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흑인 노예 출신 작가들과 영국 노예무역 폐지 운동의 발전 : 산초, 쿠고아노, 에퀴아노를 중심으로

        윤영휘 문화사학회 2014 역사와 문화 Vol.28 No.-

        그동안 노예무역 폐지 운동사 서술에서 흑인 노예들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했다. 이는 이들이 남긴 문서의 분량이 적고, 또한 자신들과 동료 흑인들의 운명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백인들의 도움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충분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이들의 반노예제 담론과 활동을 조명하여 노예무역 폐지 운동의 전체를 균형 있게 보려는 시도이다. 흑인들은 18세기 중반부터 유럽인들의 언어로 자신들에 대한 글을 남겼다. 그속에서 노예제에 대한 반감이 종종 표출되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노예제를 명시적으로 비판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18세기 말 미국 독립혁명 등으로 영제국의 도덕적 권위가 흔들리던 위기 상황 속에서 노예제와 노예무역을 공격하는 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도덕적 우월성을 드러내는 수단이 되었다. 이제 반노예제 담론이 새로운 정치적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고 이런 시대적 배경 속에서 명확한 반노예제 견해를 표명하는 흑인 작가들이 등장하였다. 산초, 쿠고아노, 에퀴아노의 반노예제 담론은 백인 운동가들과 유사성을 보였음 에도 독자적인 의의를 가졌다. 그들은 당시 다른 백인 운동가들처럼 노예제가 ‘인간성’, ‘자애’, ‘정의’와 상충된다는 틀을 공유하였지만, 그 내용은 영국인들이 아프리카, 서인도제도,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행하는 노예무역 및 노예 소유의 실상에 기초하여 탄탄한 논리와 풍부한 예들로 채워졌다. 무엇보다 흑인 작가들은 백인 반노예제 운동가들의 주장을 자신들의 경험을 통해 뒷받침하여 반노예제 담론 전체를 강화하는 새로운 발전 과정을 보여 주었다. 또한 흑인 작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반노예제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이들이 보편적 노예해방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실천 방안까지 제시한 점은 이들이 주도적 의지와 견해를 가진 참가자였음을 드러내 준다. 이렇게 흑인 반노예제 운동가들이 반노예제 운동에 끼친 영향력을 충분히 인정할 때 우리는 반노예제 운동의 전체적인 그림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a historiography of the British antislavery movement, the black abolitionists have been largely ignored. It is partly because they published a small number of essays and the white campaigners’ helps were key to their antislavery achievements. This research attempts to give due importance to the Black abolitionists’ impact on the history of the antislavery movement. The disruption and conflict caused by the American Revolution undermined the moral authority of the British Empire and formed the atmosphere in which opponents of slavery, the most noticeable ‘vice’, could gain moral prestige; thus, the antislavery argument became more useful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In this context, a number of African writers against slavery and the slave trade appeared. Sancho, Cugoano and Equiano formally condemned slavery and several key themes reflecting inconsistency between slavery and Christian principles repeatedly appeared in their writings: humanity, benevolence and justice. They voiced similar discourse with their white counterparts but had a character of their own; the black abolitionists’ clear opposition to slavery reflects the intensity of antislavery ideology; harmonizing with the white abolitionist discourse, African writers were able to borrow fame and authority of the white campaigners while the white writers also established their credibility as their assertions were supported by African writers’ personal experience. Sancho, Cugoano and Equian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olitical movement for abolition as well. Most of all, they presented a vision of universal emancipation through education for African slaves and the establishment of bilateral trade relations with Africa. It demonstrates that they were not silent students but active participants with personal initiatives. A full and ample account of the black abolitionists’ writings and activities will broaden the scope of our understanding of the rise and development of the British antislavery movement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영국의 노예무역 억제 외교정책: 국제 중재법원의 설립을 중심으로, 1815-1851

