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Light Curing Distance on the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s

        Ho?Sung Cho(조호성),Dong?In Yun(윤동인),Mi?Gyong Park(박미경),Jong-Hwa Kim(김종화),Hyo?Joung Seol(설효정),Hyung?Il Kim(김형일),Yong?Hoon Kwon(권용훈) 대한치과재료학회 2010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광조사기의 light?guide와 시료 사이의 거리가 복합레진의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료와 light?guide 사이의 거리를 0, 3, 6 mm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종의 복합레진 (Ceram X, Z250)을 택하였고 광원으로 3종의 광조사기를 택하였다. Optical multichannel analyzer를 이용하여 두께가 각각 1, 2, 3 mm이고 시료와 light?guide 사이의 거리가 각각 0, 3, 6 mm인 상황에서 시료를 통과하는 광량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표면과 바닥면에서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Vickers hardness tester를 이용하였다. 경도측정을 위하여 200?gf의 하중이 10초 동안 지속되도록 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시료의 중합수축을 광조사 동안과 광조사 후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 광량은 시료가 없을 경우에는 시료와 light?guide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였고 시료가 있을 경우에는 지수적으로 감소하였다. 미세경도는 시료와 light?guide 사이의 거리가 0일 때 Ceram X 에서는 표면과 바닥면의 차이가 7.5~17.7% 이었고 Z250에서는 5.6~13.3% 이었다. 또한 시료와 light?guide 사이의 거리가 6 mm일 때 Ceram X에서는 표면과 바닥면의 차이가 33.2~42.8%이었고 Z250에서는 22.9~31.7% 이었다. 중합수축은 레진시료와 광조사기에 따라서 시료와 light?guide 사이의 거리가 0일때 17.0~18.3 μm이었고 6 mm일 때 15.4~16.6 μm이었다. 중합에 의한 순수한 온도상승은 시료와 light?guide 사이의 거리가 0일 때는 4.2~5.9℃ 이었고 6 mm일 때는 6.5~8.8℃ 이었다.

      • KCI등재

        HPLC 분석법을 이용한 리중탕(理中湯)제제의 품질평가

        하우람 ( Woo-ram Ha ),박진형 ( Jin-hyung Park ),윤동인 ( Dong-in Yun ),이장천 ( Jang-cheon Lee ),김정훈 ( Jung-hoon Kim ) 대한본초학회 2016 大韓本草學會誌 Vol.31 No.3

        Objectives : Ijung-tang (IJT) is a traditional herbal formula and has been used to treat digestive diseases such as abdominal pain, vomiting, and diarrhea. IJT consists of four herbal medicines, Ginseng radix, Atractylodis rhizoma alba, Zingiberis rhizoma, and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containing various bioactive compounds. Quality assesment of IJT preparations was performed by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marker compounds. Methods : Determination of seven marker compounds in IJT preparations was quantitatively conduc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equipped with a diode-array detector. The marker compounds were separated on a reversed-phase C18 column and the analytical method was successfully validated. Chem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IJT water extracts and commercial IJT granules. Results :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fication values were in the ranges of 0.093.2.649 μg/mL and 0.283.8.027 μg/mL, respectively. Precisions were 0.30.3.87% within a day and 0.23.2.35% over three consecutive days. Recoveries of the marker compounds ranged from 87.35-107.05%,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 6.15%. Repeatabilities were < 1.20% and < 1.71% of RSD value for retention time and absolute peak area,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quantities of seven marker compounds of IJT samples varied, as were found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Conclusions : The analytical method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was precise and reliable to simultaneously determine marker compounds of IJT.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the quality assessment of IJT preparations.

      • SCOPUSKCI등재

        회분식 탈질 공정에서 외부 탄소원에 따른 탈질효과

        윤동인,이진종,김동운,이기영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8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6 No.2

        여러 가지 외부 탄소원(acetic acid, glucose, methanol, molasses)으로 활성 슬러지를 이용하여 탈질 효과를 살펴보았다. 질산성 질소와 아질산성 질소를 질소원으로 하는 혐기성 슬러지의 회분식 배양을 통해 탈질속도, COD 소비, 탈질율을 조사해 본 결과 molasses는 탈질속도나 COD 소비에서 glucose와 비슷하고 acetic acid나 methanol보다 높았으나, 탈질 효율에 있어서는 질산성질소나 아질산성 질소배지에서 30-40%가 암모니아로 축적되어 탈질 효율이 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molasses와 gluc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한 경우 발효에 의해 pH저하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탈질 효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초기 pH를 조절하고 외부 탄소원은 molasses를 이용, 탈질 효과를 조사한 결과 pH 8일 때 암모니아의 축적은 거의 없었으며 탈질 속도에 있어서도 acetic acid의 경우보다 12시간정도 빠른 24시간 안에 99% 이상 탈질 효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Respiratory denitrific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different carbon sources (acetic acid, glucose, methanol, molasses). In the culture media with glucose and molasses, COD consumption and denitrification rates were higher than with acetic acid and methanol. However, up to 30-40% of reduced nitrate and nitrite were converted to ammonium in glucose and molasses media. In the culture media with acetic acid and methanol, ammonium was not accumulated. Some of the consumed COD seemed to be used by the acid formers for the acidification in glucose and molasses media. By initial pH control of with molasses media, higher denitrification rate (up to 99%) and faster response could be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