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 간찰서식집 睡餘錄 연구 - 저자 및 체재와 내용을 중심으로-

        윤세순 동방한문학회 2024 東方漢文學 Vol.- No.98

        본고는 1929년에 연활자본으로 간행된 한문 간찰서식집 睡餘錄 의 저자 및 그 체제와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여록 권말의 版權紙에는 저작자가 이 책의 序文을 쓴 草堂主人으로 되어 있는데, 서문을 살펴본 결과, 수여록 의 원저자가 따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헌 연구가 박철상 선생이 수여록 의 원저자가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까지 관료 생활을 했던 李裕民(1658~1729)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는데, 필자는 이를 바탕으로 이유민이 어느 시기에 수여록 을 저술했는지, 이유민과 연활자본 수여록 의 저작자로 되어 있는 초당주인은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추정해 보았다. 또한 跋文을 쓴 李方珪가 근대의 시기인 1929년에 조선시대에나 통용될 법한 한문본 수여록 간행을 주관한 이유도 살펴보았다. 한편 수여록 의 체제를 일목요연하게 도표화시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수여록 에 수록된 예문 간찰들이 대체로 대분류-중분류-소분류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분류방식에 일관성이 다소 부족하여 갈피를 잡지 못한 경우도 보였다. 이처럼 분류방식의 미흡함으로 인해 도표화시켜놓은 목차만 보고는 내용 파악이 어려운 예문 간찰들이 상당수 있었다. 따라서 제목만으로는 그 내용을 알 수 없는 예문 간찰들의 내용을 파악하여 수여록 에는 ‘請託’과 ‘要請’으로 분류되는 간찰들도 수록되어 있음을 밝혀 놓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author, system, and contents of the letter-writing guidebook Suyeorok(睡餘錄) , published as a typographic printing in 1929. The copyright paper of Suyeorok lists the author as Chodangjuin(草堂主人), who wrote the preface to this book. However, after examining the preface,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there was an original author of Suyeorok . Literature researcher Park Cheol-sang discovered that the original author of Suyeorok was Lee Yu-min(李裕民 1658~1729), who served as a bureaucrat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Based on this fact,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estimated what period Lee Yu-min wrote Suyeorok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re was between Lee Yu-min and Chodang Ju-in. In addition, I also looked at the reason why Lee Bang-gyu(李方珪), who wrote the postscript, supervised the publication of Suyeorok , a Chinese text that could have been used only in the Joseon Dynasty, in 1929, during the modern era. Meanwhile, the system of Suyeorok was diagrammed so that it could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example letters included in Suyeorok are generally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major category, middle category, and minor category. However, there were cases where the classification method was somewhat inconsistent and the results were confusing. Because of this incomplete classification method, there were many example letters whose contents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if you only looked at the table of contents. So, b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letters whose contents cannot be known from the title alone, it was revealed that Suyeorok also contains letters classified as ‘requests for work’ and ‘requests for goods’.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간찰서식집 ‘金玉尺牘’류 연구

