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 (Teleostei; Scorpaeniformes)의 전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와 분자계통

        ( Biet Thanh Tran ),( Tu Van Nguyen ),최윤희 ( Youn Hee Choi ),김근용 ( Keun-yong Kim ),허정수 ( Jung Soo Heo ),김근식 ( Keun-sik Kim ),유정화 ( Jung-hwa Ryu ),김경미 ( Kyeong Mi Kim ),윤문근 ( Moongeun Yoon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4

        양태과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저서성 바닷물고기로써 인도태평양과 지중해의 열대 또는 온대지역의 하구역에 서식한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하여 flathead의 일종인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의 전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최초로 분석하였다. 그 총 길이는 16,641 bp이었고, 단백질암호화 유전자 13개, 리보솜 RNA 유전자 2개, 전량 RNA 유전자 22개로 구성되었다. 그 유전자의 구성과 배열은 전형적인 척추동물과 같았다. 단백질암호화 유전자 13개를 바탕으로 작성된 분자계통수에서 P. cultellatus는 같은 과에 속하는 종들과 단계통군을 형성하였고, P. indicus를 비롯하여 Platycephalus sp.로 등록된 표본들과 함께 분기하였다. 또한 DNA 바코딩 분자마커로 널리 사용되는 cox1 유전자를 바탕으로 작성된 분자계통수에서 우리의 표본은 같은 종에 속하는 표본들과 단계통군을 형성하여 그 분류학적 위치가 명확하게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분석된 P. cultellatus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는 이후 flatheads의 분류와 분자계통을 위한 중요한 기초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The family Platycephalidae is a taxonomic group of economically important demersal flathead fishes that predominantly occupy tropical or temperate estuaries and coastal environments of the Indo-Pacific oceans and the Mediterranean Sea. In this study, we for the first time analyzed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the flathead Platycephalus cultellatus Richardson, 1846 from Vietnam by Next Generation Sequencing method. Its mitogenome was 16,641 bp in total length, comprising 13 protein-coding genes (PCGs), two ribosomal RNA genes, and 22 transfer RNA genes. The gene composition and order of the mitogenome were identical to those of typical vertebrates. The phylogenetic trees were reconstructed based on the concatenated nucleotide sequence matrix of 13 PCGs and the partial sequence of a DNA barcoding marker, cox1 in order to determine its molecular phylogenetic position among the order Scorpaeniformes. The phylogenetic result revealed that P. cultellatus formed a monophyletic group with species belonging to the same family and consistently clustered with one nominal species, P. indicus, and two Platycephalus sp. specimens. Besides, the cox1 tree confirmed the taxonomic validity of our specimen by forming a monophyletic clade with its conspecific specimens. The mitogenome of P. cultellatus analyz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valuable information for further study on taxonomy and phylogeny of flatheads.

      • KCI등재

        한국 여수에서 채집된 매가오리과 (Myliobatidae) 어류 첫기록종, Mobula thurstoni

        명세훈 ( Se Hun Myoung ),송영선 ( Young Sun Song ),강충배 ( Chung-bae Kang ),최홍인 ( Hong-in Choi ),김종관 ( Jong-gwan Kim ),윤문근 ( Moongeun Yoon ),임재복 ( Jaebok Im ),한동진 ( Dong-jin Han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2

        매가오리목 매가오리과에 속하는 Mobula thurstoni 2개체 (1770~1850mm 체반폭)가 2018년 9월 전라 남도 여수시 연도 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가슴지느러미의 앞부분이 이중 굴곡이고, 등지느러미 바로 뒤 꼬리 시작부분에 가시가 없으며, 등지느러미 끝부분에는 흰색이고, 그리고 등쪽의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 Mobula kuhlii와 가장 형태적으로 유사하였지만, 가슴지느러미 앞부분에 이중 굴곡을 가지고 있다는 점 (vs. 직선이거나 약간의 굴곡을 가진다)과 등쪽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는 점 (vs. 회갈색)에서 잘 구분된다. 또한, 이종은 M. kuhlii와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영역에서 유전적 거리 0.030~0.069의 차이를 보여 구분되었다. 이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매끈꼬리쥐가오리’를 제안한다. Two specimens (1770~1850 mm disc width) of Mobula thurstoni, belonging to the family Myliobatidae, order Myliobatiformes, were first collected from the central coast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eptember 2018.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an anterior margin of disc with double curvature, a white-tipped dorsal fin, and the absence of a caudal spine. This species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Mobula kuhlii, but has an anterior margin of pectoral fins with a double curvature and the dorsal coloration is bluish black rather than white. In addition, M. thurstoni was well distinguished from M. kuhlii as determined by mitochondrial DNA 16S rRNA sequences with genetic distances ranging from 0.030 to 0.069. The Korean name ‘Mae-kkeun-kko-li-jwi-ga-o-li’ is proposed for the species M. thurston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