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유가공산업(乳加工産業)의 에너지 소비양상(消費樣相)에 관한 조사연구

        윤영호 한국낙농학회 1983 韓國酪農學會誌 Vol.5 No.3

        A survey on the energy consumption status of seven dairy processors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asses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nergy consumption in dairy processing industry in this coun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A total amount of 227,124 million ㎉ (0.95 PJ) of energy was consumed by 6 dairy processors, for the treatment and processing of 401,550 tons raw milk, which is equivalent to 566 ㎉ (2.4 MJ) per ㎏ of raw milk consisting 454 ㎉ of thermal energy and 112 ㎉ of electrical energy, in 1982. The trend of energy consumption during the period of last five years showed twenty percent less energy was used in 1982 than in 1978 for the treatment of unit weight of raw milk; a remarkable reducing tendency has been observed in the consumption of thermal (fuel) energy and a slight increasing tendency in the use of electrical energy. 2. Energy requirements for the production of three major dairy products showed that 169 ㎉ (0.71 MJ) of thermal energy and 55 ㎉ (0.23 MJ) of electrical energy were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 market milk, 2,378 ㎉ (9.95 MJ) and 265 ㎉ (1.1 MJ) for powdered milk, 129 ㎉ (0.54 MJ) and 112 ㎉ (0.47 MJ) for liquid yoghurt in 1982. 3. The energy use indexes of seven dairy processors in 1982 have been calculated for the comparative assessment of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Four processors out of seven showed minus index in the use of thermal energy, whereas a great discrepancy was found in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ranging from -8.4% to 360%, which bespeaks the need for better organized and efficient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on the part of dairy industry.

      • 돼지 및 원숭이의 신장조직배양시(腎臟組織培養時)에 첨가된 Lactobacillus spp MRS 배양여액(培養濾液)이 세포증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윤영호 한국낙농학회 1984 韓國酪農學會誌 Vol.6 No.2

        돼지 腎臟細胞(PKⅡ)와 원숭이腎臟細胞(Vero)를 組織培養하는 條件에서 두 종류의 動物細胞增殖培地中에 乳酸稈菌의 MRS培養 濾液이 여러 가지 濃度로 存在할 때, 動物細胞增殖에 미치는 效果 및 培地의 pH 變化를 究明하기 爲한 實驗을 實施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Lactobacillus spp의 MRS 培養濾液이 14% 水準으로 첨가되었을 때 돼지腎臟細胞의 增殖에는 뚜렷한 阻止를 나타내는 것과 42%까지 첨가되어도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群으로 區分할 수 있었다. 前者에 속하는 것은 Lactobacillus helveticus 1042, YM1, 및 L. joghurti 3048 등이고 後者에는 L. casei YIT 9018과 L. casei 4646 등이다. (2) Lactobacillus spp 培養濾液이 원숭이腎臟細胞(Vero cell) 增殖에 對하여 그 添加水準이 14%까지는 뚜렷한 抑制現象을 보이지 않았으나 42.0%에서는 甚한 抑制現象을 나타내었고 돼지腎臟細胞보다 원숭이腎臟細胞의 乳酸稈菌培養濾液에 對한 抑制程度가 낮게 나타났다. (3) 돼지腎臟細胞와 원숭이腎臟細胞 배양지에 MRS broth를 14% 水準으로 첨가한 후 細胞培養이 後 pH는 원숭이 腎臟細胞培養時에서 酸性化가 急速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Lactobacillus spp 濾液을 添加할 때 돼지臟細胞培養時에는 L. casei YIT 9018 添加 時에 pH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원숭이腎臟細胞培養體系에서는 L. thermophilus 1390 添加 時에 pH 低下性向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培養 이후의 배지 pH와 腎臟細胞의 증식정도와는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13 strains of lactobacilli MRS culture filtrates onto tissue culture system of pig and monkey kindey cell lin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the lactobacilli culture filtrates addition on the growth of mammalian cell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growth of kidney cells varied on the addition level of lactobacilli culture filtrates: at 4.7% addition there is no evident inhibition but at 14.0% addition a slight, moderate and severe degree of inhibition of pig kindey cell was observed, at 42% addition a distinct growth inhibition of the two mammalian cells occured. 2. A greater sensitivity of pig kidney cells (PKII) than monkey cells (Vero) was observed at 14.0% addition of Lactobacillus helveticus 1042, L. helveticus YMI, L. joghurti caused a severe inhibition of pig kidney cells, L. acidophilus 1084, L. acidophilus 27, L. acidophilus L54 caused moderate inhibition and the other 7 stratins of Lactobacillus spp did not inhibit PK cells at the same level. 3. pH value of cell culture broth after the cultivation period varied depending upon the types of mammalian cells,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culture filtrates and their addition levels.