        윤세순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2

        In this paper, we first identified the bibliographical information on the 8 types of geumokcheokdok. Then,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text structure,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example letter, and the appendix.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bibliographic details of the eight Geum-ok cheok-dok(金玉尺牘), although the term 'geumokcheok-dok' was commonly included in all titles, the time of compilation, the author, and the publisher were different. For this reason, it was not possible to grasp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ight geumokcheok-dok based only o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uch as the date of compilation and the author and publisher. On the other hand, while tracing the bibliographical information of 8 Geum-ok cheok-dok, I found a letter-writing guidebooks with the same contents and different titles from the Geum-ok cheok-dok. Daejeungbo(大增補) mussang Geum-ok cheok-dok(無雙金玉尺牘) has a different title from botong-yuhaeng(普通流行) seongmun cheok-dok(成文尺牘) , Juhaebueum(註解附音) mobeom Geum-ok cheok-dok(模範金玉尺牘) has a different title from Shinsik-yuhaeng(新式流行) mussang-juok cheok-dok(無雙金玉尺牘) , Bueumjuhae(附音註解) teugbyeol Geum-ok cheok-dok(特別金玉尺牘) has a different title from Bueumjuhae(附音註解) Shinsik-cheongnyeoncheok-dok(新式靑年尺牘) . But the contents are the same. Through this fact, I came to know that ‘Geum-ok cheok-dok’ was not a published letter-writing guidebook as it continuously changed and developed with its own uniqueness. Since the letter-writing guidebook titled 'Geum-ok cheok-dok' was sold with great success in the early days, I think that later editors competitively to give the title of 'Geum-ok cheok-dok' to the letter-writing guidebook they compiled. Next, by compar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eight ‘Geum-ok cheok-dok’, a certain influence relationship was revealed between them. Juhaebu- eum(註解附音) mussang Geum-ok cheok-dok(無雙金玉尺牘) , Juhaebueum(註解附音) mobeom Geum-ok cheok-dok(模範金玉尺牘) and Seokjabueum(釋字附音) choesin Geum-ok cheok-dok borrowed many of the Sample letter from Bueumjuseok shinsik Geum-ok cheok-dok , the early Geum-ok cheok-dok. In addition, Bueumjuhae teugbyeol Geum-ok cheok-dok does not borrow the example letters from Seokjabooeum choesin Geum-ok cheok-dok and Dajeungbo mussang Geum-ok cheok-dok , but has been modified in a way that makes the text easier to understand and rich in content.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letter writing guidebook for the Geum-ok che-ok that the appendix contains the Components of the letter form, various ceremonial procedures, new style note, and eastern and western chronology in common. 본고에서는 8종의 금옥척독류에 대해 먼저 서지사항을 파악해 보고, 이후로 본문 구성, 예문 간찰의 제목과 내용, 그리고 부록의 비교를 통해 영향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금옥척독류의 서지사항을 파악해 본 결과, 書名에는 모두 ‘金玉尺牘’이라는 용어가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지만, 편찬 시기, 편찬자[저작 겸 발행자], 발행처가 각기 달랐다. 이 때문에 편찬 시기와 편찬자와 발행처 등의 서지사항만으로는 금옥척독류 상호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해 낼 수 없었다. 한편 금옥척독류의 서지사항을 추적하다가 금옥척독류와 표제만 다른 간찰서식집을 발견하였다. 대증보 무쌍금옥척독 은 보통유행 성문척독 과, 주해부음 모범금옥척독 은 신식유행 무쌍주옥척독 과, 부음주해 특별금옥척독 은 부음주해 신식청년척독 과 書名만 다를 뿐이지 내용은 동일한 간찰서식집이었다. 이를 통해 금옥척독류가 금옥척독류만의 고유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하면서 출간된 간찰서식집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초창기 ‘금옥척독’이란 서명의 간찰서식집이 절찬리에 판매되는 인기를 누렸기 때문에 이후 편찬자들이 앞다투어 자신들이 편찬한 간찰서식집에 ‘금옥척독’이라는 이름을 포함시켰던 것이 아닌가 추정해 볼 수 있다. 서지사항을 살핀 이후에 금옥척독류 상호 간의 구성 및 내용 등을 비교해 보니, 이들 사이에 영향 관계가 드러났다. 주해부음 무쌍금옥척독 과 주해부음 모범금옥척독 , 그리고 석자부음 최신금옥척독 은 초창기 금옥척독인 부음주석 신식금옥척독 의 예문 간찰 상당수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었다. 또한 부음주해 특별금옥척독 은 석자부음 최신금옥척독 과 대증보 무쌍금옥척독 의 간찰 일부를 그대로 차용하지 않고 문장을 이해하기 쉽고, 내용이 풍부해지는 방향으로 수정하기도 했다. 또한 부록에 서식대요, 축문식, 신식단찰, 동서양연대표가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는 것은 금옥척독류의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금옥척독류는 1920․30년대 간찰서식집이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인기를 얻게 되자, 우후죽순처럼 간행된 상황 속에게 탄생된 간찰서식집이다. 대상 독자는 당시 한문과 한글을 모두 알고 있는 남성 식자층이었다. 또한 근대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진취성을 드러내기보다는 평범한 일상을 영위하는 사람들을 독자로 想定하여 편찬되었다.

