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토마토에 발생하는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외부형태적 특징

        윤영남,김기덕,박수진,김남성,서미자,채순용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0 농업과학연구 Vol.27 No.1

        SEM을 이용하여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암 ·수컷 성충의 외부형태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더듬이에 있어 감각모의 3가지 형태는 더듬이가는마디(funicle)에서 관찰되었으며, 모상감각기(trlchold sensillum)는 말단 부위가 뽀족한 특징적인 형태를 하고 있고 감각기들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원추상 감각기(basiconic sensillum)는 길이가 13㎛, 지름이 1.4㎛에서 1.2㎛인 원형곡선형이다. 홈형 감각기(grooved sensillum)는 간상(peg) 끝에서 나온 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 모든 감각기들은 후각과 연관되어져 있는것으로 추정된다. 구기는 홉즙형으로 작고 펼쳐진 윗입술(labrum)과 합쳐져서 하나의 연결된 주둥이(rostrum)을 형성하고 있다. 가느다란 한 쌍의 작은턱수염(maxillary palp)은 긴 관 모양으로 각각의 세로로 이어져 있다. 발마디는 5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한가운데에는 패드모양의 흡착반(pulvillus)과 가시모양의 발톱사이돌기(empodium)가 있다. 아메리카잎굴파리는 흡착반과 발톱사이돌기에서 미끄러운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물질을 분비한다. 수컷의 생식기는 매우 복잡하며 삽입구(aedeagus)는 생식기관으로서 가장 일반적인모양이다. 반면에 암컷의 생식기는 상대적으로 간단한데 이 구조는 외부로 돌출된 관모양이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이미 발표된 다른 여러 종의파리와 비교하였다. The external morphology of male and female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was studied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ree types of sensilla were identified on the funicle of antennae. The trichoid sensilla were most conspicious and distributed with a characteristic sharp structure at the apical end. Basiconic sensilla were showed distal curvature about 13㎛ long and 1.2㎛ to 1.4㎛ in diameter. Grooved sensilla were showed a finger-like projections at the peg apex. The function of these sensilla likely to be olfactory. The mouthparts were adapted for sucking food, and formed a elongate rostrum which was incorporated with labrum. The labrum was a small and flap-like shape. The slender and paired maxillary palp seemed to combine with each other lengthwise to long tube. The tarsus typically consisted of 5 segments, which might be variously modified, principally by thickening or flattening. The segment healed a pair of claws. Beneath the claws, there was a pair of pad-like pulvillia and a bristle-like median empodium. L. trifolii secreted on the pulvillus and empodium an adhesive substance that enable them to cling to smooth surfaces. Male terminalia was complicated. The name 'aedeagus' seemed the best available general term for the copulatory organ, otherwise, female terminalia was usually relatively simple. This structure was reduced and formed a telescopic, eversible, and tubular ovipositor.

      • KCI등재

        Impact of High-Dose Statin Pretreatment in Patients with Stable Angina dur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윤영남,Seong-Yong Park,Yoohwa Hwang,주현철,유경종 대한흉부외과학회 201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4 No.3

        Background: Periprocedural treatment with high-dose statins is known to have cardioprotective and pleiotropic effects,such as anti-thrombotic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We aimed to assess the efficacy of high-dose rosuvastatin loading in patients with stable angina undergo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42 patients with stable angina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surgical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pre-treatment with 60-mg rosuvastatin (rosuvastatin group, n=71)or no pre-treatment (control group, n=71) before OPCAB.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30-day incidence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s). The secondary endpoint was the change in the degree of myocardial ischemia as evaluated with creatine kinase-myocardial band (CK-MB) and troponin T (Tn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preoperative risk factors or operative strategy. MACEs within 30 days after OPCAB occurred in one patient (1.4%) in the rosuvastatin group and four patients (5.6%) in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37). Preoperative CK-MB and TnT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fter OPCAB, the mean maximum CK-MB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rosuvastatin group 10.7±9.75 ng/mL, control group 14.6±12.9ng/mL, p=0.04). Furthermore, the mean levels of maximum T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rosuvastatin group 0.18±0.16 ng/mL, control group 0.39±0.70 ng/mL, p=0.02).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high-dose rosuvastatin loading before OPCAB surgery did not result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30-day MACEs. However, high-dose rosuvastatin reduced myocardial ischemia after OPCAB.