        윤영휘 한국서양사학회 2016 西洋史論 Vol.0 No.128

        국은 1807년 노예무역 폐지법안 통과 이후에도 타국이 국제 노예무역에서 영국의 몫을 차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또 식민지 경제와 안보를 위해 19세기에도 추가적인 노예무역 폐지활동에 나서게 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국가와 평시 임검수색권과 공동법원 창설을 내용으로 하는 조약들을 체결하였다. 공동법원은 기본적으로 상대국의 동의와 협력을 기초로 하는 시스템이었으나 영국은 소재지, 법원구성의 측면에서 자국의 주도성을 담보할 수단을 확보하고 있었다. 또한 공동법원 재판과정을 통해 자국의 반노예제 정책에 국제법적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었다. 공동법원 시스템을 통해 해방된 노예의 수와, 억제정책이 방지한 노예들의 수는 공동법원이 노예무역 억제라는 본연의 성과를 내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영국은 여기서 더 나아가 노예무역 억제 활동을 통해 얻은 도덕적 위신과 대의명분을 해군 활동범위의 확대와 같은 다른 국가적 실리를 얻는데 전용하게 되었다. 공동법원은 노예무역 억제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영국의 행위에 도덕적 위신을 더해주는 범위 안에서 유용했고, 그러는 기간 동안 존재할 수 있었다. 따라서 1850년대에 관련 국가들의 반발로 공동법원 시스템을 통한 도덕적 명분 획득이 어려워지게 되자 영국은 거추장스러운 국제적 협력의 틀을 벗어버리고, 또 이전의 일방적 군사정책으로 회귀하게 되었다. Following passage of the act for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in 1807, the British government quickly recognized that the suppression of slave trading by other countries was needed. They formulated a new policy for the suppression of the foreign slave trade to prevent the threat of foreign competition with British interests in the West Indies. In line with this, bilateral treaties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ixed commission courts were concluded between Britain and other major maritime powers. The mixed court system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reciprocal agreement procedure. However, the British government secured various ways to take the initiative and particularly, legal procedure of the courts ultimately confirmed the legitimacy of the British suppression policy. The numbers of Africans emancipated by the courts and slaves who might have been carried on ships captured without slaves on board testified that the mixed court system virtually suppressed the traffic in slaves. Furthermore, the British government could gain moral prestige through participating in this seemingly ‘altruistic’ system and used it as a means to achieve their political ends. The mixed court system could exist as long as it was conducive to suppressing the foreign slave trade and raising moral capital for other political purposes. Thus, in the 1850s, when it became clear that the British could no longer gain moral prestige through this legal system, the British government returned to its policies in the past to suppress the slave trade which were military and unilateral.

      • KCI등재

        영국의 노예제 폐지 논의와 타협된 도덕자본의 정치, 1807~1833

        윤영휘 한국서양사연구회 2023 서양사연구 Vol.- No.69

        After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in 1807, it took time for a new purpose to emerge: the abolition of slavery. Antislavery politicians believed that once the slave trade was completely abolished, the treatment of slaves would improve and they could eventually be granted real freedom. To this end, the British government pursued a policy of suppressing the slave trade in other countries, but this did not achieve much success until the 1830s. With the formation of the Anti-Slavery Society in 1823, the position of the antislavery forces shifted towards direct government intervention in slavery. Initially, many members favoured gradual abolition, arguing that slaves needed to be taught Christianity and civilisation in order to use their freedom. However, the Society’s Reports revealed the limitations of this gradual approach, as they continued to report abuses on slave plantations and light punishment for the perpetrators. These examples suggest that by 1832, the opinion of antislavery politicians had evolved from gradual abolition to immediate abolition. In addition to the shift in the position of antislavery forces, the electoral reforms of 1832 set the stage for the rise of the argument for immediate abolition. The reforms abolished the ‘rotten boroughs’ and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rban constituencies in favour of abolition. This change in the political landscape also affected the government, with the Cabinet adopting the principles of immediate abolition and compensation for slave owners. Slavery was finally abolished in the British Empire in August 1833. However, the Act was only a half success in that it only abolished slavery immediately, but recognised apprenticeship and paid compensation to slaveholders. This shows that the discourse of property rights remained strong in Britain. The abolition of slavery was a direct infringement of personal property, making emancipation unthinkable without some concessions. Moreover, there was less of a national crisis in 1833 than in 1807, and consequently less moral prestige attached to participation in abolition. In the end, the antislavery forces opted for a political compromise that gave them the maximum amount of moral capital that could be gained under the circumstances.