      • KCI등재후보

        간찰서식집의 부록 연구 - 조선후기부터 1950년대까지 -

        윤세순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In this paper, I studied the appendix of letter writing guidebooks that were us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1950s. This period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namely the late Joseon Dynasty, 1890s~1910s(period of growth), 1920s and 30s(period of prosperity), 1940s and 50s(period of decline). Among the letter writing guidebook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Gandokjeongyo(簡牘精要)』 treated the appendix importantly. In addition, the part of an appendix to 『Gandokjeongyo』 also appeared in appendix of modern letter writing guidebooks, that is to say ‘Formal designation between family and relative(三黨稱呼)’, ‘a letter to the marriage(婚書式)’, ‘a message that inform a person's death(訃告)’, ‘a letter that comforts death(吊狀)’, ‘a letter of consolation(慰狀)’, ‘the old name of each village’. As a result of studying the appendix of the letter writing guidebooks in the 1890s~1910s(period of growth), it was divided into the aspect of inherit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aspect that reflects the new changes of the time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appendix of the letter-writing guidebooks in the 1920s and 30s(period of prosperity), things related to weddings(婚禮)·funeral(喪禮)·ancestral ritual formalities(祭禮) were becoming a trend. this reflects the public's desire to pretend to be a noble while making Confucian customs a part of their daily lives at a time when status and class collapsed. on the one hand, themethod of writing telegram and postcards, which were not seen in the appendix of the previous period, and what can be called a kind of life encyclopedia appeared in the appendix. in addition, the East-West chronology is included in the appendix of many letter writing guidebooks during this period, indicating that letter-writing guidebooks tend to become manneristic. As a result of studying the appendix of the letter-writing guidebooks in the 1940s and 50s(period of decline),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endix only during this period. however, I was able to find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letter-writing guidebooks.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appendix of the letter-writing guidebooks continued to change until the 1950s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ile absorbing new phenomena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부터 1950년대까지 통용되던 간찰서식집에 실려 있는 부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기간은 크게 4개의 시기, 즉 조선 후기, 1890년대~1910년대(성장기), 192·30년대(전성기), 194·50년대(쇠퇴·변모기)로 구분해 보았다. 조선 후기의 간찰서식집 중에는 『간독정요』가 부록을 활용하여 간찰서식집을 다채롭게 구성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독정요』의 주제별 예문 간찰 부문의 부록들, 즉 삼당칭호(三黨稱呼), 혼서식(婚書式), 고부(告訃)·조장(吊狀)·별지(別紙)·위장(慰狀), 각 읍의 고호(古號)와 도리(道里) 등이 근대 간찰서식집의 부록으로 계승되었다. 성장기인 189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간찰서식집의 부록을 파악해보니, 크게 조선 후기의 간찰서식집을 계승한 측면과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즉 신구(新舊)의 문화가 뒤섞여있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를 전통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것을 모색하며 성장 발전해 나아가는 긍정적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전성기인 192·30년대의 간찰서식집에는 혼례(婚禮)·상례(喪禮)·제례(祭禮)에 관련된 부록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신분과 계급이 무너져내리던 시기에 유교적 관습을 생활화하면서 양반 행세를 하고 싶었던 대중의 욕망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앞 시기 간찰서식집 부록에 보이지 않던 전보(電報)·엽서(葉書) 작성 방식과 일종의 생활 백과라 할 수 있는 것들이 등장했다. 또한 이 시기 많은 간찰서식집의 부록에는 동서양연대표가 실려 있는데, 이를 통해 이 시기 간찰서식집이 매너리즘화되는 경향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쇠퇴·변모기인 194·50년대에는 이 시기만의 부록의 대세적 특징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다만 개별 간찰서식집의 독특성이 간혹 발견될 뿐이었다. 이처럼 간찰서식집의 부록은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당대의 새로운 현상을 흡수하면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1950년대까지 변화를 거듭하며 그 생명을 지속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논문 : 17세기, 간행본 서사류의 존재양상에 대하여

