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이든 정부의 에너지 전환과 러시아의 대응 전략

        윤성학,김영진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21 동북아경제연구 Vol.33 No.2

        This paper identifies how Joseph Biden’s energy policy will affect Russia in the next four years after 2021. Russia relies on oil and natural gas exports for most of its national budget, overall export revenues and GDP, which would be economically challenged if Biden’s eco-friendly energy policy lowers oil price and reduces foreign investment in Russia’s energy sector. Russia is focusing on developing LNG gas fields rather than actively accepting th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and carbon neutrality, regionally, expanding Asian markets such as China rather than Europe, and Russia’s energy giants are not actively responding to energy transformation. Moreover, Western sanctions have led Russia to increasingly rely on Chinese capital, which has accelerated cooperation between Russia and China and made the U.S. strategy difficult. The Biden administration is trying to lift some of the Russian sanctions to widen and neutralize Russia and China. To this end, the U.S. lifted sanctions on the stalled Nord stream-2 gas pipeline. If the U.S. makes concessions on sanctions against Russia,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in Northeast Asia is also expected. If Western sanctions against Russia are lifted to a certain extent,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new mega-cooperation project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Northeast Asia.

      • 흑해경제권의 부상과 한국의 진출전략

        윤성학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연구소 2014 Acta Russiana Vol.6 No.-

        Corresponding to twice the size of the Korean Peninsula, Black Sea has the world's second largest oil and gas reserves. BSEC was born about a population of over 350 million people, the annual foreign trade was $ 300 billion, and containing about 20 million ㎢ area can be regarded as a huge regional cooperation mechanism. Black Sea has a vast energy resources of the Caspian Sea in Russia and going to connect to the world energy market and the passage, EU and the United States, Russia, and constructing a variety of energy-enemy traffic. BSEC is a wealth of resources and growth potential, and connecting Europe and Asia in terms of the logistics hub that can be developed into new emerging markets. South Korea's economic cooperation in the Black Sea region countries and markets through the active promotion of trade and investment, promote common prosperity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assistance, logistics and energy plant market participation, and with the strategic BSCE need to actively promote regional cooperation.

      • KCI등재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화: 유라시아경제연합과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윤성학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2 러시아연구 Vol.32 No.1

        2022년 2월 발생한 우크라이나 전쟁은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는 송금과 무역을 러시아에 의존하는 중앙아시아 경제에 치명적이며, 과거 역사를 바탕으로 한 영토 분쟁은 카자흐스탄 등에 심각한 안보 불안을 불러일으켰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반대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중국 또한 러시아의 도발이 신장위구르 지역의 독립운동을 촉발할 것을 우려하는 가운데, 지정학적 위기로 번지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2015년부터 추진된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무역과 투자를 수십 배 증가시켰지만 동시에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는 움직임도 커졌다. 중앙아시아에서 EAEU와 일대일로는 협력과 대립이라는 모순적 요소로 가득차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은 새로운 지정학적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중앙아시아 진출 해외(외국)기업들의 사회적 공헌활동의 전략과 특징에 관한 연구

        윤성학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3 중소연구 Vol.36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중앙아시아 경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국기업들(한국기업 포함)의 CSR 전략과 특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시장이어느 정도 성숙한 카자흐스탄과 개발원조가 아직도 절실한 우즈베키스탄을 비교할 예정이며, 외국기업 가운데 한국기업을 따로 분류하여 CSR 전략과 특징을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다면적인 비교를 통해 중앙아시아 현지의 CSR 현황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중앙아시아 CSR 현황과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립 머비스(Philip Mirvis)의 CSR 이행 단계론 개념인 기본단계, 관여단계, 혁신단계, 통합단계, 변혁단계로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카자흐스탄 CSR의 경우 3-4단계인 혁신과통합단계에 있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기본과 관여단계에 있다. 중앙아시아에서 CSR은 이제 시작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기업의 경우, CSR은 본사의 글로벌 전략에 따라 지역 차원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아직 독자적인 경영 활동으로 발전하지는 못하였다. CSR 사업이 단순히 기업의 이미지 제고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전략적인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한국이나 현지 정부와의 PPP 사업도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critical appraisal of CSR strategies of foreign corporations (inc. Korean companies) in Central Asia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in Central Asia’s economic environment. A comparison will be made between a country with a relatively mature market (Kazakhstan) and one still in dire need of development aid (Uzbekistan). Korean firms will be set apart from the rest of the sample of foreign companies, for a closer analysis of their CSR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A multidimensional comparison would allow us to fully comprehend the CSR situation in Central Asia and provide a foundation upon which to set up new strategies.