      • KCI등재

        1778년 조셉 나이트 재판과 스코틀랜드 반노예제 운동

        윤영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4 사총 Vol.111 No.-

        1778년 조셉 나이트 대 존 웨더번 재판은 몇 가지 면에서 이전의 노예 재판과 구별되었다. 그것은 잉글랜드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사법권을 가진 지역에서 노예의 운명을 다룬 독창성이 있었다. 또한 1772년의 서머셋 판결이 답하지 않은 사안에 대해 명확한 법적 판단을 제공했다. 무엇보다 노예제가 스코틀랜드 법체계 안에서 성립되지 않는다는 결론은 노예제의 법적 지위에 심오한 변화를 가져왔다. 스코틀랜드에서는 나이트 재판 이전에도 두 차례의 노예 재판이 있었고, 두 사례 모두에서 기독교 세례와 노예의 법적 지위 변화의 연관성, 노예제의 적법성 문제가 다뤄졌다. 그러나 두 재판 모두 당사자의 사망으로 명확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종결되었다. 조셉 나이트 재판에서는 처음으로 이 문제들에 결론이 도출되었다. 노예제도의 적법성에 대하여 노예 소유주의 변호인들이 노예제의 오랜 존속이 의미하는 사회적 안정성을 중시하는 논리를 내세웠을 때, 도망 노예의 변호인들은 그것이 스코틀랜드 법체계와 법의 정신에 맞는지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스코틀랜드 법률체계의 독자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주인과 노예의 변호인들 사이에 노예제와 기독교 정신의 충돌 여부는 의견이 갈렸지만, 이런 차이에도 양쪽의 주장 모두에서 종교적 행위와 법적 행위의 구별에 대한 동의가 이뤄져 가는 점은 근대 법률체계 발전의 일부를 보여주었다. 1778년 1월 스코틀랜드 대법원은 이 사건과 관련해 식민지에서의 법률행위가 본국에서 효력이 정지되며, 스코틀랜드 법에 노예제가 허용될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다. 일부 재판관은 노예제가 1701년의 형사소송법에 충돌하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불법이라고 판단했다. 이 판례는 영국 전역에 노예해방을 가져온 것은 아니었지만 그 길로 가는 문을 열어 주었다고 평가된다. The case of Joseph Knight v John Wedderburn in 1778 differed from previous slave trials in a number of ways. It had the uniqueness of dealing with the fate of slaves in a region with its own jurisdiction separate from England, and it provided a clear legal judgement on a question left unanswered by the Somerset judgement of 1772. Most importantly, the conclusion that slavery was not established within the Scottish legal system led to a profound change in the legal status of slavery. Prior to the Knight trial, there had been two slavery trials in Scotland, both of which addressed the issue of the legality of slavery and the link between Christian baptism and the change in the legal status of slaves. However, both trials ended with the deaths of the parties without reaching a definitive conclusion. The Joseph Knight case was the first to bring these issues to a conclusion. While the slave owners' defence of the legality of slavery emphasised the social stability implied by the long existence of slavery, the fugitive slave's defence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fit within the Scottish legal system and the spirit of the law. In the process, the independence of the Scottish legal system was reinforced. While masters and defenders of slaves disagreed about whether slavery and Christianity were in conflict, the growing consensus on both sides of the argument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religious and legal behaviour w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legal system. In January 1778, the Court of Session ruled that the laws of the colonies were suspended at home and that there was no basis in Scottish law for allowing slavery. Some judges argued that slavery was expressly illegal because it conflicted with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1701. This ruling did not lead to the emancipation of slaves throughout the United Kingdom, but it is credited with paving the way.

