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NN과 HoG Feature를 이용한 도로 소실점 검출 방법

        윤대은,최형일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소실점이란 실제 공간의 평행한 선들이 영상 내에 투영되면서 한곳에 모이는 점으로, 도로 공간에서의 소실점은 매우 중요한 공간정보이다. 도로 공간에서의 소실점을 이용해 추출된 차선의 위치를 개선하거나, 깊이지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의 시점을 기준으로 도로를 촬영한 영상을 Deep Neural Network(DNN)과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HoG) Feature를 이용한 소실점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는 영상을 블록별로 나눠서 주요 에지 방향을 추출하는 HoG Feature 추출 단계와 DNN 학습 단계, 그리고 Test 단계로 나뉜다. 학습단계에서는 자동차 시점으로 기준으로 도로 영상 2300장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그리고 Test 단계에서는 Normalized Euclidean Distance(NormDist) 방법을 사용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측정한다. A vanishing point is a point on an image to which parallel lines projected from a real space gather. A vanishing point in a road space provides important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osition of an extracted lane or generate a depth map image using a vanishing point in the road 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detecting vanishing points on images taken from a vehicle’s point of view using Deep Neural Network (DNN) and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oG). The proposed algorithm is divided into a HoG feature extraction step, in which the edge direction is extracted by dividing an image into blocks, a DNN learning step, and a test step. In the learning stage, learning is performed using 2,300 road images taken from a vehicle’s point of views. In the test phas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using the Normalized Euclidean Distance (NormDist) method is measured.

      • KCI등재

        영지버섯의 화학적 계통분류를 위한 HPLC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윤대은,박영진,권오철,남재영,김홍일,유영복,공원식,이창수 한국버섯학회 2013 한국버섯학회지 Vol.11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ptimize the conditions for a chemotaxonomic classification of Ganoderma species. The mycelia of Ganoderma species were extracted with 100%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s were further purified and partitioned with column chromatography (HP20) and n-BuOH, respectively. From the result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constituents of the samples were efficiently separated with a Chemco Pak C18 column (250 mmX4.6 mm) by linear gradient elution using water and acetonitrile as mobile phase components at a flow rate of 0.8 ml/min and detector wavelength at 210 nm. However, the samples without purification or partition were not detected the characteristic peaks. This profile could be used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various Ganoderma species.

      • 버섯의 분비단백질과 Laccase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 사과박 추출물의 처리 효과

        윤대은,손은숙,권오철,한우리자랑,박영진,이창수 한국버섯학회 2011 버섯 Vol.15 No.2

        리그닌은 페닐프로판을 기본단위로 하여 구성된 방향족 거대분자로서 탄소-탄소 그리고 에테르 결합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며 3차원적인 그물모양의 구조로 일정한 규칙성이 없고 난분해성이다. 리그닌 분해대사에 관여하는 미생물 중 특히 담자균류 중 백색부후균이 리그닌 분해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색부후균은 리그닌은 잘 분해하지만 그 분해정도는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 농도, 보조기질의 첨가 그리고 배지조성의 성분 및 pH 등이 리그닌 분해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Laccase는 리그닌 분해효소 중 하나로서 대부분 균류와 고등식물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페놀 화합물에 대해 반응을 하기 때문에 laccase mediator system의 잠재력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사과박에는 이러한 페놀 화합물이 다량으로 함유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박 추출물 처리에 의한 버섯 균사체의 laccase 유전자 발현변화와 단백질 성분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T-PCR을 통해 유전자 발현의 분석 결과 일반배지에 비해 2배 정도 높았다. 또한 1DE와 2DE로 분비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사과박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단백질의 양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DE를 통하여 사과박 첨가 유무에 따라 분비단백질의 발현 양상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 사과박 추출물은 버섯 균사체의 laccase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며 분비단백질의 발현 양상에 큰 변화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영지버섯 균사체의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기반 대사체 프로파일링

        윤대은,권오철,남재영,김홍일,박영진,유영복,이창수 한국버섯학회 2013 버섯 Vol.17 No.1

        영지버섯의 유용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주로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분리·동정되었 으며, 이로 인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영지버섯의 자실체를 대상으로 그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버섯의 균사체에서도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는 물질이 분리·동정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버섯의 균사체를 대상으로 하는 생화학적 분석방법의 표준화 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균사체는 자실체와 달리 배양기간이 짧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효율적인 분 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버섯의 균사체는 고분자인 다당류의 함량이 자실체보다 많아 역상 (Reverse phase) 컬럼을 주로 이용하는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의 화학적 분석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이 어려웠던 균사체 세포 내의 대 사물질 프로파일을 확보하기 위해 부탄올을 이용한 용매 계통 분획으로 고분자 다당류를 제 거하고, HPLC 이동상의 선형 구배 (Linear gradient) 조건을 확립하여 저분자 물질들에 대한 분석 결과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버섯 균사체에 대한 대사체 분석 기술의 기반 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영지버섯 균주별 균사체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능 비교 분석

        박영진,남재영,윤대은,권오철,김홍일,유영복,공원식,이창수 한국버섯학회 2013 한국버섯학회지 Vol.11 No.2

        This study wascarried out to compare the medicinal effects of various Ganoderma species mycelial extracts. Among 6 Ganoderma species mycelial extracts by using 100% MeOH, G. species ASI-7150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 In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hexosaminidase release inhibition assay, the treatment of G. lucidum ATCC64251 (Taiwan) mycelia extracts most effectively inhibited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and -hexosaminidase release. In addition, the treatment of all 6 Ganoderma species mycelial extracts were not affect on RAW264.7 cell viability. Although this preliminary research has thrown up many questions in need of further investigation, it will serve as a base for further studies of medicinal effects of various Ganoderma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