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학적 동등성 연구의 가설검정과 표본수 결정

        윤상준,송혜향 한국보건통계학회 2000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25 No.2

        Two different drugs or two different formulations of the same drug are called bioequivalent if they are absorbed into the blood and became available at the drug action site at about the same rate and concentration. Bioequivalence trials aim to demonstrate that two different drugs or two diferent formulations of the same drug do not differ by more than a prespecified clinically irrelevant amount. In bioequivalence studies, C_max(maximum concentration) and A∪C(area under the blood level curve) serve as the primary pharmacokinetic characteristics of absorption. We explain in this paper equivalence tests of ration hypothesi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distributions of C_max and A∪C data are log-normal or normal. We compare sample size determination of three bioequivalence tests of Schuirmann(1981, 1987), Anderson and Hauck(1983) and Sasabuchi(1980, 1988). We present more simple approach of sample size determination of Sasabuchi(1980, 1988). When the original data are log-normally distributed, sample sizes determined by Schuirmann's and Anderson and Hauck's test are similar if the difference of the two location parameters becomes small. When the original data are normally distributed, sample sizes determined by Sasabuchi's test and Schuirmann's test is smallest among all if the ratio of two population means is, respectively, less than and greater than unity. There is no sampl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paper which is based on Sasabuchi's test and Hauschke's one.

      • KCI등재후보

        항공분야 수리부속 확보를 위한 3D프린팅 활성화 방안

        윤상준,엄정호 대전대학교 안보군사연구원 2019 안보군사학연구 Vol.- No.16

        3D printing, called “layered manufacturing,” is drawing attention a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that will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3D printing, it is expected to continue to develop in the mechanical and aerospace fields. In addition, there is a lot of research in foreign countries on the utilization of 3D printing in the field of defense, along with in the field of machinery and aerospace.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field here. This paper believes that 3D printing can be the most optimized technology for solving problems of component procurement and repair and repair as the repair part of the weapons system is discontinued. Currently, the nation's 3D printing industry lags far behind that of advanced countries, but efforts continue to be made to utilize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defense sector as well. In this ligh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s, and suggested ways to activate 3D printing in our Air Force through the current state of use of 3D printing in major countries and Korea.

      • KCI등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중심 비만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윤상준,이가영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8

        Background: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chool- based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applied to adolescents in a middle school on body mass index (BMI), weight-related attitude, eating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s. Methods: A total of 664 adolescents (14.7±0.9 years old)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Busan were study subjects. The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was conducted for 6 months, from March to September, 2005. Their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their weight-related attitude, eating habit and physical activity were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at baseline and after 6 months. Their weight status was classified into under-, normal-, and overweight according to their BMI at baseline. Results: The prevalence of underweight and overweight was 6.2% and 19.3%, respectively. Among the adolescents with overweight, the BMI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months compared to the BMI at baseline (P<0.05), while the BMI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over 6 months among the under- and normal weight groups. The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become highly concerned about obesity-related problems (P=0.002)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obesity prevention program (P=0.007) after 6 months compared to those attitude at baseline. The BMI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dolescents whose eating behavior or physical activity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P<0.05). Conclusion: The 6-months program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seemed to reduce BMI in overweight adolescents and raise concern about obesity related problems and promote participation in obesity prevention program in adolescents as a whole. Further long-term intervention studies need to be implemented. 연구배경: 남자 중학교에서 시행한 비만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전후에 중학생들의 체질량지수, 비만 관련 태도, 식사습관 및 신체활동습관의 변화를 평가함으로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 중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해 보았다. 방법: 2005년 3월부터 9월까지 부산시 소재 1개 남자 중학교에서 시행한 비만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었던 남학생 664명(나이 14.7±0.9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전후에 학교에서 측정한 체중, 신장 측정치와 자가 기입한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초기 체질량지수에 따라 저체중 군, 정상 체중 군, 과체중 군으로 분류하였고, 체중 관련 태도, 식사습관, 신체활동 습관을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자 중 저 체중군은 6%, 과체중군은 19%이었다. 과체중군에서 프로그램 전후로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P<0.05) 저 체중 및 정상 체중 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프로그램 시행 6개월 후 청소년 비만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높게 인지하는 학생들의 분율이 증가하였고(P=0.002), 비만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지가 높은 학생들의 분율도 증가하였다(P=0.007). 프로그램 후 식사습관, 신체활동 습관 또는 두 습관 중 어느 하나가 개선된 청소년 군은 개선되지 않은 청소년 군에 비하여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중학교에서 6개월간 시행한 비만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은 과체중군에서 체질량지수의 감소 및 전체 학생들의 비만의 심각성에 대한 인지도와 비만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었다. 보다 장기적인 비만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Profiling of genes in healthy hGF, aging hGF, healthy hPDLF and inflammatory hPDLF by DNA microarray

