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尹基漢 충남대학교 미국학연구소 1985 美國學論文集 Vol.6 No.-
미국의 1820년대에 있어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진 성공적 작가들은 모두가 유능한 신화창조자들(Professional Mythopoets)이었다. Washington Irving과 같은 작가는 그 자신이 국가적 성장과정에 태어난 사실에 상용할만큼 미국적인 신화를 극화하여 국민문학의 주제를 마련하고 “유머의 신화”를 찾아냈다. 그는 Hudson Valley 에 출몰하는 조상의 유령들과 흥을 돋구는 악마들을 미국국민들에게 차분히 제시하면서 초자연의 민담을 창조하였으며 유럽문학으로부터 선택차용한 작품소재를 미국적인 예술품으로 개조하는 재능을 보여 주기도 하였다. 그런가 하면 James Fenimore Cooper 는 우아한 문체와 치밀한 작품구조능력은 없었으나 쇠퇴해가는 미국의 개척정신을 일깨우면서 사냥꾼을 국민적 영웅으로 승화시키는 신화를 만들어 냈다. 또한 19세기가 끝나기전까지 많은 작가들이 원형적 인물들을 작품속에 등장시키면서 미국적 신화의 창조에 그들의 노력을 기울였다. 예컨대 Nathaniel Hawthorne은 식민지시대의 역사적 기록을 민담으로 바꾸어 놓았으며 Henry Wodsworth Longfellow 는 감상적이거나 도덕적인 시보다도 오히려 신화적 요소가 많은 시를 써서 오늘날까지도 미국의 국민적 시인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尹基漢 충남대학교 1980 언어·문학연구 Vol.- No.2
Henry James는 F. R. Leavis에 의하여 영소설의 위대한 전통수립자로 예우를 받았다. John Donne 이래 Gerald Msnley Hopkins와 T.S. Eliot 이외에 시인이 없고 Jane Austen, George Eliot, 그리고 Joseph Conrad 이외에 읽을만한 가치가 있는 소설가가 없다는 Leavis의 The Great Tradition에 James는 화려하게 그 이름을 과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로부터 중기에 이르기까지 이상의 문화를 찾아 열의가 지극했던 moralist로서의 James가 드디어는 자신이 추구하던 이상으로부터 추락하여 탐미적 세계인 amoral의 세계로 도피하였기 때문에 Now it is certainly true that James's development was towards over-subtlety, and that with this development we must associate a loss of sureness in his moral touch. 라고 Leavis는 James의 문학적 기교가 근본적인 생명감을 상실하고 허장성세하는 난삽과 장식속으로 함몰되면서 도덕적 위용을 퇴색시켰다고 비판한다. 또한 반 James 집단의 현대적 기수라고 할 Maxwell Geismar는 James가 언제나 자기자신의 약점과 실패를 합리화하고자 고심한 “a supreme example of the Rationalizing Ego (in non-, or pre-Freudian terminology)"로서 James에게 도덕정신이 결여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Geismar는 문학예술이라는 제국의 황제인 James가 미국의 학계를 지배하고 있으며 완전한 학구파의 소설가이지만 오늘의 신진소설작가들이 잘 알고 있듯이 도덕적 외의가 완전히 벗겨진 나체의 황제라고 공박한다. 그러나 Max Beerbohm은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그는 James가 명예와 선을 존중하였으며 인생을 섣불리 판정하려고 시도하지 않고 다만 인생을 성실하게 묘사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오히려 강렬한 도덕의식의 발현을 훌륭하게 성취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브룩스미스 : 예술가의 사회성 우화 A Fable of an Artist-Butler's Society
윤기한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人文科學論文集 Vol.34 No.-
Brooksmith, a highly sensitive butler, in spite of being the servant class, is the most intimate friend of Mr. Offord, his employer, a retired diplomat. Offord granted Brooksmith many opportunities to join in his witty table-talk. Brooksmith thus entered into an intellectual circle. With the death of his employer, however, Brooksmith realised that there would be no substitute for his old life, and that it was difficult for him to even find a new position. Though he returned to work as an extra waiter, his sensitive intelligene was frustrated. Because there was no proper material in his surrounding, he at length lost his ability to secure a proper position and to function in life. Moreover, he could not overcome his life-style change and personal humiliations. He was not even granted the right to defend himself. He was inevitably sacrificed by the class-bound society. This story is Jams's fable of the tragic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his/her society.
尹基漢 檀國大學校英美文化硏究所 1983 英美文化 Vol.2 No.-
Henry James was one of the major fictional innovators. The "point of view" technique in fictional works originated from his novels. But beyond this, the question of style was fascinating to him. In fact, however, james did not write much about his own style and exhibited great interest in the styles of his fellow novelists. His commentaries on the styles of other novelists can be expected of offer keen insight into his own concepts of style. James must have been believ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nt and style, the inseparability of substance and language. Jame's readers have often come to find his style in his major phase a kind of labyrinth with its loopings and windings into the thickest of meaning. But an attack on his ornate and lengthy style is not likely, because James had a rather sophisticated view of language in which hitried to allow the flow of speech to indicate the impressions gathered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James's belief in the importance of style has fostered the internal analysis technique through periodic sentences rather than loose sentences rather than loose sentences. This device is the legacy of his style that many critics have ignored. Accordingly, Janes's style sets our minds in motion by presenting us with statements of the character's thoughts and causes us to experience a mind thinking. Most of all, James enables us to look at things as they are, so that his frequent use of figurative language is condidered to be his instinctive tendency toward extravagance. But this led him to a achievie a pictorial and personal style. Furthermore, his stylistic feature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tream of consciousness" novels.
