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리한 처우금지와 사용자의 책임 확대

        윤우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9 No.3

        Attempts have begun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workers at work and create a harmonious workplace culture by introducing a ban on workplace harassment, but workplace harassment problems are still appearing so frequently on social news. The role of assistants such as colleagues who help victims in the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in revealing and reporting bullying problems at work and proving the actual relationship. If there is a risk of disadvantage by helping victims, colleagues around them will not readily be able to provide mental support, cooperation, favorable eyewitness statements, or support for collecting evidence. However, those subject to the prohibition of unfavorable treatment under Article 76-3 (6) of the Labor Standards Act are stipulated as “workers and victims who reported bullying at work,” so it is unclear whether the employer can be considered to have violated the above regulations. Since no details of unfavorable treatment are stipulated, it is ambiguous about which are unfavorable treatment, and the subject of the prohibition of unfavorable claims is limited to users, so it cannot be regulated by the above regulations. In addition, as long as the existence of unfavorable treatment for workers is recognized, a legal basi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mployer to prove that the unfavorable treatment of the affected workers is not related to workplace harassment or has justifiable reasons. Therefore, in this study,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cases of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illegal acts against sexual harassment, we looked at ways to improve particularly the provisions of the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treatmentamong workplace harassment regulations. 직장 내 괴롭힘의 방지와 피해근로자의 구제절차 등을 정하는 법적 규제를 도입하여 직장에서 근로자의 인격권과 건강을 보호하고 안전한 직장문화를 조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시작되었지만 여전히 직장내 괴롭힘문제는 심각할 정도로 사회뉴스면에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피해근로자가 직장내 괴롭힘 문제를 드러내 신고하고 실체관계를 제대로 입증해내는데는 조직내에서 피해근로자를 돕는 동료 등의 조력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심재진,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구제의 확대방안소고”, 노동법학 제68호, 2018, 51-53쪽. 피해근로자를 도움으로써 불이익을 당할 우려가 있다면 주변 동료들은 선뜻 피해근로자에게 정신적 지원이나 협력, 유리한 목격진술이나 증거수집지원 등을 하겠다고 나서지 못할 것이다 김수영,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법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0, 126-127면. . 그런데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6항의 불리한 처우 금지 대상자는‘직장 내 괴롭힘 발생사실을 신고한 근로자 및 피해근로자 등’으로 규정되어 있는 바,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 피해근로자를 도와준 조력자에게 불리한 처우가 가해진 경우 사용자가 위 규정을 위반하였다고 볼 수 있을지 불명확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희롱에 대한 기존의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사건과 연계하여 직장 내 괴롭힘 규정 중 특히 불리한 처우금지 조항의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업무인사권을 악용한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구제수단

        윤우일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아주법학 Vol.15 No.3

        직장 내 괴롭힘의 주체가 사용자이고 표면적으로는 사용자의 업무지시권 혹은 인사 권의 행사이지만 실제로는 불순한 목적을 가지고 근로자를 가혹하게 처우하거나 괴롭 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현행 근로기준법은 직장 내 괴롭힘의 신고대상자와 처리의무자를 사용자만으로 규정하고 있어 이러한 부당한 사용자의 행위가 제대로 규 제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사각지대에 있는 피해근로자를 제대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업무인사권 행사를 통한 악의적인 직장괴롭힘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 이 필요하다. 신고대상자 및 사후조치의 주체로 사용자 외에 근로감독관 등이 포함되 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노동위원회를 구제기관으로 추가하고 사후구제뿐 만 아니라 진행중인 직장내 괴롭힘을 시기적절하게 중단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중지예 방청구권 등의 명문화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 right to work in safe and healty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basic rights of works. Nervertheless, there are still many cases in which a worker is infringed on human dignity by being shamed, hostile, insulted by the dominance, subordination, business supervision of business owner or seniors. Moreover, recent assaults and abuse of power in the workplace, resulting in extreme choices of workers have emerged as serious social issues that bullying in the workplace can no longer be neglected. Since 2019, Korea enacted labor law regulations on harassment prevention law at work. These amendments are very meaningful to regulate the protection of employee’s human rights, personality rights, rights of health and to define employer’s duty in employment policy. Recent trends show the move toward recognizing harass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This is very encouraging phenomenon for employee and employer. However, under the current system, in particular all matters, when workplace harassment by senior staff with impure intention is perpetrate, remidies system for employee are feeble and helpless. The workplace harassment by senior staff and employer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actions is generally done with the aim of inducing employees to leave. The reason for this approach is to prevent legal disputes that could arise from the ouright dismissal of the employee, as dismissing employee without a very compelling reason is impossible under current korean law. In this regard, I examine the judicial past cases related to workplace harassment by senior and identify how workplace harassment by senior staff actually reflected in the judgment, its jurisprudence, and judgment criteria. Outcomes in judicial precedents related to workplace harassment by senior staff reveal the imitations of current remedies for workplace harassment. This article suggests new countermeasures to protect employee; strengthening authority of labor supervisor, remedies by labor relation commission, introduction of right to request suspension & prevention.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n enforcement law that can comprehensively retrieve a employee from harassment by senior staff, taking into account Korea's cultural and social uniqueness.

