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악교육과 탄력성에 관한 기초 연구

        윤문정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학술세미나 및 연수회 Vol.2016 No.-

        Resilience is the power that overcomes adversity, and person who has higher resilience has positive self-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school age children’s mental health, resilience is important and needed. Thus,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related resil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music education. Also, investigated relevance of elements of resil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bjects, and key competencies of music subjects in 2015 Korean curriculum revision.

      • KCI등재
      • KCI등재

        오르프 기악합주 프로그램과 예비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

        윤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3 음악교육공학 Vol.- No.17

        이 연구의 목적은 기악합주 프로그램이 예비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인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 29명이며, 자기효능감 검사지를 통해 양적연구 결과를, 인터뷰와 설문지를 통해 질적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인터뷰와 설문지에서는 자신감 향상과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도하는 교사의 언어적 태도는 학생들의 자신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분석과 함축적 의미를 제시하고,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ff instrumental ensemble programs on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For this study, 29 pre-service teachers majored in music education.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a survey analysis, and interviews. The result indicat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ppeared on statistical results. However, results from a survey and interviews showed improvement and interest on self-confidence and instrumental performanc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or pre-service teachers’ efficacy on instrumental performance: first, increasing the time for instrumental performance instruction; seco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erformance in various ways; third, increasing the time for personal practice in a instrumental ensemble programs.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음악과목과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윤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music subject and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24 questions were categorized in four: 1)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ing programs, 2) perceptions of work challenges, 3) perceptions of work reward, and 4) current professional needs. 78 elementary teacher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were participated and divided in three groups b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eri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not enough provided to teach music effectively in the music classrooms. The teachers answered that maintaining energy all the time in music classes and teaching with inadequate resources were most difficult works.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felt pressed when they taught instrumental class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finding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need to provide various programs including methods of music material usag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needs to strengthen programs of teaching strategies for instrumental classes. 이 연구는 음악과목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교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율적인 수업을 위한 제안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78명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27문항으로 이 중 24 문항은 크게 네 개의 범주, 1) 대학교 교과과정, 2) 업무의 난이도, 3) 음악을 가르치는 일에 대한 보람과 자부심, 4) 음악을 가르치는데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구성되었고 나머지 세 문항은 교사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적는 서술 형태로 되어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장 부족한 대학교 교과과정은 자료 활용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적절하게 제공된 프로그램은 교수방법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의 난이도에 관한 질문에는 항상 에너지와 열정을 갖고 수업에 임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음악을 가르치는 일에 대한 보람을 느낄 때는 학생들이 음악과목에 열정을 보일 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 수업에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는 가르치는 경험을 많이 쌓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자료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예비교사 교육은 기본적인 내용은 유지하되 시대의 흐름과 교육 과정의 변화에 부응하는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보충되어야 하며, 음악수업 시간에 필요한 자료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음악시간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선호도가 높은 음악을 적절히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또한, 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은 실기지도를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강화와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가 지속적인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KCI등재

        교과서 다문화 악곡의 음악 구성 요소와 다문화 요소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조사

        윤문정 한국음악교육학회 2015 음악교육연구 Vol.44 No.2

        본 연구는 3~4학년 초등 음악교과서 안에 수록된 다문화 악곡의 음악 구성 요소와 다문화요소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총 95명이 참여하였고, 14주에걸쳐 다문화 음악 학습 프로그램을 한 학기동안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의 인식을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 중에는 다문화 음악을 학습한 경험이 있는 유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무경험자가 있었는데 연구 결과, 학습 경험 유무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양쪽 그룹 모두 음악적 요소 보다는 다문화적 요소를 어렵게 인식하고 있었다. 비교적 쉽게 인식하고 있는요소는 셈여림, 빠르기, 박자 등이었고,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는 요소로는 가사에 대한 이해와발음이었다. 14주간의 다문화 음악 학습 프로그램 후에는 대부분의 요소들을 사전 보다는 쉽게인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원 양성 기관에서 다문화 음악교육 커리큘럼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에 관한 중등과정 예비 음악교사들의 인식조사

        윤문정 한국음악교육학회 2011 음악교육연구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econdary pre-service music teachers about inclusive education. Total 83 music education majors in a masters program at three graduat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gathered through a three-part questionnaire to identify music educations majors' attitude and concern for general in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music educ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more willing to include students who shy and withdrawn and whose academic achievement was I year below than others. However less agreeable to including students with communication problems and behavioral problems.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were more concern about whether sufficient resources and special teachers were provided in classes. They were less concerned about the incentives to teach inclusive classes and their own performance as a teacher.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about inclusive music education were identified: 1) inclusive music education had positively affect to both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2)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take inclusive music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personal opinions were suggested.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inclusive music education development. First, concrete and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lanning should be offered in teacher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sufficient music academic resources, materials and the teaching assistant were needed. Third, the understandings of peoples including administrators, disabled students, non-disabled students, parents with regard to inclusive education was necessary. Last, music educators and special educators should cooperate to develop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테크놀로지 관련 음악교육 연구 동향