      • KCI등재

        저탄소농업의 기술체계분석과 기술관행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분석

        윤영호,정만철,유갑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6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low-carbon farming materials and onsite agricultural technical practices in production activities to reduce greenhouse gas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low-carbon agricultural technology. The analysis of the technology system of low-carbon agriculture analyzed the agricultural technology system in which 10 farms that acquired organic agricultural certification and low-carbon agricultural certification simultaneously applied the target at the production site. Furthermore, the effect of agricultural technology practices actually applied in the field and input agricultural materials on the reduction rate of agricultural gas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case of uncultivated certification technolog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technical suitability in rice cultivation. Farms that have been certified without cultivation are not different from cultivation farms because they perform rotary work less than three times, except that they do not cultivate. This is not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recognizing the cultivation-free technology that recognized the soil fixation effect of organic carbon. Second, green manure crops and rice straw reduction are similar in purpose and purpose, but it is problematic to include only rice straw reduction in calculation and exclude green manure crops in calcul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Rice straw reduction was found to have a higher greenhouse gas reduction rat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green manure crops. Third, among by-product fertilizers, oilseed has a higher contribution to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an other organic materials (convenient materials, self-complexion). This suggests that the system for certifying uncultivated technology in rice-water cultivation and the regulation for including straw reduction in calculating carbon emissions need to be improved. Further investigation and confirmation are need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amples of the low-carbon organic agricultural technology system survey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저탄소농업을 실천하는 현장 농가의 농업기술체계를 재정립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생산활동에 투입하는 저탄소 농자재 및 현장 농업기술관행이 온실가스 감축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저탄소 농업기술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저탄소농업의 기술체계분석은 유기농업인증과 저탄소농업인증을 동시에 취득한 10개 농가를 대상을 생산현장에서 적용하는 농업기술체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하고 있는 농업기술관행과 투입 농자재가 농실가스 감축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균차이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무경운 인증기술의 경우 벼 수도작 재배에서는 기술적 적합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경운인증을 받은 농가는 경운작업을 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3회 이하의 로터리 작업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경운작업을 하는 농가와 차이가 없었다. 이는 유기탄소의 토양고정효과를 인정한 무경운기술의 인정취지와 배치되는 것이다. 둘째, 풋거름작물과 볏짚환원은 그 사용목적과 기능에서 유사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에서는 볏짚환원만은 산정에 포함하고 풋거름작물은 제외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볏짚환원이 풋거름작물보다 온실가스감축률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산물비료 중에서는 유박은 다른 유기자재(참편한, 자가퇴비)에 비해 온실가스 감축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 수도작재배에서 무경운기술을 저탄소 농업기술로 인증하는 운영 방식과 볏짚환원만 탄소배출량 산출에 포함하는 기준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 저탄소유기농업 기술체계조사의 표본 수를 늘려 추가적인 조사 및 확인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실태 조사

        윤영호,최은숙,이인정,이영선,이정석,유창훈,김현숙,백유진,Yun, Young-Ho,Choi, Eun-Sook,Lee, In-Jeong,Rhee, Young-Sun,Lee, Jung-Suk,You, Chang-Hoon,Kim, Hyun-Sook,Paek, Yu-J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5 No.1