      • KCI등재

        미성년후견제도의 개선을 위한 제안

        윤우일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아주법학 Vol.13 No.4

        친권을 대신하는 미성년후견제도는 친권부재하의 미성년자를 건강한 인격체로 키 워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로이 도입된 미성년후견제도는 과거보다 ‘자의 복리’라 는 기본 원칙에 따른 진일보한 개정이기는 하나 현행 제도 내에서 미성년자가 온전한 보호를 받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미성년자 후견제도에서 고려해야 할 미성년자 후견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행 미성년후견제도의 개선방향으로 미성년후견개시 사유의 확대 가능성, 복수의 미성년후견인제도 인정, 법인의 미성년후 견인자격 인정, 미성년후견업무에 대한 감독강화, 미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재정적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미성년자는 성장과정에서의 경험이나 지식의 습득으로 무한한 가능 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우리나라의 미래를 만들어 갈 사회공동체의 중요한 구성원이다. 핵가족화, 이혼율의 증가, 경제여건의 악화 등으로 가정이 해체되고 가정의 기능이 약화되는 등의 사회환경의 변화로 미성년자의 건전한 인격체로의 성장은 이제 친권자 나 친족만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의 책임이기도 하다.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미성년자 후견제도에 관한 논의가 보다 다각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져 미성년자가 건강하게 성 장할 수 있는 실효성있고 통합적인 미성년후견시스템의 정착을 위한 사회공동체의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Korea civil code provides that family court shall be entitled to the appointment of a guardian of minor, by the reformation of old systems that are inappropriate regarding new social change. The establishment of the guardianship system for minor as a supplement and extension of parental care is based on some cases where the parental care is not be provided. However, the current policy of the guardianship system for minor has insufficient aspects in protecting the rights of minors and does not serve the best interest of the minors. The minors deprived of parental care deserve rights to receive nurturing and care from the social community. The minor as the driving force of our nation is considerably significant in our society which is entangled with social problems such as aging and low fertility rate. This article outline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guardianship system for minor and the guardianship system for adult. This article seeks to address the problems of the guardianship system for minor that does not ensure decent nurturing and ca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article suggests the reformation of policies regarding the guardianship system for minor such as establishment of the guardianship system for minor without loss of parent right in case of neglection of parental care, corporate guardianship, appointment of multiple guardianship, introduction of the essential supervisory system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 KCI등재

