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고객지향성의 차이분석

        윤성주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論集 Vol.63 No.-

        This study examined the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levels of cabin crew members employed by airlines and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demosocial characteristics (marriage status, age, rank and monthly income) of cabin crew members. A total of 305 copies (76.3% efficiency) were utilized for empirical analysis following visiting K International Airport and I International Airport, wher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cooperation and explanation. This study presented three primary findings. First, regarding subjects with married status, both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were higher than for single cabin crew members. Second, with respect to age, those in their 30s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customer-related and job characteristic stress, and those in their 40s were the highest in customer orientation. Thir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rew members within an airline, the groups with high average customer-related stress were found at the proxy-level, manager-leve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job characteristic-related stress. Therefore, the airline shall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bin crew according to demosocial characteristics, establish and implement a system to manage job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also reflect thein the recruitment of cabin crew.

      • KCI등재

        소득계층이동 및 빈곤에 대한 동태적 고찰: 재정패널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윤성주 한국재정학회 2018 재정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재정패널조사 2007∼2015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계층 및 빈곤의 이동성에 대하여 동태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소득이동성과 관련해서는 소득이행행렬 (income transition matrix)을 통해 상대적 이동성을 살펴보았다. 빈곤의 결정요인에 대한 동태적 분석에서는 Probit 모델과 CCRE(Conditionally Correlated Random Effects)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빈곤경험횟수와 관련해서는 Ordered probit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2007년 이후 소득계층의 이동성은 낮아지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빈곤의 고착화가 심화되고 있을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우리사회가 겪고 있는 중산층 붕괴, 양극화 심화, 공정․공평성 및 투명성 악화 등과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초기 및 전기의 소득수준과 빈곤여부가 현재의 소득수준과 빈곤여부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부정책의 개입과 개선의 필요성 및 정당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income mobility and poverty trend using NaSTaB(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income mobility and poverty. For the analysis, it uses income transition matrix, and develops Conditionally Correlated Random Effects model, Ordered Probit model.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income mobility comes to weakened during 2007∼2015 periods, and there is clear evidence that several factors-such as age, education, number of employee in the family, previous status, initial condition-affect current economic status. Especially, the effects of previous status and initial condition are relatively larger than others, which implie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government intervention.

      • 망중립성에 대한 규제 개관

        윤성주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4 Law & technology Vol.10 No.3

        인터넷망의 개방성과 중립성을 어느 정도까지 보장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망중립성 논의는 2000년 대 초반에 시작되었지만, 인터넷망을 통한 사업모 델들이 융합과 혁신을 통하여 눈부시게 발전할수 록 이 문제에 대한 이해관계인들간의 의견은 찬성 과 반대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모습이다. 망중 립성이라는 개념은 결국 이를 통하여 어떠한 가치 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로 접근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해결방안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Comcast판결에서 연방통신위원회의 규제권 한 존재여부의 문제로 망중립성 문제가 논의되었 으나, 최근 Verizon판결에 의하여 일단 연방통신위 원회의 규제권한 존부의 문제는 일단락이 되면서 향후에는 연방통신위원회의 규제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논의로 전개될 것이 예상된다. 유럽에서는 망 중립성에 대한 규제와 관련하여 당초 미국에 비하 여 다소 소극적인 입장에서 출발했으나, 사업자들 간의 이해관계가 점점 더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이 를 정면으로 받아들이는 입법까지도 고려되고 있 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기통신사업법과 공정 거래법의 관련규정을 통하여 망중립성이라는 규범 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입법이 정비되어 있는 상 황이며, 실제로 망중립성의 문제가 내재한 사안들 에서 방송통신위원회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권 한이 행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두 기 관의 관할충돌 및 중복규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는 상황에서 두 기관간의 조화로운 규제권한 의 집행이 필요하다. Discussions regarding the network neutrality as to what extent openness and neutrality of the internet should be guaranteed have started in the early 2000s. Recently as business models through the internet have been achieving dazzling successes through convergence and innovation, the interested parties in this matter are in a sharp conflict of opinions. It seems a practical solution to approach the concept of network neutrality is to approach this issue as a matter of values it would protect. In the U.S., the network neutrality was discussed in the Comcast case in deciding whether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has an authority to regulate the internet business. A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FCC has such authority was settled in the recent Verizon case, the focus of the discussion is now expected to shift to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FCC’s regulation. In Europe, the regulation on the network neutrality started out rather passive compared to its U.S. counterpart, but now the legislation of the regulation that deals specifically with acutely opposing interests of the related parties is being considered. In Korea, the regulations are legislated through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and the Fair Trade Act in order to protect the normative values of network neutrality, and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are practicing their authorities on matters in which the problem of network neutrality is implicit. As there can be conflicting jurisdictions and overlapping regulations between two agencies, a harmonious reinforcement of authority is required.

