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생아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및 예후에 관한 고찰

        박수진,윤기태,김원덕,이상길,Park, Su-Jin,Yun, Ki-Tae,Kim, Won-Duck,Lee, Sang-Gee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신생아 폐출혈은 드물긴 하나, 일단 발생한 환아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급성 좌심실 부전, 호흡 곤란 증후군, 동맥관 개존증, 패혈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출생 체중에 따라 신생아의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인자를 규명하고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117명을 대상으로 출생 체중에 따라 두 군으로 구분하였다. 폐출혈의 정의는 임상적인 정의를 적용하였고, 각 군에서 폐출혈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고자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총 117례 중 폐출혈은 39례(33.3%)에서 발생하였으며, 출생 체중에 따라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환아 총 48례 중 17례(35.4%)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산전 산모의 스테로이드 치료 여부는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 환아 총 69례 중 22례(31.9%)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는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25). 저혈압, 산혈증,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다변수 분석에서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OR=0.203, 95% CI=0.044-0.934),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OR=5.992, 95% CI=1.145-31.351)와 산혈증(OR=4.434, 95% CI=1.279-15.376)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결 론: 출생 체중이 적은 군에서 비교적 폐출혈이 늦게 발생하나, 일단 발생하면 사망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와 산혈증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Purpose : Although neonatal pulmonary hemorrhage is rare, it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We ai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ulmonary hemorrhage in preterm infants and to describe the clinical course, including neonatal morbidity, of infants who developed pulmonary hemorrhage.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f 117 newborn infants aged less than 37 gestational week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Daegu Fatima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8. Control group infants without pulmonary hemorrhage were matched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birth weight range (${\leq}100g$). Pulmonary hemorrhage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hemorrhagic fluid in the trachea and severe respiratory decompensation. Results : Pulmonary hemorrhage occurred in 17 cas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 birth weight < 1,500 g; median age, 3 days) and 22 case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LBW; $1,500g{\leq}$ birth weight < 2,500 g; median age, 1 day). Antenatal maternal glucocorticoid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idence of pulmonary hemorrhage in VLBW infants. Low APGAR score (${\leq}3$ at 1 min) and acidosis at birth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 incidence of pulmonary hemorrhage in LBW infants. Conclusion : Antecedent factors and timing of pulmonary hemorrhage of LBW infa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VLBW infants. The mortality rates of VLBW and LBW infants were 88.2% and 45.5%, respectively. Pulmonary hemorrhage was the principal cause of death in 66.6% VLBW infants and 40.0% LBW infants.

      • 학동전기 천식환자에서 혈청 총 IgE와 항원감작 및 기관지과민성과의 관계

        전재성 ( Jae Sung Jun ),윤기태 ( Ki Tae Yun ),강임주 ( Im Ju Kang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3

        서론: 천식환자에서 IgE의 증가는 폐기능 및 기관지과민성과 관련이 있고 특히 항원 감작정도가 IgE의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저자들은 학동전기 소아 천식환자에서 혈청 IgE의 증가와 항원감작 및 기관지과민성과의 관계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최근 3년간 대구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방문한 4-6세 사이의 천식 환자 중 알레르기 검사와 함께 메타콜린 흡입 후 흉부청진 즉, Provocative concentration at wheezing (PCw) 및 산소포화도 측정 Provocative concentration at 5% fall of oxygen saturation (PCsat)을 이용한 기관지과민성 검사가 가능했던 환아 109명을 혈청 IgE가 120 IU/mL 미만인 IgE 비증가군 (38명), 120-1,000 IU/mL인 중등도증가군과(45명), 1,000 IU/mL 이상의 고증가군 (26명)으로 분류하여 IgE와 천식병력, 항원 감작, 천식의 중증도 및 기관지과민성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가족의 천식병력, 영아기의 모유수유, 집안의 애완동물, 간접흡연이 IgE의 증가와 관련이 없었으나(P>0.050, P=0.631, P=0.066, P=0.056), 아토피피부염의 동반과 함께 혈중 호산구 및 ECP의 증가는 IgE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P=0.003, P=0.000, P=0.011) 천식의 중증도와 함께 기관지 과민성의 증가는 IgE의 증가와 관련이 없었으나, 음식항원, 흡입항원, 음식 및 흡입항원 동시 감작의 빈도는 IgE 증가시 감작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0, P=0.000, P=0.000) IgE 고증가군의 위험요인으로 450/mm3 이상의 혈중 호산구, 아토피피부염의 동반, 음식항원 감작, 흡입항원 감작의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가 각각 3.2 (1.2-9.2), 4.4 (1.7-11.2), 4.8 (1.7-13.2), 5.5 (1.2-24.9)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결론: 학동전기 소아천식환자에서 IgE의 중등도 증가는 항원감작과 및 기관지과민성과 상당한 관련이 있으나, 고증가군은 항원감작과 함께 다른 요인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IgE level and allergic sensitization/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HR) in preschool children with asthma. Methods: One hundred nine asthmatic children age 4-6 years were enrolled. Total serum IgE levels, and specific IgE level to food and inhalant allergens were tested using Pharmacia Auto CAP system RAST(R)FEIA, methacholine bronchial challenge test (PCw=Provocative concentration at wheezing. PCsat=Provocative concentration at 5% fall of oxygen saturation) were performed in all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serum IgE level:less than 120 IU/mL (group A, n=38), 120 to 1,000 IU/mL (group B, n=45), and greater than 1,000 IU/mL (group C, n=26). The relationships with allergic sensitization and BHR were evaluatied among the 3 groups. Results: Sensitization to foods and inhalant allergens were related to a higher total serum IgE levels. However, BHR and severity of asthma were not related to higher total serum IgE levels, except in group B. Presence of atopic dermatitis, high serum eosinophil (>450/mm3), allergic sensitization to foods and inhalants were related to high serum IgE greater than 1,000 IU/mL.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4.4;1.7-11.2, 3.2;1.2-9.2, 4.8;1.7-13.2, 5.5;1.2-24.9) Conclusion: Moderately elevated total serum IgE was related to allergic sensitization, severity of asthma and BHR. However highly elevated total serum IgE was related to only allergic sensitization. This may be attributed to other factors in preschool children with asthm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260-27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