        대리모계약에 기해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결정기준

        윤우일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경희법학 Vol.47 No.3

        It used to be that children had two easily identifiable parents: a mother who gave birth to the child and a father who was married to that mother. The growing problem of infertility coupled with increasingly sophisticated reproductive technology have created opportunities for more people to become parents. This issue of legal parent is exacerbated in the situation where an infertile couple uses a gestational surrogate as means of having child. Consequently, this has created confusion about who should be considered a parent. Science will continue to push the law to address changing situations. As a consequence of the lack of clear legislative guidance and bright-line rules, courts have relied upon several different theories to decide whether who should be declared the legal parent of the child. This article suggests that, until legislatures establish clear guidelines for identifying parents, the intent to create and raise a child should determine parentage for well-being of the child, predictability and stability when any form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s utilized. Considering the growing of infertility coupled, well-being of child, health of surrogate mother, the prevention of crime such as fraud, the prevention of going overseas and giving birth to a child, measures against low fertility, it is necessary to regulate surrogacy problem toward allowing surrogacy contract under the conditions named in order to properly handle legal disputes over surrogacy contract. 과거 생식은 성적교섭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아이를 출산한 자가 어머니이고 그 남편이 아버지가 되는 것이 당연하여 아이의 부모가 누구인가는 쉽게 확정할 수 있었다. 그런데 보조생식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른 대리모에 의한 출산은 여러 당사자가 부모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아 대리모출생자의 부모가 누구인지 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야기되는 법적 문제들을 법이 해결할 수 있는 지 여부와 상관없이 과학기술의 발전은 계속되는바, 보조생식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능해진 대리모출산에서 비롯되는 법률문제 특히 친자관계결정문제를 규율하는 입법이나 다수가 공감하는 법리가 상태에서 법원은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논의를 참고하여 대리모출생자의 친자관계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법리를 정립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대리모출산과 관련하여 대리모출생자의 친자관계문제해결을 위하여 제시되고 있는 위의 여러 가지 논의 중에서 대리모계약의 관련 당사자가 대리모계약을 통해 예상하고 의도했던 대로 의뢰부부가 대리모출생자의 법적부모가 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고 다만 자신의 유전자를 이어받은 아이를 출산한 유전적 대리모에게는 면접교섭권을 인정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 개인 생식권을 상실한 불임부부에 대한 인도적인 차원의 배려, 대리모출생자의 이익과 복지, 대리모의 건강보호, 대리모계약의 뒷거래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사기 등 불법행위의 방지, 해외원정출산방지, 저출산의 문제 등을 고려하면 대리모를 무조건 금지하기보다 현재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과학적ㆍ사회적ㆍ윤리적ㆍ문화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차라리 대리모계약을 일정한 범위 내에서 허용하는 방향으로 대리모출산문제에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리모 출생자의 법적지위를 규정함에 있어는 적법한 절차를 밟은 대리모계약의 경우 대리모출생자를 의뢰부부의 자(子)로 규정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 KCI등재

        가정위탁에서 후견제도 활용의 한계

        윤우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1

        This study reviewed limitations of minor guardianship for forster care system. Under the current system, when a child is placed in a foster home, Foster parents don’t have any power and authority like parental rights and birth parents' strong parental rights create challenges for foster families, preventing foster parents from making decisions on important issues such as medical treatment for the child. Obtaining a passport and establishing a bank account for the child are the common challenges for foster parents who lack rights to do so for the children. The main reason that foster parents was willing to become minor guardians was to overcome legal problems. However it is not easy for them to become a minor guardians in terms of judicial procedure. Burden related to legal responsibility for children is heavy compared with permissions required for forster care.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ight of legal representation for fostering shall be conferred on forster parents to the extent needed for forster care. The government and child welfare experts accepted the idea that foster care can help support reunification of the family and that preference should be given to foster care over institutional care. Improving the foster care system will require legislation for supportive infrastructure that addresses the right of legal representation for fostering, taking into account Korea's cultural and social uniqueness. 현재 우리나라의 가정위탁제도 운영과정에서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위탁가정 부모가 위탁아동의 부모역할을 대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탁가정 부모에게 양육과 관련된 권한이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양육과 관련하여 법정대리인인 친권자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 친권자가가 소재불명 상태이거나 협조하지 않는 경우에는 양육대리권이 없는 위탁가정 부모가 위탁아동의 양육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를 원활하게 해낼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견제도의 활용이 논의되고 있기는 하나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견제도는 그 절차나 효과 면에서 위탁가정 부모가 접근하기 어렵거나 위탁가정 부모에게 필요한 이상의 권리와 의무를 지우는 제도로 가정위탁의 활성화에 크게 도움이 되는 제도라고 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본으로 가정위탁제도의 운영상 문제점, 가정위탁에 있어서 후견제도 활용의 한계와 그 대안으로 양육대리권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인터넷에서의 유명인 성명의 보호에 관한 연구 -UDRP를 통해 해결된 분쟁사례를 중심으로-

