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윤열(Yoon, Yeol),이승태(Lee, Seung tae),김범중(Kim, Bum Jung) 한국사례관리학회 2021 사례관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수행인력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Hayes(2013)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 Model 6를 활용한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소진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행인력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수행인력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수행인력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은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직무소진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는 낮아지고, 낮아진 사회적지지는 자기효능감을 낮추어 최종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반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effect of job burnout of personnel performing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n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44 performers working at a customized care service implementation agency in Gyeonggi-do,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6 developed by Hayes (201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decreased as burnout of personnel performing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performing personnel.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did not show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performing personnel.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showe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performing personnel.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burnout,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and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self-efficacy, and finally the job satisfac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personnel performing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