      • KCI등재

        흉부대동맥 질환에서 시행된 하이브리드 혈관내 성형술의 중단기 성적

        윤영남,김관욱,홍순창,이삭,장병철,송승준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5

        Background: A hybrid procedure using an open surgical extra-anatomic bypass of aortic arch vessels and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 is less invasive than open surgery, and provides a suitable proximal landing zone. Here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a hybrid TEVAR procedure at a single center. Material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onsecutive patients with thoracic aortic disease who received a hybrid TEVAR procedure between August 2008 and January 2010. Patients’ data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and mean follow-up was 10.8±5.5 months (range 3∼20). Result: Nine patients (7 males and 2 females) with a mean age of 63.8±15.8 years (range 38∼84) underwent a hybrid procedure. Five patients had an arch or a proximal descending aortic aneurysm, two had a dissecting aneurysm of the descending aorta, and two had an aneurysm of the ascending arch and descending aorta. Mean expected mortality calculated by logistic EuroSCORE was 21%. Six patients underwent debranching and rerouting from ascending aorta to arch vessels, 2 had carotid-carotid bypass grafting, and 1 underwent carotid-axillary bypass grafting. Mean operation time was 221.4±84.0 min (range 94∼364). Deployment success of endovascular stent grafting was 100% with no endoleak on completion angiography. There was no mortality, and a small embolism in the branch of the right opthalmic artery in one patient. During follow-up, one intervention was required for the endoleak. Actuarial survival at 20 months was 100%. Conclusion: Early and mid-term results are encouraging and suggest that hybrid TEVAR procedures are less invasive and safer and represent an effective technique for treating thoracic aortic disease. 배경: 대동맥궁 분지 혈관의 해부학적 외 우회로술(extra-anatomic bypass)과 흉부 혈관내 대동맥 스텐트 도관 삽입술을 같이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술식은 고식적인 완전 개방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며, 스텐트 도관 삽입술 시 안정된 안착지점(landing zone)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된 하이브리드 술식의 중단기 성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10년 1월까지 흉부대동맥 질환의 치료를 위해 하이브리드 술식을 시행한 일련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수술 전 후 데이터는 전향적으로 수집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8±5.5개월(3∼20개월)이었다. 결과: 9명의 환자(남:여=7:2)에서 하이브리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3.8±15.8세 (38∼84세)였다. 5명에서 대동맥궁 혹은 근위 하행대동맥류가 있었으며, 2명의 환자에서 하행대동맥에 박리성 동맥류가, 2명에서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및 하행대동맥에 광범위한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수술 전, logistic EuroSCORE로 계산한 평균 예측사망률은 21%였다. 6명에서 상행 대동맥으로부터 대동맥궁 분지혈관으로 탈분지화 및 재혈관화를 시행하였으며, 2명에서 경동맥-경동맥 우회로술, 1명에서 경동맥-액와동맥 우회로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수술 시간은 221.4±84.0분(94∼364분)이었다. 수술 후 100%의 환자에서 전산화 단층 혈관촬영을 통하여 스텐트 도관의 성공적인 안착을 확인하였으며, 총 평균재원일수는 15.2±4.6일이었다. 수술 후 사망은 없었다. 1명에서 우측 안동맥 분지에 색전증이 발생하였고 이외 합병증은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1명에서 스텐트 근위부의 endoleak으로 재시술을 시행하였으며, 20개월 생존율은 100%이었다. 결론: 흉부대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 하이브리드 술식은 덜 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이다. 본 연구의 중단기 성적을 토대로 보아 하이브리드 술식은 고무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심한 좌심실 부전을 갖는 환자에서 시행한 Off-Pump CABG와 On-Pump CABG의 중단기 성적 비교