      • KCI우수등재

        “거인과 피그미의 전쟁” -영국 의회의 노예무역 폐지 논쟁과 도덕자본의 정치, 1787-1807-

        윤영휘 한국서양사학회 2023 西洋史論 Vol.- No.158

        1787년부터 1807년까지, 노예무역 폐지법안은 열 번 넘게 통과에 실패하였다. 하지만 실제 표결과정은 노예무역 폐지 찬반 세력 사이에 팽팽한 접전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렇게 오래 교착상태가 진행된 것은 영국 의회 내에 노예무역 찬반 세력모두 일정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영국 의회 내에는 윌버포스와 같이 노예무역 폐지를 최우선 정치 아젠다로 두었던복음주의 정치가들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정치적 중요성은, 반노예무역 사상을 가졌지만 그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는 달랐던 다양한 정치인들이 결집할 구심점 역할을 한 점에 있었다. 그래서 수상 피트와 그 정치적 반대편에 서 있던 폭스가 함께 노예무역 폐지법안을 지지하는 보기 드문 장면이 연출되었다. 반면 친노예무역 세력은 거물급 정치인은 아니지만, 항구도시의 상인, 서인도제도농장주, 반개혁적 성향의 귀족 등 자기 분야에서 적당한 영향력을 가진 여러 정치인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반노예무역 담론의 근거를 공격했을 뿐 아니라 1790년대부터 프랑스 혁명으로 조성된 위기국면 속에서 급진 이데올로기와 노예무역 폐지운동 사이에 연결짓기를 시도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오랜 기간 노예무역 폐지법안의 통과를 막을 수 있었다. 이 교착상태를 깨뜨리고 노예무역 폐지세력이 승리를 거둔 원인은 무엇인가? 친노예무역 세력은 반노예무역 담론에 반박하는 것을 넘어 사회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반노예제 정치가들은 노예무역 폐지가 주는 도덕적 위신이프랑스와 체제 대결에서 승리할 자산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또한 이것을 주도하는 개인이 도덕자본을 통해 정치적 이익을 얻을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의회 내 무게 중심의 추가 결국 반노예무역 세력 쪽으로 기울게 되었다. Between 1787 and 1807, abolitionist legislation failed to pass more than ten times. However, the votes were closely divided between those for and against abolition. This protracted stalemate was because both pro- and antislavery forces were well entrenched in the British Parliament. There were evangelical politicians in the British Parliament, such as Wilberforce, who put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at the top of their political agenda. Their political significance; however, was that they provided a rallying point for a wide range of politicians who shared antislavery ideas but differed in the degree to which they valued them. This allowed an unusual coalition to form between Pitt, who led the nation, and Fox, the opposition leader. The proslavery trade faction, on the other hand, consisted of several politicians who were not major players but had moderate influence in their areas, including port city merchants, West Indian planters, and anti-reform aristocrats. In addition to attacking the basis of the antislavery politicians' arguments, they sought to forge a link between radical ideology and the abolitionist movement amid the crisis created by the French Revolution in the 1790s, which had long prevented the passage of abolitionist legislation. Proslavery forces were unable to offer an active vision for social reform beyond refuting the antislavery discourse, but antislavery politicians were able to demonstrate that the moral prestige of abolition could be a winning asset in the confrontation with France and that the individuals leading it could use this moral capital to their political advantag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balance of power in Parliament eventually shifted towards the antislavery forces.

