lee ),신경훈 ( Kyung Hoon Shi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1 생태와 환경 Vol.44 No.3

        Field observations and culture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during the rainy season (on the 6th, 8th and 27th July 2009) to examine changes in the primary productivity and associated plant pigments in the estuary of the Seom-jin River. Primary productivity was determined at four sampling stations along the salinity gradient. On 6th July (before heavy rain) primary productivity ranged from 689~1,169 mgC m-2 d-1. On the 8th, just after more than 216.5 mm of precipitation, euphotic layers at all stations were reduced to very shallow water because of the high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in the water. This resulted in dramatically decreased primary productivity down to as low as 12~32 mg C m-2 d-1. However, after the rain, primary productivity on the 27th ranged from 266~999 mgC m-2 d-1, demonstrating a fast recovery in the upper stream water to similar productivity levels to those before the rainy season. Concentration of fucoxanthin in the water was highest on the 6th July. Before the rain, concentration of the zeaxanthin, increased as the salinity de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heavy rain, the Chl b (Chlorophytes) concentration was higher at all sites than before the rainy season. The concentration of fucoxanthin decreased after the heavy rain. At the downstream site, peridinin (Dinoflagellates) were found. During the rainy season, the diatoms contributed to the primary productivity at all sites. However, after the rainy season, Chl b (Chlorophytes) and Peridinin (Dinoflagellates) increased, demonstrating the enhanced contribution of those species in addition to diatoms.

      • KCI등재

        보분: 섬진강 하구역의 계절별 일차생산력 및 식물플랑크톤 색소 조성 변화

        민준오 ( Jun Oh Min ),하선용 ( Sun Yong Ha ),정미희 ( Me Hee Chung ),최보형 ( Bo Hyung Choi ),이연정 ( Yeon Jung Lee ),윤석현 ( Seok Hyun Youn ),윤원득 ( Won Duk Yoon ),이재성 ( Jae Seong Lee ),신경훈 ( Kyung Hoon Shin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2 생태와 환경 Vol.45 No.2

        Four in situ incub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May, August and November 2009, as well as February 2010 to determine the seasonal primary productivity and the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t the Seomjin estuary. The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9 to 3560 mgC m-2 d-1. Primary produ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summer season (August), which was influenced by improved optical and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water, as well as the supply of nutrients derived from its surrounding watershed. Particularly, the upper station (SJ-1, SJ-2) of Seom-jin estuary showed a higher productivity, as a result of inflow of input nutrients originated from the terrestrial source. The fucoxanthin, as an index pigment of diatom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0.74~9.51 μg L-1) at all stations, occupying 30~80% to total Chl a concentrations. The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determination, using a microscope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pigment analysis, which indicated diatom Skeletonema costatum, as the dominant species. The primary productivity in Seom-jin estuary indicates temporally and spatially large variation, according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lso, Skeletonema costatum has euryhaline features with relatively higher con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