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the chromophoric structure in alkali model lignin by <sup>13</sup>C-NMR

        윤병호,Yoon, Byung Ho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97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43 No.1

        On treatment with sodium hydroxide at $165^{\circ}$ for 1.5~3hr followed by air oxidation. vanillyl alcohol afforded colored materials. $^{13}C$-NMR spectrum of the material did not show any absorptions assigned to the carbons of chromophoric structures, but gave th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ndensation products. On the other hand, the colored material specifically labelled by $^{13}C$ at the benzylic position was prepared by alkali treatment of vanillyl alcohol-[carbinol-$^{13}C$] followed by air oxidation, and $^{13}C$-NMR spectra of the material exhibited absorptions at 101.7 and 104.6 ppm due to the carbons of a quinonemethide structure, indicating that the quinomethide unit would be one of the important types of chromophores in which benzylic carbon of vanillyl alcohol was included. 펄프화중(化中)의 리그닌의 착색구조(着色構造)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바니릴알콜을 1규정농도(規定濃度)의 가성(苛性)소다로 90~180분간(分間) 질소하(窒素下)에 처리(處理)한 후(後) 공기중(空氣中)에 8시간(時間) 산화(酸化)하여 크로마토그라피로 착색물질(着色物質)을 분리(分離)했다. 이 물질(物質)은 $^{13}C$-NMR스펙트로로는 착색구조(着色構造)에 기인(基因)하는 케미칼쉬풀트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탄소(炭素)를 $^{13}C$으로 라벨한 바니릴알콜-[카비놀-$^{13}C$]을 상기(上記)와 같은 처리(處理)로 생성(生成)된 착색물질(着色物質)은 퀴논메티드로 귀속(歸屬)시킬 수 있는 101.7과 104.6 ppm에 케미칼쉬풀카 나타나므로 ${\alpha}$탄소(炭素)에 관여(關與)하는 착색구조(着色構造)임을 확인(確認)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퇴골 원위부 골절에서 잠김 금속판 고정술과 역행성 골수정 삽입술의 결과 비교

        윤병호 ( Byung-ho Yoon ),황보권 ( Bo Kwon Hwang ),오형근 ( Hyoung-keun Oh ),주석규 ( Suk Kyu Choo ),손종민 ( Jong Min Sohn ),성열보 ( Yerl-Bo Sung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4

        목적: 원위 대퇴골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 및 잠김 금속판 고정술(LCP군) 및 역행성 골수정 삽입술(RIN군)을 시행 후 두 군 간에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 52예(LCP군 31예, RIN군 2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9.1개월이었다. 수술시간, 실혈량, 입원기간을 비교하였고, 수술 후 불유합, 부정유합, 지연유합 및 금속실패의 발생을 평가하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시간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평균 실혈량은 LCP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LCP 683.5 ml vs RIN 134.9 ml; p=0.015). 52예 중 49예에서 추가적인 수술 없이 평균 6.8개월의 기간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LCP 6.9개월 vs RIN 6.6개월; p=0.512). 3예의 불유합(LCP 2예 vs RIN 1예; p=0.065)에서 추가 수술 후 완전한 골유합을 얻었으며, 각 군에서 1예씩의 부정유합 및 표재감염이 확인되었다. 결론: 두 군 모두 높은 골유합 및 낮은 합병증을 보여, 두 술기 모두 대퇴골 원위부 골절 시 유용한 수술적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of fixation for distal femoral fracture (DFF) using a locking compression plate (LCP) or a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 (RIN).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3 to February 2020, 52 cases of DFF with a minimum 1-year follow-up (with a mean follow-up of 19.1 months) were included: 31 were treated with LCP and 21 with RIN.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and hospitalization period were compared, and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nonunion, malunion, delayed union and metal failure and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erating time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mean blood lo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CP group (LCP 683.5 ml vs RIN; 134.9 ml; p=0.015). In 49 out of 52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without additional surgery in an average of 6.8 months, and a complete union was achieved after additional surgery in three cases of nonunion (LCP 2 cases vs RIN 1 case; p=0.065). One case of malunion and superficial infection was confirmed in each group.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using LCP and RIN give good outcomes with a low complication rate and can therefore be considered useful surgical treatments for DFF.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종이 첨가제가 종이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윤병호(Byung-Ho Yoon),이명구(Myoung-Ku Lee),최경화(Kyoung-Hwa Choi)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도서관이나 문서보관소에서 책이나 서류를 보존하는데 있어 중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종이의 열화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이의 열화의 주요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몇몇의 학자들이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종이 열화의 주요 원인으로서 종이 섬유내 셀룰로오스의 산 촉매 가수분해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종이 제조시 첨가되는 첨가제로 인해 산성지의 노화율이 중성지의 노화율에 비해 더 높다. 따라서 종이내 존재하는 산을 제거해줄 필요가 있다. 종이의 탈산화 처리는 열화속도를 감소시켜 산성지의 수명을 3, 4배정도 늘릴 수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기존의 탈산화 처리방법과는 달리 대량의 책과 서류의 탈산화를 위한 효과적인 탈산화 방법의 필요성이 인식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종이 제조시 사용되는 첨가제가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종이의 노화 방지를 위해 산성지에 가스상 에탄올아민류(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를 사용하여 탈산처리를 시도하여 보았다. 첨가제가 종이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 종이의 노화율이 알럼+로진 > 알럼 > AKD > 무처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스상 에탄올아민류 탈산처리 실험결과, 탈산처리율이 모노에탄올아민 > 디에탄올아민 > 트리에탄올아민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처리 후 종이에 약간의 백색도와 내절도의 감소가 나타났다.<b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스상 에탄올아민류들을 조합 처리하여 탈산처리를 시도해 본 결과, 백색도와 내절도의 감소없이 효과적인 탈산처리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br/> One of the critical problems to preserve books and documents in libraries and archives is the deterioration. Some of previous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cause of paper deterioration was the acid-catalyzed hydrolysis of the cellulose in paper fibres and aging rate of acidic paper was faster than that of alkaline pap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acid in the paper for reducing the rate of paper deterioration. It has been reported to extend the useful life of acidic paper by three to five times. Recently, It has been recognized the need for an effective method of deacidifying large quantities of books and document. However, in the previous many reports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the effect of paper additives.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experiment about the effect of additives on paper aging and the effect of deacidification by the gaseous ethanolamines (monoehtanolamine, diethanolamine, triehtanolamine).<br/> In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 of aging was in the order of the alum+rosin > alum > AKD > control and the rate of deacidification was in the order of the monoethanolamine > diethanolamine > triethanolamine. The treatment with the gaseous ethanolamines caused decreasing of brightness and dropping of fold endurances. <br/> However, deacidification by combination treatment of the various gaseous ehtnaolamines prevented from decreasing of brightness and dropping of folding endurances.<br/> <br/> <br/>