        윤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echnologies in music education to provide implication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this, 67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0 in Korea were analyzed by year, school level, music education area,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technologies typ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research began in 2002, and studies were actively conducted in 2002, 2003, 2017, 2018. By school level,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whole without clearly mentioning school level, followed by elementary, secondary, university and kindergarten. By music education area, there were many studies in the order of 'others', 'appreciation', 'instrumental field', 'creation', 'singing', and 'theory', and there was no filed of 'daily life'. By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was the most,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complex research' ,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application method and case', 'actual status and perception', 'design and development', 'theoretical exploration', and 'others'. For the types of technology, research on 'smart education' in general, and 'web-based', 'e-learning', 'mobile learning', and 'social media', 'learning/educational contents' and 'smart classroom',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technology' followed.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research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t all school levels. Second, research related to technology for each area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studied in depth. Third, since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and new content comes out, research dealing with it must be continuously conducted. Fourth, research dealing with problems arising from the use of technology also should be conducted. Fifth, joint research in the field of music and engineering was proposed. Finally, it was required to develop and utilize technolo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본 연구는 음악교육에서 테크놀로지 관련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최근 20년간 학술지에 게재된 국내 연구 67편을 대상으로 하여 연도별, 학교급별, 음악교육영역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테크놀로지 유형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도별로는 2002년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꾸준히 연구가 수행되어왔고, 2002년, 2003년, 2017년, 2018년도에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학교급을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고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 유치원 순이었다. 음악교육영역별로는 기타, 감상, 기악, 창작, 가창, 이론 순으로 연구가 많았고, 생활화 영역은 한편도 없었다. 연구방법별로는 문헌고찰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양적연구, 복합연구, 질적연구 방법 연구가 많았다. 연구주제는 적용방법 및 사례, 실태 및 인식, 설계 및 개발, 이론적 탐색, 기타 순으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테크놀로지 유형은 스마트 교육 전반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웹기반, 이러닝, 모바일 러닝, 소셜미디어러닝/교육콘텐츠, 스마트교실 유형이 뒤를 이었고, 가장 적은 수의 유형은 4차 산업혁명 스마트기술 유형이었다. 연구 결과릍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 테크놀로지가 활용되고 있으므로, 학술 연구도 전 학교급에서 활발하게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각 음악교육영역별로 깊이 있는 테크놀로지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셋째, 테크놀로지는 계속 발전하고 새로운 유형이 나오므로 이를 다루는 연구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테크놀로지 활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음악과 공학 분야의 공동 연구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음악 예술의 특성을 고려한 테크놀로지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ASD)학습자가 포함된 음악수업 연구: IEP와 교수적합화 적용

        윤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20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학습자와 입반학습자의 통합적 음악교육을 위해 이론적인 기반을 바탕으로 IEP(개별화교육계획)와 교수적합화를 적용한 교수 방안을 고찰하였다. IEP는 장애학습자의 개별적 필요에 따라 교육계획을 수립한다는 점에서 특수교육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교수적합화는 교수학습의 다양한 요소들을 수정과 조절을 함으로써 장애학습자가 최소한의 제한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IEP 절차인 진단-목표-지원- 평가· 검토 단계를 제시하고, 각 단계에 따른 교수적합화 방법과 내용을 포함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학습자가 포함된 음악수업에 적용할 교수 모형을 설계하였고, 유의할 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Application of IEP(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inclusive music education with ASD(Autism Spectrum Disorders) on theoretical base has been studied. IEP is an important to make a plan for th disabled,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is essential to make successful inclusive classes as accommodate and modify instructional elements, methods and environments. Instructional design that applied IEP process and instructional adaption for inclusive music education class with ASD was suggested. In this instructional design, IEP process :Diagnose-Objectives-Service-Assessment&Check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methods and contents for each process was provided.

      • KCI등재

        자기효능감에 관한 음악교육 연구 동향 분석

        윤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6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and features of self-efficacy in music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y. For this study, a total of 54 articl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long with the publication year, country, research subject(particiapn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are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conducted mostly in Korea, Austrailia, the United States. Second, teachers represented the highest portion of research subjects. Third, experimental research and descriptive research were most used for research. Fourth, the research areas were classifed in three areas.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ies about self-efficacy in music educa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그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와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연구된 논문 54편을 국가별, 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 미국, 호주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은 실험적 연구와 서술적 연구가 많았다. 연구 주제는 크게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자기효능감과 음악활동과의 상관관계와 그 밖의 주제로 범주화 시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4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음악실기효능감 그리고 음악 사교육 경험이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을 논의 하는 것이 목적이다.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432명이 연구대상자였으며, 설문지를 활용하여 얻은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교수효능감과 음악실기효능감, 음악 사교육 경험은 모두 유의미하게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교수효능감, 음악실기효능감이 높고 음악 사교육 경험이 있으면 음악교수효능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일반교수효능감을 함께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예비초등교사가 초등음악교과에서 요구되는 음악실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기 수업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