        목적 :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및 비의료기관의 서비스 대상자, 시설 인력구성, 서비스 내용 및 재정적 문제 등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 설문조사는 2001년 7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자들이 기존 연구를 참조하여 개발한 총 39항목의 설문지를 반송봉투를 넣어 우편으로 발송하여 조사하였다. 회신이 되었지만 내용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는 부분과 회신이 안된 기관은 전화를 통해 설문을 완성하였다. 64개 기관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결과 : 국내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 40개, 비의료기관이 24개 있었다. 의료기관 중 11개 기관은 병원연계 및 독립 또는 별도병동이 었고, 비의료기관 중 6개는 입원이 가능한 독립시설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 대부분은 암환자였지만 일부는 말기 질환이 아닌 경우도 포함되어 있었다. 전체 64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기관 중 24개만이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및 성직자가 있었다. 가정호스피스 기관으로서 의뢰체계가 있는 경우는 의료기관 89.7%, 비의료기관 73.7% 였다.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의료기관 65.0%, 비의료기관 37.5%였다. 가족을 위한 휴식공간은 병원중심 호스피스완화의료 프로그램의 50%에서 있었다. 전체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의 73.9%는 재정적인 문제가 있었으며, 610%는 정부로부터의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6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프로그램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도 인력, 서비스의 질 및 시설 측면에서는 문제점이 있었다. 말기환자를 위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의 표준화와 제도화가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sent status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in Korea as a basic database for standardiza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Method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October, 2001.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which was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recipient of service, manpower, contents of service, financial conditions and facilities. Sixty-four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confirmed by telephone. Results : They were 40 hospital-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and 24 nonmedical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11 Hospital-based hospice palliative programs have isolated unit or hospital affiliated free standing hospice. 6 Non-hospital hospice palliative programs have a free standing hospice. Major subjects of hospice palliative program were terminal cancer patients but patients with non-terminal illness were also included. Only 24 of 64 hospice palliative programs had all of the essential professionals : physicians, nurses, social workers, and clergies. Home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have a referral system in hospital based (89.7%) and nonmedical programs (73.7%). 24hr hospice are were provided in 26 hospital-based (65.0%) and 9nonmedical programs (37.5%). There were rooms for family in half of hospital-based programs. 73.9%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have financial problems. 62.0% of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need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Conclusion : 64 Hospice palliative care programs provided hospice palliative services but had many problems in manpower, quality of care and facilit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rminal patients' life and promoting the cost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tandard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 말기 암환자의 통증 및 통증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영호,허대석,김홍수,오상우,유태우,김유영,허봉렬,Yun, Young-Ho,Heo, Dae-Seog,Kim, Hong-Soo,Ou, Sang-Woo,Yoo, Tai-Woo,Kim, You-Young,Huh, Bong-Yul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9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WHO의 통증관리원칙에 따른 통증관리의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불충분한 통증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말기암환자들의 통증정도와 불충분한 통증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 6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말기암으로 판정받은 성인 암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활동도, 전이여부 등을 포함한 인구 의학적 특성과, 사용되고 있는 진통제를 보정한 통증정도를 조사하였다. WHO의 통증관리지침에 따라 통증관리의 적절성을 평가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말기암판정당시 85%의 환자들이 통증이 있었으며 65%의 환자들이 중등도이상의 통증을 갖고 있었다. 말기암환자 38%가 불충분한 통증관리를 받고 있었으며 통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불충분한 통증관리를 받고 있었다(P<0.001). 성별 연령, 암의 원발부위, 전이여부, 우울 및 불안 증상, 활동도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통증관리지침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말기암환자들이 충분한 통증관리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증 평가방법과 통증관리지침에 관한 적극적인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 Purpose : Validity of WHO guideline of cancer pain management has been proven and many trials were done for resolution of inadequate management of cancer pain. We assessed the severity of pai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inadequate pain management. Methods : This study was done on 100 patients who was confirmed as terminal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lune 1997 to November. For getting the informations about dermograph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formance and metastasis, and drug-adjusted pain severity the patient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 the patients. we assessed the adequacy of prescribed analgesics with WHO guidelines of pain management,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adequacy of pain management. Results : 85.0 percent of cancer patient had pain when diagnosed as terminal cancer and 68% of patient had pain above moderate severity. 38.0 percent of those were given inadequate pain management and the greater pain severity, the less adequate(P<0.001). Sex, age, primary site of cancer, metastasis,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performanc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Despite guidelines for pain management, many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received inadequate pan management. Their is a need for education about evaluation of pain and guidelines of pain management.