      • 강관말뚝에 작용하는 부주면 마찰력 산정법

        윤성학,김동일,김명학 인제대학교 2003 仁濟論叢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말뚝 선단이 호박돌층에 지지되고 직경이 609.6mm, 길이 50.5m인 개단강관말뚝의 부주면 마찰력 계측결과와 다양한 계산공식에 의해 산정된 부주면 마찰력, 그리고 해석코드에 의해 산정된 부주면 마찰력 값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장실험으로부터 계측된 부주면 마찰력 값을 기준으로 신뢰도의 경중을 비교하였다. 부주면 마찰력 계측결과 S.L.(Slip Layer)를 전구간에 도포한 TP1에서는 141 ton, S.L.를 도포하지 않은 TP2와 P2에서는 각각 282, 186 ton, S.L.를 점토층 까지만 도포한 P1에서는 27 ton의 부주면 마찰력이 측정되었다. S.L.를 도포하지 않은 TP2와 P2는 부주면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었고 부주면 마찰력 발현양상은 압밀이 진행됨에 따라 부주면 마찰력 발현속도가 둔화되었다. 점토층까지 S.L.를 도포한 P1은 S.L.를 도포하지 않은 TP2와 P2에 비해 부주면 마찰력이 81% 저감되었고 중립점의 위치는 S.L.를 도포하지 않은 말뚝보다 더 지표면 쪽으로 이동하였다. 부주면 마찰력의 발현양상은 압밀이 진행됨에 따라 크게 둔화되었다. P1만을 고려해보면 점토층 부분만 S.L.를 도포하더라도 부주면 마찰력 저감효과는 크게 발휘되었으며 경제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지반조사를 제대로 수행하여 점토층 부분에만 S.L.를 도포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이라고 판단되었다. 계산공식에 의한 부주면 마찰력 산정결과 중에서 말뚝 타입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하중이 말뚝에 작용하며 하중이 작용하는 시점에서는 말뚝 타입으로 발생한 과잉간극수압이 완전히 소산되었다고 가정하여 계산한 유효응력법이 현장실험에 의한 결과와 비슷하였다. "PILENEG Program"에 의한 계산 결과 S.L.에 따른 부주면 마찰력의 크기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현장실험에 의해 계측된 값과 다소 큰 차이를 보였다. Negative skin friction of open-ended steel pipe pile(ø = 609.66 mm, L = 50.5 m) resulted from the in-situ test was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negative skin friction by the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α-method using undrained shear strength β-method using effective stress and λ-method using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effective stress, and program PILENEG. The results of negative skin friction measured in-situ tests showed ; the result of TP1 coated with slip layer along the entire pile : negative skin friction is 141 ton, the results of TP2 and P2 not coaled at all with slip layer along the entire pile : each of negative skin friction is 282, 186 ton, the result of Pl was coated with slip layer just to the clay layer of pile: negative skin friction is 27 ton. Among the results of the calculation by the effective stress method which was supposed that load acted on the pile after driving pile as the regular time went by and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 with generated by pile driving at load acting point of time was dispersed completely was almost similiar with the result from the in-situ t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by PILENEG program showed that the size of negative skin friction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ated pile with the slip layer and not coated. And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by PILENEG program and that of negative skin friction measured by in-situ tests.

      • 중앙아시아 플랜트시장의 특징과 한국의 참여방안: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윤성학 對外經濟政策硏究院 地域情報센터 2010 연구보고 Vol.2010 No.-

        2000년대 초반 자원가격 폭등으로 기록적인 경제성장률을 경험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석유와 가스 등 원자재 상품을 파이프라인을 통해 단순하게 수출하는 성장모델은 수익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국내산업을 육성하지도 못하고, 결과적으로 성장을 지속적으로 보장하지 못한다는 깨닫게 되었다. 원자재 자원의 단순한 해외 수출보다는 부가가치를 더 높인 석유화학류 제품 등을 만들어야겠다는 의지는 플랜트산업 발전전략으로 나타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경우 이미 1997년 ‘카자흐스탄 2030 전략’에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sustainable economic growth)’ 달성을 우선적인 추진사항으로 결정하였다. 아제르바이잔은 에너지 산업에 대한 효율성 향상을 위해 EBRD가 제시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프로그램(Sustainable Energy Programme)’을 중심으로 신규 유전 및 가스전 개발, 파이프라인 건설 및 보수를 추진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대규모 플랜트시장이 열리면서 플랜트산업의 시공과 운영에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있는 한국은 중요한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플랜트시장은 한국의 주력 시장인 중동과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무엇보다 중동 플랜트시장의 경우 투자리스크 없이 외국인 업체와의 경쟁을 통한 수주 프로젝트 성격을 띠고 있지만 중앙아시아는 아직 제대로 된 제도와 법적 장치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는 플랜트를 발주할 만한 여력도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더욱이 글로벌 금융위기는 수출 부진에 따른 중앙아시아 정부의 재정악화로 플랜트사업 추진을 연기하거나 규모를 축소하게 만들었다. 중앙아시아 시장을 노리는 중국, 일본, EU, 러시아는 자국 플랜트 기업의 중앙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대규모 차관, ODA,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한국기업이 참여할 여지를 축소시키고 있다. 최근 중국이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을 통해 이 지역의 석유와 가스를 독차지하는 상황에서 한국의 해외 자원개발전략은 커다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