        윤세순 ( Se Soon Yun ) 민족문학사학회 2008 민족문학사연구 Vol.38 No.-

        17세기에 소설문학이 발전하게 된 배후에는 무엇보다도 서사양식이 튼실한 버팀목 구실을 하고 있었다. 게다가 독자 수의 증가도 소설문학이 자신의 자리를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 소설류는 말할 것도 없고 소설에 근접해 있는 다른 서사류 책들도 간행된다면, 필사되었을 때보다 많은 양의 책을 생산해 낼 수 있어 그 만큼 독자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서사류 책의 간행이 소설문학의 발전에 일정한 기여를 했을 것이라 여겨 이 시기에 간행된 서사류 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재간본`·`초간본`으로 나누어 보았고, 이것들을 다시 서사류의 하위체계라 할 수 있는 `소설류`·`전기류`·`필기 야담류 및 기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소설류`에는 『오륜전전』·『전등신화』·『전등여화』·『삼국지연의』·『효빈집』이 있고, `전기류`에는 『정충록』이 있으며, `필기야담류 및 기타`에는 『종리호로』·『옥호빙』·『세설신어』·『소설어록해』·『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있다. 17세기에는 흥미본위의 심미적 목적을 위한 서사류 책 간행이 결코 쉽지 않았다. 즉 교화를 목적으로 한 도덕적 효용을 앞세워야 간행이 수월하였다. 중국연의류 번역소설이나 장편국문 창작소설들은 도덕적 효용보다는 흥미로운 읽을거리라는 목적이 우선시 되었지만, 아쉽게도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의 형태로 향유되었다. 따라서 17세기에 소설 독자나 독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부류를 확보하는데 있어서는 간행된 서사류책이 필사본 보다 더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First of all, narrative literature pieces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can be divided into original editions(初刊本), secondary editions(再刊本). As for the original editions, there are 『Jeongchungrok(精忠錄)』·『Jonglihoro(鍾離葫蘆)』·『Hyobinjip(效빈集)』·『Samgukjiyeonui(三國志演義)』·『Shishuoxinyu(世說新語)』·『Soseoleolokhae(小說語錄解)』·『Sanbomunwonsakyul(刪補文苑사橘)』 and 『Dongguk Shinsok Samgang Haengsh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For the secondary editions, there are 『Oryunjeon-jeon(五倫全傳)』·『Jeondeungsinhwa(剪燈新話)』·『Jeondeungsinhwa(剪燈餘話)』·and 『Okhobing(玉壺氷)』. These groupings the are classified into subordinate concepts of narratives-novels(小說類), biography(傳記類), PilgiYadam(essays of unofficial stories, 筆記野談類) and others. As for the novels, there are 『Oryunjeon-jeon(五倫全傳)』·『Jeondeungsinhwa(剪燈新話)』·『Samgukjiyeonui(三國志演義)』·『Hyobinjip(效빈集)』. For Jeongi, there is 『Jeongchungrok(精忠錄)』. And for the PilgiYadam and others, there are 『Jonglihoro(鍾離葫蘆)』·『Okhobing (玉壺氷)』·『Shishuoxinyu(世說新語)』·『Sosheoleorokhae(小說語錄解)』 and 『Dongguk Shinsok Samgang Haengsh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All of the published narratives in the 17th century are known to be government-published. Also, the published places of the narratives were not limited to Seoul, but varied from Jae Ryong, Soon Chang, Jae Ju, Pyeong Yang, and so on. For the government-publications, its number usually did not exceed as much as 100 copies, but some were published and distributed by the government in large figures in order to educate the mass. 『Dongguk Shinsok Samgang Haengshil-do』is such an example, which was printed into as much as 900copies and was distributed to 5 provinces. Through this, the fact that the narrative publications were nationally distributed can be recognized. Thus, because the number of printed-fully-published narratives were much more than that of the written copies, it has taken a very important role in taking lower class men and women of Kyu-bang into the reading group. In Addition, the fully-published editions were all printed into many same copies and so the content was perfectly identical, while the written copies almost had no such cases of having perfectly matching copies, whether or not the transcriber had other intentions. In other words, the publicized copies had predominance over written copies in both keeping identity of the text and securing more readers. On the other side, there are no written record found yet which shows the existence of private publication and Banggakbon, But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re were no publication made by an individual with private purpose, because there was a private publicized edition of 『Saseouhnhae(四書諺解)』 for sale in 1637. This public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Ji-Bang-Gan-Bon(地方刊本), and through its publication records, it can be considered to be sold with commercial purpose. If this 『Saseouhnhae(四書諺解)』 proves to be a Banggakbon with commercial purpose, there must have already been Banggakbon during the middle 17th century. Under such circumstances, narratives and banggakbon could possibly have been published in accordance of popularity and marketability. Accordingly, narratives such as 『Jeondeungsinhwa(剪燈新話)』, which was printed and read among the mass, maybe have already been sold for commercial purpose in early 16th century.