尹基漢 충남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1976 寶雲 - 충남대학교 Vol.- No.6
그 책의 보존가치를 유일한 만족으로 받아 들인다. 학구적인 비평가라면 자기의 연구와 비평의 대상을 앞에 놓고 군악대의 대장처럼 요란스럽게 행진하고 싶은 충동을 극복하리라. 그래야만 비로소 참다운 의미의 비평이 실현될 테니까. 사람은 누구나 문학을 즐기고 싶어하고 또 즐길 수 있으리라. 그것을 경험하여 자기 것으로 만들려 하다. 그러나 애를 쓴다해서 누구나 문학을 마음껏 소화하지 못한다. 연구자와 비평가는 무엇을 어떻게 먹을 수 있는가를 조심스러이 마련해서 가지런히 해두는 작업에 공동기획과 합동작업에 임해야 한다. 비평가는 모든 것을 얻고서도 자기 자신을 상실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도 문학연구에 골똘한 학자로부터 학구적 수련과 인간적 수양을 배울만하다.
大學의 生活指導와 對 學生奉仕 一例 : 美國 IDAHO州立 大學校의 境遇
尹基漢 충남대학교 1976 學生生活硏究 Vol.4 No.-
대학은 실질적으로 성인권의 교육속성을 갖는다. 대학생의 생활지도는 그렇기 때문에 정형적 율조속에 수행되기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포용한다. 고등교육이라는 범주와 함께 대학생들의 구성인자가 갖는 다양성과 이질성은 학생들의 정신연령과 실제연령의 수렴작용만큼이나 복작하다. 그들의 생활양태와 사고영역 또한 대학이 갖는 교육적, 학문적 특성만큼이나 그 판도가 다중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대학에 있어서 학생들의 생활지도라는 개념정립은 지난한 일이 되고 만다. 더욱이 국가적 상항과 사회적 변화, 그리고 시대적 요청과 대학의 사명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생활지도는 학문이전의 인간조형과 인격완성이라는 중대한 의의를 가지게 된다. 학문의 전당이라는 전통적 의미에서 오늘의 대학이 좌정하지 않고 고립된 상아탑의 은자적 수행에서 환속하는 현대적인 일반대학의 공통목표를 사회와의 연계속에 찾는다면 생활지도는 곧 일반사회생활과 직결된 흡사 인간사회구조학적 카르텔이다. 그래서 생활지도는 획일적, 포괄적, 형식적, 지시적 방법을 단호히 배제한다. 개체적, 특성적, 실제적, 선도적 과정이 분명히 요청된다. 그러기 위해서 인간이라는 초보적이고 근본적인 차원에서 생활지도가 출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바람직하다. 그것은 대학이 학생들의 생활자체를 이해하는 작업을 선행시키면서 그들의 생활자체를 위한 물질적 및 정신적 양면의 과감한 투자에 관대해야만 한다는 말이 된다. 학생들의 생활여건이 충실할 대 생활지도는 민주적 성공을 이룩할 수 있고 생활안정이 달성됨으로써 면학의욕은 활화산의 분화구처럼 강력한 분출을 중단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에게는 이러한 생활지도의 소망스러운 개선방안을 충분히 이해해 왔고 또한 꾸준히 제시해왔다. 현실적 적용은 언제나 갈등의 와중으로 빠져드는 어려움이 있으면서도 우리는 지혜로운 극복으로 생활지도의 본질을 점진적으로나마 실체화 하고 있다. 이러한 다행스러운 현실에서 그러나 생활지도의 기초로써 외국의 대학이 갖는 학생생활여건과 복지 시설 등 학생을 위한 봉사현황을 개관해 본다는 것은 우리의 보다 충실한 생활지도를 위한 하나의 보족적 예시가 될 것이다.
윤기한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人文科學論文集 Vol.42·43 No.-
미국 초기의 4 대 작가는 단편소설의 영역을 확정하고 그 범주를 확대하면서 각기 다양한 주제와 형식과 인물을 설정했다. 동시에 단편소설의 속성을 정의하고 그 특정을 작품에 투사함에 있어서 천재적이었다. 포는 추론적natiocinative이고 호손은 원죄적guilty이며 멜빌은 잔인한cannibalistic, 그리고 제임스는 도덕적moralistic인 인간의 실체를 다양하게 취급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자기들이 창작한 작품을 되도록 많은 사람이 용이하고도 편안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먼저 잡지나 신문을 통해서 발표하는 지혜를 발휘했다. 즉 아직은 천박했던 문화의 토양에 섣부른 예술의 진지성 보다 손쉬운 읽을거리의 제공이 우선해야 된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그것은 그러나 미국만이 아니고 세계의 단편소설 발달에 크나큰 공적을 남기는 찬란한 역사적 과업의 성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