        윤영남,유경종,이교준,배미경,심연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3

        배경: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ff 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은 심폐체외순환 하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n 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n pump CABG)에 비해 합병증이 다소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좌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서 OPCAB과 On pump CABG의 단기 및 중기 성적을 평가하여 OPCAB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동반수술을 시행 받지 않고 관상동맥우회술만을 시행 받은 946명 중 좌심실 박출계수가 35% 이하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OPCAB군:On pump CABG군 =68명:32명). 평균 연령은 두 군이 OPCAB군과 On pump CABG군이 각각 62.9 9.0세와 63.8 8.0로 두 군의 차이가 없었다. 두 군의 수술 전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수술 결과 및 추적결과를 평가 및 비교하였다. 결과: OPCAB군은 평균 2.75 0.72개, On pump CABG군은 2.78 0.55개의 도관을 획득하여, 각각 3.00 0.79개, 3.16 0.72개의 원위문합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사망은 OPCAB군에서만 1명(1.5%) 발생하였으나 두 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수술시간, 수술 후 1일째 CK-MB, 수술 후 기계 환기 시간, 중환자실 체류기간, 합병증 발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OPCAB군에서 더 낮았다. 평균 추적 기간은 26.6 12.8개월(4∼54개월)이었으며, 추적 기간 중 좌심실 박출계수는 OPCAB군과 On pump CABG군이 각각 27.1 4.5%와 26.9 5.4%에서 40.7 13.0%와 33.3 13.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각 증가하였다. 4년 생존율은 OPCAB군과 On pump CABG군이 각각 92.2%, 88.3%, 심장관련 사망에 있어서 4년 freedom rate은 각각 97.7%와 96.4%로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심장관련 합병증과 협심증 발생의 freedom rate도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좌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서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기능을 향상시키고 On pump CABG군에 비해 우수한 수술결과를 보였다. 특히 On pump CABG군에 비해 우수한 단기 성적을 보였으나 중기 성적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좌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 있어서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술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Kodak Insight 구내필름의 치아우식증 진단능에 대한 연구

        윤영남,이상래,이병도 大韓口腔顎顔面 放射線學會 2004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4 No.1

        Purpose :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of Kodak Insight film with other intra-oral films in the detection of dental caries. Materials and Methods : Periapical radiographs of 99 extracted human teeth with sound proximal surfaces and interproximal artificial cavities were made on Kodak Ultra speed, Ektaspeed, Agfa Ektaspeed and Kodak Insight films and automatically processed. Six dentists examined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using a five-point confidence rating scale and compared the diagnostic accuracy by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and ANOVA test. Results : The sensitivity of Kodak Ultra speed, Ektaspeed, Agfa Ektaspeed and Insight film were 0.84, 0.77, 0.75 and 0.79 respectively. The specificity of Kodak Ultra speed, Ektaspeed, Agfa Ektaspeed and Insight film were 0.97, 0.95, 0.96 and 0.94 respectively. The mean ROC areas (Az) of Kodak Ultra speed, Ektaspeed, Agfa Ektaspeed and Insight film were 0.917, 0.910, 0.894, 0.909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z of Insight film and other films (p = 0.178). Conclusion : Theses results suggested that Kodak Insight film have the comparative diagnostic accuracy of dental caries with Ultraspeed and Ektaspeed films.

      • SCOPUSKCI등재

        수술 중 발견된 한랭응집소를 가진 환자의 개심술 - 1례 보고 -

        윤영남,이삼윤,유경종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0

        한랭응집소는 저온에서 적혈구의 용혈 및 응집반응을 일으켜 저체온법을 이용한 개심술 시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킨다. 41세 남자 환자가 승모판 협착증을 진단 받고 외래 관찰 도중 기침과 발열 등의 폐렴증상으로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 후 승모판 치환술을 받았다. 수술 도중 심정지액의 온도를 내리면서 응집현상을 관찰하고 한랭반응단백질에 의한 응집현상을 의심하여 심정지액을 온혈성으로 바꾸고 정온 체외순환으로 무사히 개심술을 마쳤으며, 수술 후 면역혈청학검사에서 한랭응집소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Open heart surgery with hypothermia in patients with cold agglutinin can cause severe complications by hemolysis and hemagglutination of red blood cells. A 41 year-old male patient with mitral stenosis was admitted due to fever and cough. After antibiotics treatment, he was scheduled to undergo mitral valve replacement. In the operation room, we found agglutination of blood cardioplegia during lowering temperature of cardioplegia. And then, the cardioplegia was changed to warm cardioplegia and the operation was performed under normothermia due to the suspicion of the cold reactive protein. The operation was performed uneventfully. Postoperatively, cold agglutinin was confirmed by immunochemistry of the patient\`s serum.