      • 인터넷 기반 서비스사업에 대한 경쟁법적 규제 (사례 분석)

        윤성주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3 Law & technology Vol.9 No.6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의 상용화가 활발해지면 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모델들이 개발되고, 기업의 경제활동의 상당부분이 인터넷 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추세가 더욱 심화되고 있 는 상황이다. 그런데 이 같은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 에게 경쟁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흥미로운 논의들 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쟁법적 분석의 출발점인 시 장획정과 관련하여, 가격에 근거한 대체가능성이 라는 전통적인 경쟁법적 전제가 과연 인터넷 기반 사업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 부당한 공동행 위의 경우에 인터넷 기반 사업의 특징으로 인하여 경쟁제한적인 합의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수 있는 지,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에 있어서 시장지배력 을 인정하는 근거나 남용행위의 부당성을 판단함 에 있어서 인터넷 기반 사업의 특징들이 어떻게 평가될 것인지, 기업결합에 있어서도 인터넷 기반 사 업자들 간의 결합에 대한 관련 시장에서의 경쟁제 한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전통적인 사업자들 간의 결합의 경우와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 수 있는지 등 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의 공정거래위원회도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에 대 하여 공정거래법상의 다양한 규제를 한 사례들이 축적되고, 이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받은 사례들도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음악서비스 사업자들의 부 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사건, 오픈마켓 사업자의 시 장지배적 지위 남용사건, 오픈마켓 사업자들의 기 업결합 사건 등에서 이러한 인터넷 기반 사업에 대 한 특징들이 고려되었다. 나아가 공정거래위원회 는 인터넷 기반 사업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파급력 을 고려하여 전자상거래법상 금지되는 기만적인 소비자 유인행위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매우 엄격 한 의무를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에게 부과하였다. 이는 인터넷 기반 사업에서의 소비자보호에 대하 여는 매우 엄정한 법집행을 하겠다는 의지가 반영 된 것으로 보인다. Following the vigorous commercialization of the internet in the mid-1990s, a variety of internet-based business models have emerged and there is a growing trend for a considerable portion of corporate economic activities to be performed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in applying competition law to such internet-based businesses, numerous interesting discussions arise on issues such as: (i) Whether the traditional competition law premise of substitutability based on price can be applied as it stands, in relation to the market definition,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competition law analysis; (ii) Whether, in the case of improper concerted practices, the assessment of anti-competitive agreements can be alte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based businesses; (iii) Regarding the abuse of dominant positions, how the traits of internet-based businesses can be evaluated, when judging the grounds of market dominance or the illegality of abusive practices; and (iv) Regarding business combination amongst internetbased businesses, how the bases for determining the potential to restrict competition in the relevant market may differ when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business combination by conventional businesses. There have been instances of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imposing various fair trade regulations on internet-based businesses, and the number of court rulings on the validity of such regulations is increas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based businesses have been considered in the cases of the improper concerted practices of online music service provider, in cases of the abuse of dominant positions by open-market service providers and in case of the merger between open-market service providers. Furthermore, taking into account the influence exerted by internet-based businesses on consumers, the Fair Trade Commission imposes stringent liability on internet-based businesses when assessing the fraudulent inducement of consumers: an act that is prohibited by electronic commerce act. This seems to reflect the Commission’s intention to enforce the law rigorously when it comes to consumer protection in the internet-based business industry

      • KCI등재

        항공사 이용현황 및 객실승무원의 인적서비스품질과 고객 충성도에 관한 연구

        윤성주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stomer's perception of airline's use status of airline customers and the quality of human service of airline's cabin crew, reflecting the changing times and trends, and to present a customer loyalty strateg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14 randomly selected male/female aviation custom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versions of SPSS Win 20.0 and AMOS 21.0.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actors analysis test, reliability test, validity test, t-testy,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irline's use for one year is as follows; 1) Frequency: 1 to 2 times Carriers: (45.9%) Asiana Airlines (46.1%) Rating: Economy (83.1%).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three sub-components of the airline cabin crew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sincer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loyalty (cognitive loyalty, behavioral loyalty, and emotional loyalty). That is,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airline cabin crew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customer loyalt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quality of human service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aircrew's customer loyalty and utilization plan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huma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depending on age,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It is hoped that further comprehensive studies taking into account various variables will be carried out and that practical studies will continue to be actively used as a basis for securing human service quality in the aviation industry. 본 연구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시류와 추세를 반영한 항공사 이용현황 및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인 적서비스품질에 대한 고객 인식을 확인하고 고객 충성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항공사 이용 경험이 있는 남·여 중 무작위로 추출한 414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재 방법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0,0v, AMOS 21.0 사용를 통해 분석하 였으며, 빈도분석과 신뢰도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 analysis),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항공사 이용현황은 1년간 항공 기 이용횟수는 1~2회(48.6%), 주로 이용하는 항공사는 대한항공(45.9%), 항공기 좌석 등급은 일반 석(일반석, 83.1%), 이용하는 노선은 아시아(46.1%)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하위요인 3가지(신뢰성, 전문성, 진정성)는, 고객 충성도 하위요인 3가지(인지적 충성, 행동 적 충성, 감정적 충성)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인 적서비스품질은 고객 충성도에 있어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 연령, 직업, 월 소득에 따라 인적서 비스품질과 고객 충성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항공 사 객실승무원의 인적서비스품질 활용방안과 고객 충성도에 따른 인적서비스품질을 다르게 해야 한 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포괄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희망하며, 항공 산업의 인적서비스품질 확보를 위한 전문자료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가 지속되 기를 바란다.