      • KCI등재

        한국(韓國) 한시(漢詩)의 특징(特徵)과 전개(展開)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삽입시가의 존재양상과 기능 -「주생전(周生傳)」·「위경천전(韋敬天傳)」·「운영전(雲英傳)」·「상사동기(想思洞記)」를 중심으로-

        윤세순 ( Se Soon Yun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2

        Inserted poems refer to poems inserted in novels and are found through the classical novels of Korea. Diverse forms of inserted poems can be found in Chuachi(傳奇), Mongyurok, chapter-titled, Hangul love, heroic, and Pansori novels. Inserted poems made their first appearance in biography novels including 「Ssangnyeobungi 雙女墳記」, the first biography novel between the end of Sh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Geumosinhwa 金鰲新話』and 『Gijaegiyi 企齋記異』from the former half of Chosun, and many more biography novels from the 17th century. The inserted poems performed various roles in biography novels, enhanced their lyricism, highlighted their composition, and even revealed the writers` talents and personalities, settling down 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huach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istence patterns and functions of inserted poems with four works of Chuachi from the 17th century, 「Joosaeng-jeon 周生傳」·「Wheegyeongchon-Jeon 韋敬天傳」·「Unyeong-jeon 雲英傳」·「sangsadongyi 想思洞記」. Below is a chart for the investigation: Performing such diverse functions in Chuachi from the 17th century, the inserted poems brought out the unique aesthetic nature of novel, a narrative format. Their functions were not independent, rather mingling with each other and helping themselves take a solider root in narrative. That is, inserted poems would function as a character description to present his or her psychology, as the development of an event or underplot, and means of communication to deliver his or her emotions or thoughts to others at the same time. Performing diverse roles as one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uachi, inserted poems influenced other formats of narrative later. In the latter half of Chosun, it felt natural to find inserted poems throughout the formats of narrative.