      • KCI등재

        18세기 영국의 대서양 노예무역과 아프리카 음식의 월경(越境)

        윤영휘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4 No.-

        The Atlantic slave trade has been researched for a long time, but the material exchange caused by it,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trade has not been fully emphasized. Thus, closer scrutiny of migration of African crops and the cultural mixture of ‘African-American’ foods will place a proper importance on another side of the slave trade. At first, African slaves in the West Indies raised African crops for a living but soon started to trade them in local markets for profit. Accordingly, the spread of African plants was escalated. Furthermore, slaves added the Caribbean ingredients and crops imported from mainland North America to African cuisines and made variations of them. Thus, fusion foods which characterized three regions of West Africa, the West Indies and North America were created. These foods, over time, were permeated into other ethnic communities, and changed local cultures permanently. This suggests that the African plants and foods, migrated through the Atlantic slave trade into the West Indies were creating cultural products beyond its survival. 오랜 시간 노예무역 폐지운동에 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지만 인적 이동에 비해 물적 이동이라는 성격은 충분히 강조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노예무역과 함께 전파된 작물의 이동과 그것이 초래한 식문화의 융합을 살펴보는 것은 노예무역의 또다른 주요 측면에 합당한 중요성을 부여한다. 서인도제도의 노예들은 처음엔 생존을 위해 아프리카 작물을 위해 경작했지만 점차 이윤을 얻기 위해 시장에 판매함으로서 그것들을 현지에 확산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은 아프리카에서 비롯된 음식에 서인도제도 작물과 북아메리카에서 수입된 재료들을 혼합하여 여러 가지 변형물을 만들어 냈다. 그래서 서인도제도에는 세 지역 음식문화의 특징이 조화를 이루는 다양한 음식의 혼종이 탄생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며 이런 음식들의 상당부분을 백인을 포함한 타인종 공동체들이 수용하면서 이 지역의 식문화는 항구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노예무역을 통해 전파된 아프리카 작물과 식문화가 신대륙에서 살아남는 것을 넘어 새로운 생산물을 만들어 내고 있었음을 암시하는 역사적 실례를 제공한다.

      • KCI등재

        영국의 역사교육과정 제정과 다문화주의 교육, 1986-2014

        윤영휘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6

        This study scrutinizes how multiculturalism has remained as one of main purposes in history education and how many multicultural factors history textbooks contain in their contents. It also analyzes the gap between multicultural ideal and its actual feature in the education field. The first half of this essay explains how the Conservative Party’s attempt to introduce history national curriculum which focused on the British history rather than world history, failed to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and how multicultural contents has lived through two history wars and even take a substantial part in the curriculum. However, the survival of multiculturalism in history education does not mean its predominance in the classroom. It was the value of multiculturalism and its appropriateness in history education, of which the outcomes of the history wars approved; the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in the classroom is additional concern. As demonstrated in the latter half of this essay,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a multicultural teaching system as a main educational objective, the vestiges of traditional historical writings still remain in current history textbooks; in many parts of them, international relations are understood from the British perspective, disclosing passiveness and abnormality of Asian, Black African and the Islamic worlds. Historical importance of other ethnic groups besides the Anglo-Saxon race in the British Isles, women, ethnic minorities, immigrants is not fully emphasized in these textbooks. This shows that the history war has not come to a close yet but still continues, changing its battleground from the place of discourse to the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가 영국 역사교육 과정의 목표중 하나로서 남게 되는 과정과 그것이 교과서에서 실제 서술되고 있는 내용을 고찰하며, 더 나아가 교육현장에서 다문화주의의 이상과 실제의 간극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이 글의 전반부에서는 정부주도의 영국사 위주의 역사교육과정 개편이 성공하지 못하고 다문 화주의 교육이 현재 영국 역사교육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과정이 분석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 안에 다문화주의가 주요 교육 목표로 남게 된 것이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다문화주의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교육과정개정과 관련된 역사전쟁이 거둔 성과는 다문화주의가 영국 교육목표로서 갖는 당위성의 확인이었으며, 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주의 교육은 실상 또 다른 목표의 영역에 속한 것이었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 보인 것처럼, 영국에서는 다문화주의가 교육목표들 중 하나로 확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역사서술의 잔재가 사라지지 않았다. 교과서 내 많은 부분에서 자국 및 서 유럽의 세계 주도성, 정상성을 강조하면서 한편으로는 아시아, 블랙아프리카, 이슬람세계의 수동성, 비정상성을 부각하는 서술들이 여전히 발견된다. 또한 앵글로-색슨 외의 영국 내 인종, 여성, 소수 인종, 이민자 등이 가지는 역사적 중요성은 여전히 그 양과 질의 면에서 충분히 강조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영국의 역사논쟁이 종결된 것이 아니라 그 논쟁의 장을 담론의 영역에서 현실의 영역으로 바꾸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영국 및 일본 동양학의 특징과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내 영문 동양학 장서