      • KCI등재

        13C - NMR 에 의한 알카리 모델리그닌의 착색구조에 (着色構造) 관한 연구

        윤병호 ( Byung Ho Yoon ) 한국산림과학회 197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43 No.1

        On treatment with sodium hydroxide at 165° for 1.5∼3hr followed by air oxidation. vanillyl alcohol afforded colored materials. ^(19)C-NMR spectrum of the material did not show any absorptions assigned to the carbons of chromophoric structures, but gave the valuable information on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ndensation products. On the other hand, the colored material specifically labelled by ^(13)C at the benzylic position was prepared by alkali treatment of vanillyl alcohol-[carbinol-^(13)C] followed by air oxidation, and ^(13)C-NMR spectra of the material exhibited absorptions at 101.7 and 104.6 ppm due to the carbons of a quinonemethide structure, indicating that the quinomethide unit would be one of the important types of chromophores in which benzylic carbon of vanillyl alcohol was included.

      • 회전근 개 완전파열 환자에서의 나이 및 성별에 따른 견관절 동반 병소의 차이

        김재화,단진명,윤병호,김영웅,Kim, Jae-Hwa,Dan, Jin-Myoung,Yoon, Byung-Ho,Kim, Young-Woong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목적: 회전근 개 완전 파열로 관절경적 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나이와 성별에 따른 견관절 동반 병소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회전근 개 완전파열로 수술하였던 109명, 109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견관절 동반 병소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 59명, 여자 50명이었고 나이는 최소 24세에서 최고 75세로 평균 53.3세였다. 연령대에 따른 분류는 59세 이하의 환자 군과 60세 이상의 환자 군으로 임의로 분류하였고 분석 대상은 견봉 쇄골 관절염, 상부 관절와 순 병변, 상완 이두근 염의 동반 유무를 Khai-square를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견봉 쇄골 관절염은 60세 이상의 환자 군에서 59세 이하 군에 비해 높은 동반율을 보였고 상부 관절와 순 병변은 59세 이하의 환자 군, 특히 남자 환자에서 60세 이상의 환자 군에 비해 높은 동반 비율을 보였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진단 및 치료를 함에 있어 연령대에 따른 견관절 동반 병소를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젊은 남자환자에서는 상부 관절와 순 병변, 고령의 환자에서 견봉 쇄골 관절염의 동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여야겠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associated shoulder lesions on complete rotator cuff tear patients regarding ages and gend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2003 and March 2006, 109 patients (59 males, 50 females) who received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for their complete rotator cuff tear were selected and their associated shoulder lesions were analyzed. Ages were between 24 years, the youngest, and 75 years, the oldest. Groups by age were under 59 years group and over 60 years group, and associated lesions of patients to be analyzed were Acromioclavicular arthritis, SLAP(shoulder labrum anterior and posterior) lesion, and biceps tendinitis, and statistic analysis were performed by Khai-square method. Results: For acromioclavicular joint arthritis, over 60 years old group showed higher association rate compared to under 59 years young group, and for SLAP lesions, under 59 years young group showed higher association rate compared to over 60 years old group only in men. Conclus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mplete rotator cuff tear patient, associated shoulder lesions in different ages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associations of SLAP lesions in young male patients, and acromioclavicular joint arthritis in old age patients should be verifi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