      • KCI등재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시행한 OPCAB의 수술시기와 경색의 정도에 따른 임상성적

        윤영남,양홍석,심연희,유경종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7

        배경: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수술 시기는 아직도 논란이 많으며, off 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은 심폐체외순환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급성심근경색증에 있어서 OPCAB의 효용성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들에서 시행한 OPCAB의 수술시기와 경색의 정도에 따른 단기 및 중기 성적을 비교 분석하여 급성심근경색에 있어서 OPCAB의 적절한 수술시기와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OPCAB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급성심근경색으로 진단되었던 1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1.2세였고, 남성이 92명(73.0%), 여성이 34명(27.2%)이었다. 대상 환자 중 109명(86.5%)에서 3개 혈관 병변 혹은 좌주관상동맥 병변을 보였고, 긴급 또는 응급 수술을 요하는 환자는 25명(19.8%)이었다. 비전층 심근경색환자(제1군)는 72명(57.1%), 전층 심근경색환자(제2군)는 54명(42.9%)이었으며, 수술 전 심장성 쇼크와 대동맥 내 풍선펌프 삽입의 빈도는 제2군에서 더 높았으나 그 외의 수술 위험인자의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다.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한 후 수술까지의 시간을 각각 24시간 내, 1∼3일, 4∼7일, 8일 이후로 나누어 사망률 및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수술까지의 평균 대기 기간은 5.3 7.1일이었으며, 제1군은 4.2 5.9일, 제2군은 6.6 8.3일이었다. 결과: 환자당 평균 3.21개의 문합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3명에서 대동맥풍선펌프를 사용하였다. 제1군에서 1명 (0.79%)의 저심박출증에 의한 수술 사망이 있었으나, 심근경색이 새로 발생한 예는 없었다. 두 군 간의 주 합병증의 발생률의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 대기시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률 차이도 없었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1.3개월(2∼42개월)이었으며 추적 조사 결과, 42개월 전체 생존율은 94.9 2.4%로 제1군은 91.4 4.7%, 제2군은 98.0 2.0%로 두 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26). 심장 관련 사망에 대한 42개월 전체 생존율은 97.6 1.4%로 제1군은 97.0 2.0%, 제2군은 98.0 2.0%로 두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74). 심장 관련 합병증의 42개월 전체 자유도는 95.4 2.0%로 제1군은 94.8 2.9%, 제2군은 95.9 2.9%로 두 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89). 결론: 급성심근경색환자에서 대기 시간 없이 심폐체외순환기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여 좋은 중·단기 성적을 확인하였으며, 심근경색의 정도는 수술 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저자들은 급성심근경색의 치료로써 관상동맥우회술이 필요한 경우 대기시간 없이 OPCAB을 시행하여도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대상군과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동맥 도관만을 이용하여 체외심폐순환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윤영남,유경종,이교준,이기종,주현철,임상현,김승호,곽영란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5