        윤영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리뷰 Vol.7 No.2

        The book collection of oriental studies in English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consisted of books publishe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but imported through the imperial university system of Japan. Thus, the characteristics evident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oriental studies in Britain and Japan and the accompanying views on the other “orients” were overlapped in the collection. This research primarily aims to demonstrate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oriental collection of the library and also analyze the importation of Western knowledge into colonial university libraries and its transformation. Britain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Westernized system of politics and the initial stage of imperial expansion in Japan. In this context, Japanese oriental studies share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the Britain. However, the British political, diplomatic and academic influences on Japan do not explain how the unique features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were formed and developed. For this purpose, aspects of how Japanese studies were separated from oriental studies through the formational process of modern university system should be scrutinized. In this period, oriental studies in Japan served as an academic tool to intensify self-identity by othering other Asian nations. How wer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hich affected the formation of Japanese views on other “orients,” reflected in the collection of the Japanese university library? Analytical study on books of oriental studies in English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reveals universal culturalism which other Western imperial institutes also pursued. However, universal culturalism affects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library collection unevenly. Japanese intellectuals imported books on ancient civilizations when it came to the Middle East and India, as many Western scholars did. However, they showed more complicated attitudes toward China, Mongolia and Indochina that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cause of Japanese imperial expansionism. Japanese intellectuals imported many books on practical knowledge, like language, culture and customs of those areas but also collected documents which reflected Western orientalism and used them to project Japanese superior image over other Asian countries.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 소장된 동양학 관련 영문서적들은 영어권에서 생산되었지만 일본 제국대학 시스템 안에서 수 입되었다. 그 결과 그 장서구성은 영국의 동양학 발전과정의 특징과, 일본이 동양을 바라보던 시각을 동시에 드려내고 있 다.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부속도서관 내 동양학 관련 장서의 구성내용과 특성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나, 궁극적으 로는 이 장서구성이 투영하는 식민지 도서관에 수입된 지식의 수용과 변형과정을 분석하려 한다. 영국은 일본이 서구적 정치체제를 성립하고 제국주의적 팽창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일본 이 동양학에 대해 영국과 유사한 국가적 필요성을 공유하는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영국이 일본에 영향을 끼친 정치, 외교, 사상적 요소들은 일본 동양학만의 고유한 특징까지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일본 동양학 발달의 내재 적 요소, 특히 근대 대학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자국학과 동양학이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은 일본이 타자를 통한 자기 정체성 강화의 수단으로서 동양학을 발달시키는 특징적 면모를 보이고 있다. 일본 동양학 발전의 외적·내적 요인들이 제국대학의 장서구성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경성 제국대학 부속도서관 영어 동양학 장서를 분석한 결과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보편적 교양주의로 이는 당시 서구 대학의 교육방향과 일치한다. 그럼에도 이런 보편주의적 관심이 모든 지역에 균등했던 것은 아니다. 일본 지식인들은 중동, 인도 등 자국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거리가 있는 지역은 이들 지역의 고대 문명에 대한 서적을 주로 수집하였다. 그러나 아시아 중에서도 중국, 몽골, 만주, 인도차이나 등 제국주의적 팽창과 관련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좀 더 복잡한 일본의 관심사항이 드러났다. 일차적으로 일본은 제국 운영에 필요한 언어, 사회, 문화와 관련된 서적을 구입하였지만, 동시에 서구가 비서구 를 타자화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책들을 다수 보유하였다. 이는 동아시아를 대상화해서 자신을 다른 동양국가보다 우월한 위치에 두려는 일본 동양학의 또 다른 특징을 반영하는 지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