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브리튼제도 출신 가톨릭 망명자들과 유럽 전쟁 -명예혁명(1688)에서 7년 전쟁(1756-1763) 초반까지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윤덕희 한국서양사학회 2024 西洋史論 Vol.- No.160

        본고는 16-18세기 유럽사 서술에 있어서 그동안 대체로 간과되어왔던 브리튼제도가톨릭 망명자들의 역사를 그들의 군사적 경험을 중심으로 재구성한다. 영국 종교개혁에서 1688년 명예혁명을 거쳐 18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브리튼 세 왕국의많은 가톨릭 신자들이 유럽 대륙으로 망명을 택하였고, 그중 다수는 유럽 가톨릭국가의 군대에서 복무하였다. 본고는 명예혁명에서 7년 전쟁 초반에 이르는 시기를 중심으로, 에스파냐, 프랑스, 오스트리아로 망명하여 군사 분야에서 활약한 가톨릭 망명자들의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당시 유럽 전쟁에서 이들의 역할과 그 영향을 살펴본다. 이들은 본국에서 탄압받는 가톨릭 신자라는 공통된 배경을 제외하면, 각기 매우 다양한 이유로 망명에 나섰으며 다양한 목표를 가지고 유럽 전쟁에참여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근대 초 브리튼 가톨릭 군사 망명자들은 역사상 늘 존재해온 ‘이주하는 인간’의 보편적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동시에 이들은 이후의 역사 전개에 있어서 흔히 생각되던 것보다 훨씬 많은 영향력 끼쳤다. 이러한 모든측면을 종합해 보았을 때, 근대 초기 브리튼제도 출신 가톨릭 난민들과 그들의 다양한 역사적 경험은, 그동안 많은 역사 서술에서 할애되어온 것보다 더 큰 주목을받아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 This article examines and reconstructs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early modern British Catholic immigrants and refugees who served in the armies of European Catholic states. Historical discourses have unfairly ignored British Catholic refuges, who dominate with a heavy emphasis on Protestant refugees, most notably the French Huguenots. This article aims to recover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atholic refugees by demonstrating that their participation in European warfare left a profound impact on the course of European history. It focuses on the English Catholics who served in the Spanish army from the 16th to 17th century in the ‘English Tercio’, the Irish Brigade in the French military well known as the ‘Wild Geese’, and finally the career of Maximilian von Browne who achieved a prominent position in Habsburg Austrian army. The ‘English Tercio’ in the Spanish military played a pioneering role for many British Catholics who served foreign Catholic monarchs and was highly valued by the Spanish kings for its bravery. The Irish Brigade form ed a particular assault unit of the French arm y until the coming of the French Revolution,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o many of France’s wars. Likewise, the military career of von Browne, who became one of the most celebrated soldiers ever serving the Habsburg monarchy, profoundly impacted the course of European military history. In addition to their military significance, this article examines the diverse motives these various groups and individuals had for immigration and their different experiences in their adopted countries. All of these suggested that that these Catholic immigrants are worthy of further in-depth study and discussion despite the scant attention they have receiv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잉글랜드군 전술 교리의 재검토: 스튜어트 시대 잉글랜드는 군사적으로 낙후되었는가

        윤덕희 영국사학회 2022 영국연구 Vol.47 No.-

        War was a central concern for the early-modern state, and seventeenth-century England was no exception. Regular conflict, combined with the growth of literary community, stimulated a boom of publication of numerous books and treatises related to military affairs. However, this phenomenon has often been interpreted in a negative light, with a number of historians arguing that English writings on war were either based on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authority of ancient Greek and Roman authors, or on anachronistic ‘chivalric revival’. This, according to such an interpretation, resulted in the alienation of England from the Continental development and thus made England a military backwater isolated from the European ‘Military Revolution’. This paper will suggest that the intellectual milieu of early-modern England concerning warfare was far more vibrant than it has often been portrayed. Many English military writings offered a cautious but critical approach towards ancient and contemporaneous European military authorities, far from uncritical acceptance of them. While many English writers were open to their influences, they applied such influences to the existing military tradition of England in a gradual and eclectic manner. In this sense, England was very much a part of contemporary European-wide military culture. 16-17세기 유럽에 전쟁이 격화되면서 각국에서 전쟁과 군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잉글랜드에서도 이 시기에 많은 군사서적들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관점에서 이 시기 잉글랜드의 군사 서적들과 거기에서 드러나는 군사 사상은 복고적이었으며 유럽 대륙에서 일어나던 ‘군사 혁명’과 유리되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복고주의가 잉글랜드의 군사와 기술 발전을 가로막았으며, 이러한 장애는 17세기 말, 명예혁명을 전후해서 유럽 대륙의 선진 사상이 본격적으로 유입됨으로서야 해소될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본고는 17세기 잉글랜드에서 출간되었으며 널리 읽힌 군사 서적들을 검토함으로서 이러한 기존 주장을 반박하고자 한다. 당시 잉글랜드에서 가장 널리 읽힌 군사 서적들이 취한 태도는 복고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 이 책들의 저자들은 대부분 유럽 대륙에서 풍부한 실전 경험을 쌓은 군인들이었으며, 당시 전쟁의 급변하는 현실을 잘 알고 있었다. 이들은 잉글랜드의 전략적, 전술적 현실에 맞추어 새로운 이론과 과거의 교훈을 조화시키고자 하였으며, 그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잉글랜드는 당시 유럽 군사문화의 확고한 일원이었다.

