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4시간 어린이집 영아의 자율성 및 또래 상호작용이 정서지능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Yoon Soo Jung),박희숙(Park Hee S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자율성 및 또래 상호작용이 영아의 정서지능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 는 영향력과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24시간 운영 어린이집에 다 니는 만 2세 남아 44명과 여아 38명을 포함한 총 82명의 영아와 교사 12명이다. 연구도구와 자료수집 방 법으로 자율성과 또래 상호작용 측정을 위해 Doll(1965)의 바인랜드 사회성숙척도, Jiao와 Ji(1986)의 사 회적 능력검사를 김숙경(1988)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은 Salovey와 Mayer(1996)의 모형을 문용린(1996)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 평가척도를 이정숙(2003)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담임교사가 평정하였다. 연 구자료 분석방법은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자율성 및 또래 상호작용은 영아의 정서지능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정서지능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가 자율성을 높이고 또래와 빈번한 상호작용을 통한 호혜적인 관계를 가짐으로써 정서지능이 향상되고 교사와 질 높은 상호작용으로 영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autonomy of toddler and peer interaction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ddler-teacher interactions in the 24-hour child care centers. Subjects were 82 toddler (38 girls and 44 boys), and 12 teachers in 24-hour child care centers. These teachers measured the toddler’s autonomy and peer interactions using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Kim (1988) from the source of the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Doll, 1965) and the Social Competence Evaluation (Jiao and Ji, 1986), and also emotional intelligence of using the questionnaire adjusted by Moon (1996) from the model (Salovey and Mayer, 1996), and the toddler-teach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Lee (2003) from the source of the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autonomy of toddler and peer interaction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ddler-teacher interactions. Second, autonomy of toddler and peer interaction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oddler and toddler-teacher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oddler and the quality of toddler-teacher interactions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autonomy of toddler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peer interactions.

      • KCI등재

        교사의 자기통제와 교사-영유아관계의 갈등이 영유아의 주도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Yoon, Soo-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5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통제와 교사-영유아관계의 갈등, 그리고 영유아의 주도성 및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사의 자기통제와 교사-영유아관계의 갈등이 영유아의 주도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 3-7세 남아 103명과 여아 100명을 포함한 총 203명과 이들의 담임교사 1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의 자기통제는 주도성과는 정적상관관계, 공격성과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갈등적인 교사-영유아관계는 주도성과는 부적상관관계, 그리고 공격성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교사의 자기통제는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갈등적인 교사-영유아관계는 주도성, 신체적 공격성 및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stablishes and analyzes the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teacher"s self-control and confli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s initiative and aggression. Participants 203 include 100 girls and 103 boys, all from three to seven years of age and all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16 of their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Finding indicate that teacher"s self-control hav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hild"s initiative but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child"s aggression. Also, teacher-child relationships by conflict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child"s initiative but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s aggression. Specifically, the effects of teacher"s self-control to relational aggress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by conflict to child"s initiative and aggression.

      • KCI등재

        Fisetin에 의한 비만세포 Th2 사이토카인 발현 하향 조절

        윤수정(Soo Jeong Yoon),표명윤(Myoung Yun Pyo) 대한약학회 2012 약학회지 Vol.56 No.5

        Mast cells play pivotal pathologic roles in allergic disease involving T helper 2 (Th2) cytokine such as interleukin (IL)-4 and IL-13. Fisetin has been known as an anti-allergic agent having inhibitory effects on the IL-4 and IL-13 gene expressions in inflammatory immune cells. However, its molecular mechanisms for suppressive effects of fisetin on IL-4 and IL-13 in activated mast cells have been incomplete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fiseti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and ionomycin (PI)-induced production of IL-4 and IL-13 in mast cells. The levels of mRNA were dramatically decreased by fisetin, indicating the suppression might be regulat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s.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nuclear expression of various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the promoter activation indicated that suppression of c-Fos was prominent together with significant down-regulation of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 (NF-AT) and NF-κB, but not c-Jun. Furthermore, the nuclear expression of GATA binding protein 2 (GATA-2) transcription factor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fisetin. Taken together, our study indicated fisetin has suppressive effects on IL-4 and IL-13 gene express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selective transcription factors.