        윤우일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3 스포츠와 법 Vol.16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blems the Internet has created for celebrities and, specifically, the challenges celebrities face when they try to claim Internet domain names through the UDRP. Despite its weaknesses, The UDRP is the preferential tool in the battle against celebrity cybersquatting. Although the drafters of the UDRP may not have intended the UDRP to protect celebrities per se, it has served this purpose. The UDRP has proved the most widely utilized method to solve domain name conflicts, and the resulting case precedent overwhelmingly favors celebrities. As Internet law becomes increasingly complex, the more difficult problems in the personal-name context lie not with abusive registration of personal names but with disputes between parties with legitimate competing interests. Given the preference afforded trademarks in domain-name disputes, the trend toward trademark-like protection for personal names threatens the rights of legitimate registrants. Panels of the UDRP should resist the inclination to expand protection of personal names and, instead, they should afford increased protection to legitimate registrants. More specific criteria of uniform standards specified by the UDRP, the screening system of「name. gTDL」, creation of the new .fan, critic TLD, special protection for variations on celebrity's name such as juliarobertsfan.com, hillaryclintoncritic.com will not only protect celebrities from cybersquatters, but it will also protect good faith registrants by preventing such registrants from being stripped of their domain names simply because they happen to have the same name as a celebrity or a celebrity property.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한 엔터테인먼트사업의 발달과 비례하여 영화배우, 스포츠선수, 뮤지션 등 유명인의 성명에 대한 재산적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유명인의 성명을 타인이 먼저 도메인네임으로 등록하여 정작 당사자인 유명인은 자신의 성명을 도메인네임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유명인들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사법적 분쟁해결절차 대신 ICANN의 국제적인 분쟁해결절차인 UDRP에 의지하였고, UDRP를 통해 유명인의 성명도메인분쟁이 심리되어 그 결과 또한 유명인에게 상당히 호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표와 도메인네임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UDRP는 성명도메인네임분쟁을 그 적용대상으로 예견하지 않았고 따라서 UDRP는 유명인의 성명도메인네임분쟁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인터넷 문화가 정착됨에 따라 유명인의 성명도메인네임분쟁, 정당한 도메인네임 보유자간의 다툼, 도메인네임과 표현의 자유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되는 Gripe Site 문제 등 도메인네임의 분쟁이 더욱 더 복잡해져가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UDRP는 기존 체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유명인의 성명도메인네임 분쟁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조화롭게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직장 내 성희롱과 사무집행관련성

        윤우일(Yoon, Woo-Il) 경희법학연구소 2021 경희법학 Vol.56 No.4

        민법 제756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피용자가 그 사무집행에 관하여 제3자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피용자 개인의 성적 일탈로 볼 수도 있는 직장 내 성희롱의 경우에는 민법 제756조 사용자책임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사무집행관련성’을 인정받기 쉽지 않았다. 직장 내 성희롱의 해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직장 내 성희롱 금지규정이 도입되고 직장 내 성희롱 예방이나 사후조치 관련 규정들이 강화되어가면서 법원은 성희롱에 대한 사무집행관련성 인정범위의 확대를 통해 성희롱에 대한 사용자책임을 인정하는 사례를 점차 축적해왔다.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해 사용자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사무집행관련성’이 주요쟁점이 되는데 최근 법원은 직장 내 성희롱 사건의 ‘사무집행관련성’에 대해 상당히 진보적인 판결을 내리고 있다. 피해자 보호의 관점에서 피용자를 통해 활동영역을 확장하고 이익을 추구하는 사용자에게 업무영역에서 발생하는 손해에 대한 책임을 넓게 인정할 필요성이 있기는 하나, 직장 내 성희롱 중 업무집행과 연결짓기 어려운 성희롱에 대해 지나치게 넓은 민법 제756조의 사용자책임을 인정하거나 성희롱예방이나 사후조치를 면밀히 이행한 사용자의 경우 면책의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는 미연방대법원의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사용자책임 인정기준과 최근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우리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면서 성희롱과 사무집햅관련성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According to Article 756 of the Civil Act, the employer is responsible for compensating for the damage if the employee inflicts damage to a third party regarding the execution of the affairs. However, in the case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acting 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of the employer. However, as social consensus was formed on the harmful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regulations on workplace sexual harassment were introduced in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Act, and accordingly, courts have gradually recognized employer responsibility for sexual harassment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In the case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in order to hold the employer responsible, “acting 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is the main issue, and recently, courts have made quite progressive judgments on workplace sexual harassment cases. If an employee inflicts damage to another person during his/her work,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employer s responsibility for damages caused by the employee in the employer s work area, as it is fair for the employer seeking profits to bear the damage of others. However, even though workplace harassment has a significant vulnerability to acting 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I don t think it is desirable to admit too wide user responsibility or not to admit user immun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obtain usefu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acting 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 KCI등재