      • KCI등재

        동유럽의 복지국가 개혁에 관한 연구

        윤덕희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2

        In east european countries, welfare state reforms has been conducted around the external dynamics of globalization and europeanization as well as in the pressure of internal social relations. The reform of soviet type of 'social state' which aims for combating serious financial crisis has been carried in many countries by the 'left' which came to power in the mid-1990s. East European welfare state reforms discussed in this article have the features as follows:First, the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personal income and Social Security benefits allowed the renewal of active citizenship of east european people and the change of the soviet type of society. Second, despite the reform process was largely unclear and further 'undemocratic,' east european new welfare system reflets the broad social consensus.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reforms represents the balance between the national interest groups and the transnational community representatives ('epistemic community). Third, despite the restrictions and influences from globalization and europeanization in most countries, reforms took place within the traditions of each country, and universal guarantee of communist era was largely maintained. Fourth, as result any particular model did not play a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 of a new system, In most countries, the continuity of social policy coupled with important renovation made a wide variety of types of welfare system. However, it does not mean the creation of the 'East European model.' In Eastern Europe existing models of welfare system have now richer variants. 동유럽 국가들의 복지국가 개혁은 세계화와 유럽화라는 외부적 역동성과 각국 내부의 사회적 관계라는 두 개의 큰 압력 속에서 진행되었다. 심각한 재정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소련식 복지국가의 개혁은 많은 나라에서 1990년대 중반 집권한 ‘좌파’정권에 의해 추진되었다. 이 글에서 논의된 동유럽 복지국가 개혁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소득과 사회보장 급여 사이에 부재했던 연관성이 수립됨으로써 능동적 시민의 복원을 통한 소련식 체제의 전환이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동유럽의 개혁은 그 채택과정이 대체로 불분명하고 나아가‘비민주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폭넓은 사회적 합의의 기반위에 수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개혁의 결과는 구 시대의 균형을 대표하는 이익 그룹들과 국가행정기관 대표들과 연결되어 있는 초국가적인 공동체(인식공동체)들 간의 갈등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세계화와 유럽화의 영향과 제약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나라에서 개혁들이 각 국가의 전통 내에서 이루어졌으며 구 시대의 보편적 보장을 대체로 유지하였다. 또한 개혁과정에서 국제기구과 EU를 매개로 가해진 강제조건들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각 국가의 고유한 체제전환 경로가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이것이 국가들 간 정책의 다양성을 가져왔다. 넷째, 따라서 새로운 체제의 형성에 어떤 특정한 모델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회정책의 연속성과 중요한 혁신이 결합하여 매우 다양한 복지체제 유형들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는‘동유럽 식 모델’의 수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으며 기존의 다양한 모델들이 더 풍부한 변형을 갖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체코의 ‘경영주의 포퓰리즘(Managerial populism)’ 연구

        윤덕희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1

        This article analyzes the populist politics of Babiš and ANO in the Czech Republic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erial populism.’ And this article examines how it is acting as a risk factor for Czech democracy. ‘Managerial populism’ is an ideology that suggests governance based on the rationality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At the same time, it is a populist political strategy that appeals for popular support by combining the rhetoric of the people (‘ordinary people’) and the rhetoric of business expertise. Babiš' managerial populism functions as a political strategy that deprives the traditional left-right political parties, political opponents, and civil society of their legitimacy. And it is used as a means of ignoring the democratic political process and democratic representation. Babiš' populist politics demands people to immerse themselves in everyday life and promotes political indifference and apathy. Furthermore, it is used to avoid corruption charges and to suppress civil resistance. Thus, Babiš' managerial populism is actually working in the direction of regressing Czech democracy. 이 글은 체코에서 급부상한 바비스와 ANO의 포퓰리스트 정치를 ‘경영주의 포퓰리즘(managerial populism)’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경영주의 포퓰리즘’은 경영의 합리성과 효율성에 의거한 통치를 제시하는 이데올로기이다. 동시에 인민(‘보통사람들’) 레토릭과 비지니스적 전문성 레토릭을 결합하여 대중적 지지를 호소하는 포퓰리즘 정치전략이다. 이 글의 목적은 체코의 신생 민주주의에서 ‘경영주의 포퓰리즘’이 언제, 왜 나타났는지, 어떤 이데올로기와 전략으로 정치적 성공을 이룰 수 있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체코의 민주주의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체코 포퓰리즘은 1989년 이전 공산정권에 의해 완성된 정치기술의 유산이다. 또한 세계화적 통합의 역동성에 의해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정당성이 훼손되었을 때 급부상하게 되었다. 바비스의 경영주의 포퓰리즘은 전통적인 좌-우 정당들과 자신의 정적들, 그리고 시민사회의 정당성을 빼앗는 정치전략으로 기능한다, 또한 민주적 정치과정과 민주적 대표성을 외면하는 수단으로 사용됨으로써 대의민주주의 정치모델을 공허한 것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포퓰리즘 정치는 국민들에게 일상의 삶에 몰두할 것을 요구하고 정치적 무관심과 냉담을 조장한다. 나아가 자신의 부패혐의를 피하고 시민적 저항을 억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바비스의 포퓰리즘 정치는 실제로 체코의 민주주의를 퇴보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