        배경: 관상동맥우회술에서 사용된 동맥 도관은 정맥 도관보다 우수한 장기 개존율을 보이며, 그에 따른 향상된 단기 및 장기 임상성적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심폐체외순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ff 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ff pump CABG) 역시 기존의 심폐체외순환기를 사용하는 관상동맥우회술에 비해 좋은 수술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동맥 도관만을 이용한 Off pump CABG를 시행하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저자들은 동맥 도관만을 이용하여 Off pump CABG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Off pump CABG을 시행 받았던 630명의 환자 중 동맥 도관만을 사용하였던 3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수술 전 위험요인, 관상동맥질환의 정도 및 수술성적에 대해 조사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9.3 11.9 (36∼83세)세였고, 평균 좌심실박출계수는 55.4 14.0% (15∼86%)였다. 대상 환자의 81.9%에서 삼혈관 질환, 또는 좌주관상동맥 질환을 보였다. 동맥을 사용하는 적응증은 좌전하행지는 협착이 50% 이상, 회선동맥 분지는 80% 이상, 우관상동맥은 90% 이상인 경우로 하였다. 수술 후 7∼10일에 총 194명의 환자에서 multi-slice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동맥 이식편의 개존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이용된 동맥 도관은 좌내흉동맥 322예(99.1%), 요골동맥 297예(91.4%), 우내흉동맥 157예(48.3%), 그리고 우위대망동맥 12예(3.7%)였다. 환자당 평균 2.46 0.56개의 동맥을 획득하여, 좌전하행지 329곳, 대각지 123곳, 변연둔각지 285곳, 그리고 우관상동맥 191곳 등 총 928곳에 문합하여, 환자당 평균 2.86 0.78개의 문합률을 보였다. 수술 후 사망은 1예(0.3%)였다. 수술 후 뇌경색은 없었으며 주요 합병증으로는 종격동염 6예(1.8%), 신부전증 4예(1.2%), 심근경색이 3예(0.9%), 그리고 출혈로 인한 재수술이 3예(0.9%) 있었다. 총 혈관 개존율은 99.3% (581/585)였고, 좌내흉동맥, 요골동맥, 우내흉동맥 및 우위대망동맥의 개존율은 각각 100% (207/207), 99.2% (238/240), 98.5% (133/135) 및 100% (3/3)였다. 각각 두 개의 요골동맥과 우내흉동맥에서 부분협착이나 경쟁혈류가 관찰되었다. 결론: 동맥 도관만을 이용한 Off pump CABG를 시행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영구적인 신경학적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았고 좋은 혈관 개존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동맥 도관을 이용한 Off pump CABG는 관상동맥의 협착의 정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시행 시 좋은 임상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rterial conduits using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have been known a great long term patency rates, and improved short and long term clinical outcomes. It has been reported that Off pump CABG has better clinical results than CABG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To evaluate the advantage of arterial conduits over venous conduits and to avoid the adverse effects of cardiopulmonary bypass, we performed total arterial Off pump CABG. Material and Method: From January 2001 to October 2004, Off pump CABG using only arterial conduits was performed on 325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9.3±11.9 years (36~83). Mean ejection fraction was 55.4±14.0% (15~86). Angiography showed left main disease or triple-vessel disease in 81.9% of the patients. Indications of using arterial conduits was stenosis ≥50% of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stenosis ≥80% of branches of left circumflex artery, and stenosis ≥90% of right coronary artery and its branches. Multi-slice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on 194 patients to evaluate the short term patency rates. Result: A total of 928 distal anastomoses were performed and the average anastomoses per a patient were 2.86±0.78. There was 1 operative mortalit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mediastinitis in 6 patients (1.8%), renal failure in 4 patients (1.2%),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in 3 patients (0.9%), reoperation for bleeding in 3 patients (0.9%). There was no postoperative stroke. Patency rate of arterial conduits was 99.3% (581/585). There were 4 stenoses or competitive flows in 2 radial arteries and 2 right internal mammary arteries. Conclusion: Total arterial Off pump CABG appears to be safe, showing a low surgical mortality and morbidity and excellent short term patency rates of arterial conduits.

      • KCI등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무당벌레에 기생하는 무당벌레기생파리(Degeeria separata)의 외부형태적 특징

        윤영남,김남성,김기덕,박수진,서미자,채순용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0 농업과학연구 Vol.27 No.1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of Degeeria separata, which was endoparasited in adult of the Asian ladybird, were studied by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The antenna of Degeeria separata was consisted of three segment and arista. Anstae were about 750㎛ length and 30㎛ in diameter. The surface of antennae was covered with many sensilla. They were long or short, slender or thick, and straight or curved. Each three morphological types of sensilla were observed on the second and third segment of antennae. The mouthpart was sponging type. It was consisted with clypeus, labellum, labium, labrum, and maxillary palp. The labellum is 400㎛ width and double folded vertically. The leg consist of tarsus, tarsus claw, pulvilli, and empo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