      • KCI등재

        표업(表業)의 본질에 대한 고찰Vasubandhu)와 상가바드라(Saghabhadra)의 해석을 중심으로-

        尹煐鎬 한국불교학회 2007 韓國佛敎學 Vol.48 No.-

        Vijñapti-karma means expressed[vijñapti] action[karma] toward outside, in here bodily-karma and verbal karma among the three karma i.e. bodily-vijñapti-karma and verbal-vijñapti- karma applies in this case.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t views how to define the essence of vijñapti-karma among many schools. In this treatise the writter have considered the essence of vijñapti-karma among that different views centering on Saṃghabhadra and Vasubandhu’s interpretations, whose the representative master of Sarvastivadin and Sautrantika sharply have opposed to each other over the whole field of Philosophy. Samghabhadra is opposed to the view regarding cetana(volition) as the essence of vijñapti-karma in Sarvastivadin’s position, and he regard doer’s bodily state[form] and verbal state[verbal sound] of the moment that the fundamental path of karma(根本業道) is achieved as it. It is premised Sarvastivadin’s peculiar standpoint that cause and effect continuity of karma want to explain through the theory of ‘the three periods exist(adhvatrayam asti)’, ‘vijñapti’, ‘acquisition’(prapti) in here However Vasubandhu is opposed to Sarvastivadin’s view of the vijñapti-karma and criticize. It is because, for example, the form regarded the essence of bodily-vijñapti-karma is not exist as an atom under peculiar Sautrantika’s view of material but only temporary establish differences arrangement of the color Sautrantika recognized as the own unique character of material. The positive reason, however, which Vasubandhu is opposed to Sarvastivadin’s view of the vijñapti-karma, is premised Vasubandhu’s plain purpose that cause and effect continuity of karma want to explain through the theory continuity and evolution and distinction of cetana seeds on the basis of regarding cetana as the essence of vijñapti-karma. 표업(表業)은 외부로 표출된[表] 행위[業]로 일컫는 것으로, 여기에는 3업 가운데 신업과 어업, 즉 신표업과 어표업이 해당된다. 하지만 이 표업의 본질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부파들 사이에는 이견(異見)이 존재한다. 여기서는 그와 같은 이견들 가운데 교학전반에 걸쳐 가장 첨예한 대립을 했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와 경량부(經量部)의 대표적 논사라 할 수 있는 상가바드라(Saghabhadra)와 바수반두(Vasubandhu)의 해석을 중심으로 표업의 본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상가바드라는 유부의 입장에 서서 표업의 본질을 의지[思]로 간주하는 견해에 반대하며 근본업도(根本業道)가 성취되는 순간의 행위자의 신체적 형태(形色)와 언어적 형태(言聲)를 그 본질로 간주한다. 여기에는 업의 인과상속을 ‘三世實有’, ‘無表’, ‘得’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자하는 유부 특유의 관점이 전제되어있다. 하지만 바수반두는 이러한 유부의 표업관에 반대하며 그 비판을 전개하는데, 예를 들면 유부가 신표업의 본질로 간주하고 있는 형색(形色)은 경부 특유의 색법관에 근거할 때 극미(極微)로서 실재하는 것이 아니며 그것은 경부가 색의 자상(自相)으로 인정하고 있는 현색(顯色)의 배열[安布]의 차별을 가립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수반두가 유부의 표업관을 비판하는 보다 적극적인 이유에는 표업의 본질을 사로 간주한 터 위에 업의 인과상속을 ‘思種子의 相續과 轉變과 差別’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자하는 바수반두의 뚜렷한 목적이 전제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