      • KCI등재

        농가소득 이동성과 결정요인

        윤성주,장재봉 한국농업경제학회 2022 農業經濟硏究 Vol.63 No.4

        This study examined income mobility of farm household and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the income mobility in Korea.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Farm Household Economy Survey (2003-2020), which is surveyed by Statistics Korea, and employed transition matrix and probit specification.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the income mobility of farm household in Korea had been weaken for the time periods. The probability of upward and downward income mobility had been decreased; however, the probability of staying same income quintile had been increased. In particular, the tendency of remaining same income quintile became stronger around 2013. Next, we found that many farm household-related variables have positive effects on upward income mobility, which i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ies. However, we found stronger association between public transer income and upward income mobility of farm household in the high-income quintile rather than low-income quintile. Th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government policy for farmhouse income should be targeted on the low-income farm household for improving income distribution and mobility.

      • KCI등재

        민영의료보험 보유자의 의료서비스 이용행태 분석

        윤성주 한국재정학회 2019 재정학연구 Vol.12 No.2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using Korea Health Panel from 2008 to 2014. For the empirical analysis, it employs correlated random effects model, which have not been applied in the related-previous studies, to mitigate the size of endogeneity that is challenging issue in health studies. Along with sample study, this study additionally investigates several subsample analyses considering age, income, medical consumption. Th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the expansion of coverage by National Health Service need to prioritize patients with serious diseases, old people, and low-income group. Also, it provides the need of differentiating deductible by the amount of medical service usage. 본 연구는 개인들의 민영의료보험 보유가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정책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료패널 2008〜2014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보이지 않는 개인의 이질성으로 인해 초래되는 내생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조건부 상관임의효과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표본분석과 더불어 연령, 소득, 의료서비스 이용수준 등을 고려하여 부표본을 구성․분석함으로써 정부가 계획․운용하고 있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정책과 관련한 시사점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정부가 건강보험 보장성을 확대하는 데 있어 고령층과 저소득층, 그리고 중증질환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정책적 타당성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의료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부담금 차등화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 또한 제기하고 있다.

      • KCI등재

        Relationship of Flexi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atus of Union

        윤성주,이규태 한국관광연구학회 2015 관광연구저널 Vol.29 No.4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lexibility,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hotel industry with intensifying competition. The total number of surveys distributed was 300 and 291 of them were collected. Among the collected surveys, 286 valid samples were used in analysis. The results would be provided as follows: First, excluding increase of temporary positions from 4 factors of human resources flexibility, layoffs, incentives, and enhancement of job competenc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insecurity, while layoffs and enhancement of job competen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in verifying mediating effect, incentives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only with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s opposed to not having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Lastly,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 of temporary position and job insecurity was strongly significant in the union members, whereas the relationships among layoffs, incentive and job insecurity were strongly significant in non-members. Hotel business is susceptible to change in circumstances, has clear seasonal differences, and must risk layoffs in accordance with business performance; thus, it is important to minimize its members’ psychological breach of contract and foster the environment for the members to perform their tasks voluntarily. In order to do so, hotels must present clear visions, and establish goal setting.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항공사 지적자본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형태의 조절효과

        윤성주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9

        본 연구는 항공사의 비재무적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적자본 선행요인의 확인 및 항공사 형태에 따라 이들 영향관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내 항공사와 관련하여 지적자본의 하위요인인 인적자본, 구조적자본 및 고객자본, 비재무적 성과, 항공사 형태에 해당되는 속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속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4개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총 203부의 유효 설문지가 빈도 분석,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과 Chow-test 검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 첫째, 인적자본의 역량, 창조성과 혁신성이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동기는 기각되었다. 둘째, 구조적 자본의 조직문화, 직무 효과성 및 효율성, 개성 및 개발 모두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자본의 고객만족, 고객관리체계, 고객지향성 모두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사 형태는 인적자본과 비재무적 성과 간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항공사 형태는 구조적 자본과 비재무적 성과 간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항공사 형태는 고객자본과 비재무적 성과 간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항공사의 비재무적 성과 향상을 위해 지적자본의 활용방안과 항공사 형태에 따른 지적자본의 활용이 달라져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