      • KCI등재

        만 2세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Yoon, Soo-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6

        본 연구는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에 대해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2세 남아 56명, 여아 56명을 포함한 총 112명의 영아와 교사 14명이었다. 연구방법은 Pearson의 correl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WIN 21.0 Program과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의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은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적 능력은 관련성이 있으나, 정서지능과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은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은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의 정서표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영아기의 또래상호작용이 사회·정서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의 의의를 두고 연구논의 지속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stablishes and analyzes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toddlers’ peer interactions and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statistical effects of toddlers’ peer interactions o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126 participants consisted of 56 girls and 56 boys, all of whom were two years of age and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14 of their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by using the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first, toddlers’ positive peer interac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toddlers’ negative peer interac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ir social competence only. Second, specifically the effects of toddlers’ positive peer interactions o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ffects of toddlers’ negative peer interactions on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express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study suggests the association between toddlers’ interactions and their socio-emotional developme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infancy.

      •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에서 사용자 여정에 대한 디자인 제언: 사용자 경험과 디자인 기회 영역을 중심으로

        윤수정(Sujeong Yoon),이기원(Kiwon Lee),이여름(Yeoreum Lee)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피트니스 서비스는 현대인들의 건강 행동 증진을 돕는 새로운 문화 중 하나이다. 팬데믹 이후,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피트니스 서비스가 불가능해지면서 온라인 환경의 비대면 피트니스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였다. 특히 온라인 피트니스 서비스는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면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피트니스 경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피트니스 서비스에서 활용된 AI 기술의 역할을 분석한 후 이들이 실제로 사용자 경험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여정 전반에 걸쳐 건강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AI 기반 피트니스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기회 영역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Yoon, Soojung),김현미(Kim, Hyunmi)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 17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 t-검증, F-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과제 난이도와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가치적 요인, 내재적 요인, 외재적 요인)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이,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과는 정적 상관이, 자기효능감(과제난이도)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가치요인), 직무스트레스(행정요인, 활동요인), 자기효능감(자신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처하기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prevent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Gyeonggi area. To this end, correlation,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higher the difficulty and self-efficacy of the task. Second, job satisfaction (value factor, intrinsic factor, external factor) and job stres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had a negative co-rrelatio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confidence, self-regul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self-efficacy ( Task difficul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were administrative factors, confidence, value factors, and activity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coping with the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Yoon, Soo-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3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에 대해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 2세 남아 56명과 여아 56명을 포함한 총 112명과 이들의 담임교사 1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은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correlation을 산출하였고,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영아-교사의 정서적 상호작용은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영아-교사의 정서적 상호작용은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신체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행동적 상호작용은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establishes and analyzes the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infant-peer interaction and aggression. The 126 participants consisted of 56 girls and 56 boys, all of whom were two years of age and attending day care centers, and 14 of their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by using the SPSS 21.0 and AMOS 18.0 programs. The finding indicate that infant-teacher interaction h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fant-peer interaction, specifically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emotional interaction on infant-peer interaction and physical aggression. Also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behavioral interaction on infant-peer interaction.

      • 몬테소리 유치원의 혼합연령학급 구성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연구

        윤수정(Soojung Yoon),신유림(Yoolim Shin)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8 생활과학연구논집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thers'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mixed-age groupings, and mothers' understanding of the montessori program. Subjects were 362 mothers whose children are in Montessori preschools. Mothers recognized that the Montessori program is good for overall development for their children, and mixed-age grouping is necessary to some degree in Montessori education. The mothers' perceptions of mixed-age grouping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mother's education, children's sex,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The older the children are, better the mothers understands mixed-age groupings in Montessori program.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준비도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윤수정(Yoon, Soo-Jung),이예진(Yi, Ye-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1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업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면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초등학교 입학직전 연령인 2014년(7차년도) 조사에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6세 남아 786명과 여아 755명, 총 1,54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변인 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0.0 Program으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는 Sobel 검증을 통해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업준비도 간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기술의 매개변인을 통해서 학업준비도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여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A total of 1,541 children (755 girls, 786 boy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4-year-old children either attended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and Education in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s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readines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findings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This results suggests the important of academic readiness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the study variables.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또래선호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 및 중재 효과

        윤수정 ( Soo Jung Yoon ),신유림 ( Yoo Lim Shin ) 대한가정학회 201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The participants were 508 children and 28 head teachers of their classes. Teachers measured the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preference was measured by peer nomination. The association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The association between withdrawal, aggression and peer preference was fu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conflict were found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peer preference. In addition, teacher-child conflict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peer pre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