        통일도메인이름분쟁해결규정의 운영에 있어서 법적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

        윤우일(Yoon, Woo-Il) 한국재산법학회 2013 재산법연구 Vol.30 No.1

        UDRP의 경우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일관성 있는 결정을 확보할 수 없는 바, UDRP 규정의 미비와 패널에게 부여된 광범위한 재량권으로 인해 UDRP 자체의 일관된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고 패널들이 견제없이 자신의 재량권을 행사하여 엇갈린 결정들이 양산되고 있으며 패널들이 재량권을 일탈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도 이를 제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UDRP 자체에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주로 UDRP 제4조 및 Rules for UDRP 제15조 (a)의 문제점, 입증책임(Burden of Proof)과 관련된 규정의 불비, 피신청인의 답변이 없는 경우(Default Case)의 엇갈린 분쟁심리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UDRP의 법적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UDRP 규정의 미비와 패널에게 부여된 광범위한 재량권으로 인한 일관성 없는 UDRP 결정의 양산이 원래 의도한 UDRP의 효율성을 실제로 저해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이제 UDRP의 국제성, 신속성, 효율성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패널의 재량권을 제한하고 보다 체계화된 UDRP의 구축이 필요할 때라고 본다. Implementation of the UDRP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means for resolving cybersquatting disputes. While the UDRP remains the best solution for resolving domain name ownership disputes in a fast, efficient, and inexpensive fashion, there are a number of flaws with the current policy, which limit clarity, consistency, predictability, legal stability of UDRP. This article propose that the UDRP be amended so that panels can apply specific definitions that outline the constituent elements of UDRP 4(a). Furthermore, Rule for UDRP 15(a) should be amended so that adjudication of disputes would be achieved by exclusive reference to the UDRP without reference to legal principles of particular jurisdictions. Futher, Revising and clarifying provisions related to the burden of proof and default case would also help to correct some of the weaknesses of the current policy. Finally, mandatory a three-member panels system and an appeal mechanism within the UDRP w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body of ''UDRP law.'' The development of a body of UDRP jurisprudence independent of national laws is wholly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the UDRP. When faced with similar fact scenarios or issues, Panels would be able to draw upon precedent-setting cases in reaching their conclusions. By making these changes, ICANN can craft the UDRP into a fair, credible, and consistent international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while taking significant steps towards ensuring the long-term viability of the UDRP as the primary system for resolving domain name ownership disputes.

      • KCI등재

        양육비대지급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

        윤우일 ( Yoon Woo-il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4

        Today, the divorce rate in Korea is increasing rapidly and a lot of minor children suffer from emotional and economic difficulties after their parents’ divorce. The protection of minor children in broken families has been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Korea. In the year of 2009, Korea has several important amendments on child support enforcement such as drawing up a agreement having executory power about child maintenance, order for the obligor’s employer to pay directly the support expenses to obligee. In spite of the amendments for preventing non-performance of child support expense, unknown obligor’s whereabouts, obligee can not receive child support expense in case of obligor’s economic incompetence. This delinquent child support payments finally impedes minor’s sound growing up and physical, mental development. A bill of the prepayment system for child support brought in by the National Assembly recognized this problems will be a welcome change to our welfare and child support systems. However, even with the advanced child welfare system through prepayment system for child support, room still exists for making up for weak points in the proposed prepayment system for child support.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can prepay for child support expense and can the right to indemnity to obligor and also is to propose the practical ways for producing satisfactory results in the function of prepayment system for child support. Thus, this thesis illustrates some criticisms of the bill of the prepayment system for child support and also lays out some possible solutions and suggestions for constructing prepayment system for child support.

      • KCI등재

        전자상거래분쟁해결을 위한 ODR 활성화를 위한 연구

        윤우일(Woo Il Yoon) 중앙법학회 2010 中央法學 Vol.12 No.4

        As the internet settles down as a general means of human life, the online transactions and e-commerce using the internet amazingly grow. The rapid growth of online transactions and commerce has caused so many conflicts in cyberspace, and the necessity for new dispute resolution also grows. However, Considering the feature of e-commerce, traditional dispute resolution system such as lawsuits in the court does not proper method to resolve the conflicts from the online transactions and e-commerce because of cost, time, laws, etc. Those problems have resulted in the rapid evolution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and the advent of Online Dispute Resolution (``ODR``) as new resolutions methods for online disputes because of convenience, sweetness, low cost, etc. As of now, ODR appears to be the best way for resolving e-commerce disputes. E-Commerce Mediation Committee (``ECMC``) attempts to offer new ways of disputes resolving system such as online chatting mediation service and desktop video-conferencing mediation service. However, due to its weak technical, lawful environments, this ODR system is still new on the path of development. To make the ODR settled down, there are many assignments to be improved in many aspects afterwards such as establishment of unified ODR organization, use of measures to entice participation, enforcement to ensure the full effectiveness of ODR, etc. It is needed to develop and settle a quick, cheap, and reliable online dispute resolution system to resolve disputes arising in Internet commerce between business and consumers for sustainable e-commerce growth. As more and more cases are being resolved, confidence and trust in the efficiency and worthiness of ODR will gr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