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각막신생혈관에 관한 연구

        윤동호 최신의학사 1970 最新醫學 Vol.13 No.3

        The effectiveness of Mitomycin S and Thio-TEPA in suppressing the coneal vascularization was studied. The method of intracorneal NaOH injection was used to produce neovascularization of the cornea. 1) There is no effectiveness in suppressing corneal neovascularization by Mitomycin S instillation. 2)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instillation of 1% Thio-TEPA in oil is effective in suppressing corneal neovascularization. 3) There is no effect in suppressing corneal neovascularization by 1:2000 Thio-TEPA solution.

      • KCI등재

        범인도피죄가 아니라 범인도피원조죄로서 필요적 공범의 새로운 유형인 ‘원조범’

        윤동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9 비교형사법연구 Vol.21 No.1

        Die Ergebnisse dieses Aufsatzes lassen sich folgendermaßen zusammenzufassen: 1. Das Verbrechen, um vor einem Kriminellen zu fliehen, gehört zur notwendigen Teilnahme. Dieses Verbrechen erfordert die Zusammenarbeit von zwei oder mehr Personen. Dieses Verbrechenist die unechte notwendige Teilnahme. Denn manchmal will ein Verbrecher fliehen, aber in seltenen Fällen will ein Verbrecher nicht fliehen. 2. Dieses Verbrechen ist das Förderungsdelikt als neuen notwendigen Teilnahme. Das Förderungsdelikt unterscheidet sich von dem Begegnungsdelikt oder Konvergenzdelikt. Das Konvergenzdelikt sollt das Parallelsdelikt aufgerufen werden. 3. Nach dem Präzedenzfall seien die allgemeinen Regelungen für die Teilnahme keinesfalls auf die straflos bleibende Person bei notwendiger Teilnahme anzuwenden. So wenn der Täter die Flucht unterstützt hat, indem er andere belehrt, sollte der Täter nicht bestraft werden. Denn das Verbrechen, um vor einem Kriminellen zu fliehen, ist das Förderungsdelikt als neuen notwendigen Teilnahme. 다수견해와 판례는 필요적 공범을 구성요건의 특성상 범죄의 실행에 둘 이상의 사람의 협력이 필요한 범죄로 보는데, 이런 필요적 공범 개념에 따르면 흔히 범인도피죄로 불리는 범인도피원조죄도 필요적 공범이다. 범인의 도피행위가 있어야만 성립할 수 있는 범죄로서, ‘범인도피와 범인도피원조’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필요적 공범을 ‘원조범’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본다. 이처럼 범인도피원조죄를 필요적 공범의 새로운 유형인 원조범으로 본다면, 예컨대 벌금형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자가 타인을 교사하여 자신의 도피에 도움을 받은 경우, 그 범인의 교사행위가 방어권의 한계를 넘어선 것이라고 판단하면 그 범인을 범인도피원조죄의 교사범으로 처벌하는 판례의 입장은 변경되어야 한다. 필요적 공범 내부자에 대해서는 형법총칙의 공범규정을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 판례의 확고한 입장인데, 이 입장과 모순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변호사법 제109조 위반죄의 해석과 정책 -법무사법 개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윤동호 한국형사정책학회 2019 刑事政策 Vol.31 No.1

        법률서비스업의 현행 법제의 체계상 변호사법과 법무사법을 비롯한 개별 전문자격사에 관한 법률은 원칙적인 일반법과 예외적인 특별법의 관계에 있다고 봐야 하고, 법률서비스 직역간 갈등을 해소하고 법무사를 비롯한 전문자격사의 업무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변호사는 법무사를 비롯한 전문자격사의 업무는 수행하지 않아야 하고, 변호사법 제109조 위반죄에 근거한 변호사의 업무 범위는 축소하는 해석을 해야 한다. 변호사법 제109조 위반죄를 넓게 해석하여 지금처럼 변호사법 제109조 위반죄와 변호사의 업무 범위에 관한 해석적 논란이 끊이지 않으면 법무사를 비롯한 전문자격사의 업무를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서는 그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하는 관련 법률의 개정이 필요하다. 특히 개인회생사건을 효율적으로 처리한 법무사를 변호사법 제109조 위반죄로 처벌한 항소심 판결에서 보듯이, 서민의 생활법률서비스 선택권 내지 사법접근권을 확실하게 보장하고, 법무사의 업무 범위에 관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실상 변호사’인 법무사의 업무 범위를 확대하고 명확히 하는 법무사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In the current legal system of the legal service industry, the Attorney-at-law Act and the law on individual professional qualifications including Certified Judicial Scriveners Act should be regarded as the relation between the principle general law and exceptional special law. In order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Attorney-at-law and Beommusa Lawyer and to ensure work of Beommusa Lawyer and other qualified professionals, Attorney-at-law should not perform the work of Beommusa Lawyer and other qualified professionals. And the scope of work of Attorney-at-law based on Article 109 of the Attorney-at-law Act should narrowly interpreted. If the interpretative controversy over the scope of the Attorneyat-law's work remains unchanged, it will be necessary to revise the relevant laws to clarify the scope of the work so as to ensure that the work of the legal professional is guarante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revise Certified Judical Scriveners Act, which enlarges and clarifies the scope of Beommusa Lawyer who is a “virtually Attorney-at-law”, as in the judgment of the court of appeal, which punishes a Beommusa Lawyer who effectively handled personal individual rehabilitation case as a violation of Article 109 of the Attorney-at-law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