      • KCI등재

        논문 : 역사인물 오자서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인식태도

        윤세순 ( Se Soon 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문제적 역사인물 오자서를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했는지 살펴서 이들의 의식의 한 단면을 들추어 보려 하였다. 오자서는 춘추시대 초나라 출신으로서, 성품이 강직하고 문무를 겸비한 인물이었다. 젊은 시절 그의 부친이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초나라 평왕에게 죽임을 당하자, 오자서는 오나라로 망명하여 부친의 원수를 갚았다. 이 일 때문에 오자서는 복수의 화신으로 일컬어지게 된다. 반면 우매한 오나라 왕 부차에게 충간하다가 자결하라는 명을 받고 세상을 떠난 비운의 충신이기도 하다. 이처럼 왕에 대한 복수와 충성이라는 오자서의 양면성은 그에 대해 긍정과 부정이라는 양가적 평가를 내리기에 충분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오자서에 대한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인식태도를 네 부분, 즉 ① 자식으로서의 처신, ② 초나라 평왕에 대한 복수, ③ 오왕 부차에 대한 신하로서의 면모, ④ 오나라 공자 광에 대한 지원과 협력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오자서를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유교 국가였던 조선시대 사대부 지식인들이 충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엿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noblemen`s consciousness through investigating how they recognized and evaluated a historical character WuZixu. WuZixu was a politician of the State of Chu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He was incorruptible and good at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He moved for refugee to the State of Wu after his father was executed for the false charge by the King Ping and finally took his father`s revenge. Finally, he was called the symbol of revenge. On the other hand, he was also a loyal subject who used to give a good advice to the foolish king Fuchai of the State of Wu. However, he committed suicide to honestly follow the order to kill himself by the King Fuchai. Likewise, his contrastive two-sided behavior of revenge and loyalty for the king made him to have an ambivalent evaluation as both a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 In this pap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to four strata of the noblemen`s recognition of Wu Zixu as following: ① behavior as a descendent ② revenge to the King Ping ③ loyalty for the King Fuchai of the State of Wu ④ support and cooperation with royal man Chuang of the State of Wu. The research about WuZixu revealed how the noblemen recognized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in Chosun Dynasty which was a Confucianism country.

      • KCI등재

        기획주제: 중세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2) : 한문소설에 나타난 주요 동물의 문학적 형상

        윤세순 ( Se-soon Yun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조선후기 사대부 소설작가들은 국문소설 가운데서 당시 유행하고 있었던 동물우화소설의 영향을 받아 동물 소재 한문소설을 지었다. 이들이 이처럼 쉽게 동물우화소설의 영향을 받아 한문으로 동물 소재 소설을 지을 수 있었던 이유는 한문학의 전통 속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관물정신과 우언양식, 그리고 동물전과 동물설의 한문학 양식 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동물을 소재로 다룬 한문소설에는 「호질(虎叱)」·「서대주전(鼠大州傳)」·「서옥기(鼠獄記)」·「토공전(兎公傳」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들 작품에서 서사적 추동력이 있는 주요 동물만을 다루었다. 즉 「호질」의 호랑이, 「서대주전」의 늙은 쥐, 「토공전」의 토끼와 자라의 문학적 형상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호질」에서는 호랑이를 동물의 제왕으로 인정하였고, 인간이 호랑이를 두려워한다는 점을 들어 호랑이가 인간의 우위를 차지하게 하였다. 또 동물의 입장에서 인간은 배고픔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고기 덩어리에 불과하다고 여겨 인간을 동물 가운데 하나로 여기거나 동물의 먹잇감으로 취급함으로써 호랑이의 위상을 상대적으로 격상시켰다. 이로써 호랑이는 허위의식으로 가득찬 인간을 통렬히 비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되었다. 「서대주전」에서는 쥐의 생태를 잘 파악하여 이를 늙은 쥐 서대주의 모습으로 잘 형상화해 놓았다. 서대주의 만행과 뻔뻔스런 행태는 현실사회에 존재하는 파렴치한 인간을 비유한 것이다. 「토공전」에서는 토끼의 총명함보다는 어리석음에 대해 다루어 보았고, 자라의 달변가적 면모와 표리부동한 모습, 즉 표면적인 충성심과 이면의 욕망과 두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해 보았다. In late Joseon dynasty, gentry intellectuals expresse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swarm of newly published Korean novels by insisting that the novels deserve to be burned as they brought about the phenomenon of social pathology. However, in the midst of this major commotion, gentry novelists wrote Sino-Korean novels after they were influenced by animal fable novels among Korean novels which were popular at the time. The novelists were able to easily write animal-based novels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inspired by animal fables because literary styles of Gwanmul spirit, fable style, animal-Jeon, and animal tale were deeply rooted in the Chinese literature. 「Hojil 虎叱」, 「Seojdaejujeon 鼠大州傳」, 「Seookki 鼠獄記」, and 「Togo ng-Jeon 兎公傳」 are some Sino-Korean novels which storylines are based on animals and this dissertation dealt with main animals which have narrative impetus. That is, the thesis set literary form of the tiger in 「Hojil」, the old mouse in 「Seodaejujeon」, and the rabbit and the turtle in 「Togong-Jeon 토끼전」 as the targets of discussion. Moreover, the paper tried to grasp how the animals were formed within the works by internal methodology. In 「Hojil」, the tiger is acknowledged as the king of animals and at a superior position than humans since the humans have fear toward it. In addition, the tiger is raised to a higher status by merely treating humans as preys or a type of animal. With this, the tiger is authorized to bitterly criticize humans who are full of falsity. In 「Seodaejujeon」, the old mouse Seodaeju has been well formed afte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mice. Seodaeju``s barbarous acts and impudent behavior are a stark comparison to shameless humans. Generally, in the Korean version of 「Tokki-Jeon」, the rabbit``s wisdom and the turtle``s fidelity have been mentioned. However, in the 「Togong-Jeon」 which is a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Tokki- Jeon」,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rabbit``s foolishness and the turtle``s eloquence and treacherousness. The witty rabbit somehow manages to escape from the Dragon King``s Palace but displays a foolish act of heading back toward it after being deceived by the turtle``s eloquence. The turtle is an eloquent speaker who is equipped with strategies and practical ingenuity to accomplish his desire for success. Furthermore, outside he is a courageous loyalist but inside he``s full of desires and fears.