        윤상준,김병옥,윤정훈,강동완,장현선,Yun, Sang-Jun,Kim, Byung-Ock,Yun, Jeong-Hun,Kang, Dong-Wan,Jang, Hyun-Seon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DNA microarray 분석법을 이용하여 건강한 사람치주인대섬유모세포, 건강한 사람치은섬유모세포, 복제노화된 사람치은섬유모세포, 염증성 사람치주인대 섬유모 세포의 유전자 발현 형태를 상호비교하고자 하였다. 환자의 동의하에 충치, 치주염이 없이 교정발치된 치아의 치주인대세포를 배양하여 건강한 치주인대섬유모세포로, 만성치주염으로 발거된 치아에서 채취하여 배양한 세포를 염증성 치주인대섬유모세포로 선정하였다. 구강에서 채취한 치은결체조직에서 배양한 사람치은섬유모세포를 일차 배양한 후 계대배양을 통해 복제 노화를 유도하였다. $-198^{\circ}C$의 액화질소에 저장되어 있던 2, 4, 8, 15, 16세대 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위의 모든 세포들은 60 mm 배양접시에서 세포들이 80-90%의 밀생이 될 때까지 5% $CO_2$, $37^{\circ}C$, 100% 습도의 배양기에서 2일 간격으로 10% FBS가 함유된 DMEM 세포 배양액을 교체하면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Trizol Reagent (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18S RNA와 28S RNA를 확인한 후 DNA microarray 분석을 실시하였다. 4배수 이상의 변화양상을 비교시 상호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건강한 사람치은섬유모세포(2세대)와 노화된 치은섬유모세포에서 가장 높은 발현변화를 나타낸 반면 DMC1 dosage suppressor of mck1 homolog, meiosis-specific homologous recombination,은 건강한 치은섬유모세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증성 치은인대섬유모세포와 건강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를 비교시, Regucalcin은 염증성 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 1도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건강한 치주인대섬유모 세포와 건강한 치은섬유모세포를 비교시, IL-11과 periostin이 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서 높은 발현을 나타낸 반면, Prostaglandin D2 synthase 21kDa과 Thioredoxin interacting protein은 치은섬유모세포에서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염증성 치주인대섬유모세포와 노화된 치은섬유모세포(15세대 이상)를 비교시 149개의 유전자가 유사한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노화, 염증, 세포 형태에 따라서 유전자 수준에서 가장 높거나 높은 수준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가 다를 수 있음을 나타낸다. 향후, 치주염 환자들에서, 노염, 염증, 세포 특이성에 관한 유전자 표시지를 이용하여 진단하거나 치료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척수압박으로 발현된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 동반된 과립구성 육종 1 례

        윤상준,김영곤,김희종,박유환,정춘해,김양수,김태균,박영진,전호종 조선대학교 부설 의학연구소 2000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5 No.1

        저자들은 척수압박으로 하지마비를 보인 환자에서 수술 후에 급성 백혈병에 동반된 과립구성 육종으로 진단된 환자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ocytic sarcoma(GS) is an uncommon tumor composed of immature cells of the granulocytic series. Most case of GS occur in the course of acute leukemia and the blast crisis of chronic leukemia, Rarely, however, it may present before leukemia becomes clinically apparent. It may also occur in patients with myeloproliferative disoders. GS has been reported that it occurs in 3% to 9% of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AML) and the incidence of GS is reported to be higher in patients with t(8;21). GS occurs relatively commonly in africa and has been reported to affect 10-25% of black children presenting with AML. This is very rare case of granulocytic sarcoma with AML(FAB M5) presented with spinal cord compression which was supported by decompression laminect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