      • KCI등재

        유만주의 윤선도 시조 한역의 배경과 양상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중심으로-

        윤세순 ( Se Soon Yun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1 No.-

        본고에서는 노론계 경화사족인 유만주가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한역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개인적 배경, 그리고 한역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만주는 18세기 중후반 경화사족이 시조를 향유하던 환경 속에서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조 한역을 하나의 취향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나아가 그의 자국어문학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자연경물에 대한 관심, 탈속의 경지를 동경하던 마음은 당파와 학맥을 벗어나 남인이었던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한역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한역 양상의 외형을 살펴본 결과 네 가지 방식으로 한역하였다. ①한 편의 시조 3장을 그대로 한역한 경우 ②한 편의 시조 2장을 장단구나 제언체로 한역한 경우 ③한 편의 시조 1장을 장단구로 한역한 경우 ④두 편의 시조를 합쳐 한 편으로 한역한 경우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한역 양상을 들여다보면, 거의 장단구 형식으로 원-시조의 말을 그대로 살리는 방향 즉 시조쪽에 중심을 두었고, 비슷한 이미지의 시조작품을 결합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주로 <춘사>와 <추사>를 한역의 대상으로 삼았고 <하사>는 1편, <동사>는 전혀 한역하지 않았다. <춘사>와 <추사> 중에서도 강촌의 아름다운 봄날 풍광과 秋江에서 노니는 정취 등 세속과 멀리 떨어져 있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한가로운 전원생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시조를 한역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통해 유만주가 당파와 학맥을 과감히 탈피하여 자신의 문예취향을 소신 있게 추구한 선비였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18세기 중후반 무렵에 자유로운 문예창작의 분위기가 꿈틀대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ocial and personal background behind Yu Man-ju, a scholar of Noron family, translating <Eobusasisa漁父四時詞> and <Manheung漫興> into Chinese well as the patterns of translation into Chinese. Growing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Gyeonghwasajok京華士族enjoyed Shijo in the middle and late 18th century, Yu naturally accepted the translation of Shijo into Chinese as a taste. It was his affection for literary works in his native tongue, interest in natural matters, and yearning for the level of unworldliness that drove him into translating the Shijo works of Yun Seon-do into Chinese. The examination of the patterns in which he translated Shijo into Chinese revealed that he usually adopted four patterns, taking the direction of keeping the original words in the Shijo works intact in almost the Jangdangu pattern with a focus on Shijo. He also created new images by combining the Shijo works of similar images. He usually chose the Shijo works that depicted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of fishing villages and reflected a leisurely fishing life for translation into Chines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Yu was a scholar with his own belief, making a bold escape from the partisan and school-related bondage and pursuing his own literary taste. They also imply that there was an atmosphere for free literary creations in an emerging state in the middle and late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