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기 위암의 최신 치료 방법 : 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 Hand-Assisted 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과 소개복 원위부 위절제술의 비교

        윤기영,이상호,Yoon, Ki-Young,Gagner, Michel,Lee, Sang-Ho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2

        Recently det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EGC) has been increasing and the treatment strategies for gastric cancer have been chan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between laparoscopically assisted (LADG) and hand-assisted laparoscopic gastrectomy (HALDG) and open dis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This review is directed toward providing gastric surgeons with recent advances in the treatment of EGC. We investigated the English language literature for the past 12 years through computer searches which focused on : 1) Patient demographics, 2) Operation time, 3) Intra-operative blood loss, 4) Depth of invasion, 5) CBC, 6)Weight loss, 7) Analgesic requirement, 8)Time NPO, 9) Length of hospital stay, 10) Tumor stage, 11) Lymph node (LN) dissection, 12) Position of LN resected, 13) Complications. Improved operative techniques and surgical instrumentation have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minimally invasive gastric cancer surgery. The short-term benefits of laparoscopic gastrectomy included less surgical trauma, less pain, rapid return of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shorter hospital stay, with no change in operative outcome. Laparoscopic gastrectomy was better accepted by the patients as a good procedure and promptly brought the patients back to their previous lifestyl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ut the advantages of HALDG for gastric cancer, extended lymph node dissection and intracorporeal anastomosis are feasible and easier with the presence of the internal hand. The hand-assisted laparoscopic (HALDG) method reported the best results in lymph node dissection.This method is an alternative to total laparoscopic radical gastrectomy. LADG and HALDG,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have several advantages. When performed by a skilled surgeon, LADG and HALDG are safe and useful techniques for patients with early-stage gastric cancer. Their appropriateness for gastric cancer surgery require further study.

      • 위 절제술 후 발생한 위 폴립의 임상 병리학적 특징

        윤기영,조성진,김정훈,김영식,이상호,Yoon, Ki-Young,Cho, Sung-Jin,Kim, Jeong-Hon,Kim, Young-Sik,Lee, Sang-Ho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3

        목적: 위폴립은 위장에 발생하는 흔한 양성 신생물로서, 증식폴립과 샘종폴립으로 크게 나눈다. 대개의 위폴립은 증식폴립이며 아직 정확한 병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샘종폴립의 경우 보통 장화생 현상을 동반한 미성숙 상피세포로 변화할 수 있어, 악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샘종폴립에 비해 증식폴립에서는 악성으로 잘 이행하지 않는다고 하는, 지금까지 알려진 위폴립의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저자들은 위절제술 후 생긴 위 폴립 병변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6개월 또는 1년을 단위로 하여 내시경 경과관찰을 한 환자의 잔위에서 생긴 위 폴립을 병리조직 학적 분류와 빈도, 내시경적 크기와 Yamada형 소견,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는 138명, 정상 위에서 발생한 폴립은 115예, 위절제술 후에 발생한 폴립은 23예였다. 정상 위에서의 폴립의 발생 부위를 보면 전정부에서의 발생이 가장 많았으나, 위절제술 후에는 수술 후 문합부위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정상 위에서의 폴립의 조직학적 분류는 증식폴립 86예(75%), 샘종폴립 24예(21%), 염증폴립 4예(3%), 장피 화생 1예(0.8%)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위절제술 후의 폴립의 조직학적 분류는 위십이지장 문합술 후 증식폴립 3예(18%), 샘종폴립 1예(6%), 염증폴립 13예(76%)였고 위공장 문합술 후 증식폴립 3예(50%), 샘종폴립 1예(17%), 염증폴립 2예(23%)였다. 위절제 수술 후 폴립의 크기는 정상 위의 폴립의 크기보다 작은 양상을 보였다. 정상 위에서 폴립의 Yamada 형태의 분류는 위절제 수술 후에는 I, IV형이 정상 위의 폴립에 비하여 적은 빈도로 생기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위절제 수술 후의 폴립은 수술 문합부에서의 발생빈도가 높았고, 주로 염증폴립 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자주 내시경 관찰을 하는 이유로 정상 위에서 보다 일찍 발견되어 크기는 작았으며, 육안적으로 폴립의 Yamada 형태의 분류는 II, III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Background: Gastric polyps encompass a wide variety of lesions that most commonly arise from the gastric epithelium. However, coincidental gastric carcinomas have rarely been reported, being found in $1.5{\sim}2.1%$ of patients with hyperplastic polyps. The sizes and the pathologies of polyps seem to be important in the application of 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ly gastric polypoid lesions after a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a follow-up endoscopy study, 23 patients were found to have developed gastric polyps after a gastrectomy. Most of those polyps were removed by using an endoscopic polypectomy. We performed clinical and pathologic evaluations of the gastric polyps in the remainding in the stomach after a gastrectomy,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4.5 years old with the incidence of polyps remainding in the stomach after a gastrectomy increasing after the first year following the gastrectomy. The sizes of the polyps ranged from 0.3cm to 3.5cm in diameter and the numbers of polyps below 1.0cm were 19 (82.6%). The anastomotic site was the most prevalent place 10 (43.2%), followed by the cardia 6 (26.0%) and the body 4 (17.3%). Among 23 gastric polypoid lesions Yamada types of gastric polyps in the remainding in the stomach were as follows: 1 case in type I, 12 cases in type II, 9 cases in type III, 1 case in type IV. The pathologic diagnoses of the polyps were hyperplastic polyps in 6 cases, tubular adenomas in 2 cases and inflammatory polyps in 15 cases. Conclusion: Endoscopic polypectomy is believed to be important in assessing the precise diagnosis of gastric polyps remainding in the stomach. In this study, hyperplastic polyps were found to have no malignant potential, despite their sizes. As a result aggressive biopsy with a polypectomy of gastric polyp afier gastrectomy is recommended and frequent follow-up be performed.

      • KCI등재
      • 나라장터 미래 관련 과제 현황분석을 통한 미래연구 활성화 방안

        윤기영(Keeyoung Yoon),서용석(Yongseok Seo),배일한(lhan Bae),김현우(Hyunwoo Kim) 미래학회 2016 미래연구 Vol.1 No.1

        There are a lot of Future Oriented Projects except Professional Futures Studies in public sector. When we analyze the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s, we could perform properly them and extend the area of futures studies. In this study, we research 140 future oriented project – the projects to need foresight - cases from South Korean G2B site Nara-Zangtuh. We analyze finely Request For Proposals of them. We research future time span, whether to apply foresight methods, whether to employ futurist, etc. Such points must be important. They are a kind of sign whether they were performed with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futures, exponentially increasing uncertainty, high complexity, openness for the futures and possibility. Through this study, we unfortunately find that the most of future oriented project were performed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s. In the latter part of this thesis, we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m. 국내의 공공분야에서 5년 이후의 미래 계획을 수립하는 다양한 과제가 수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공공기관의 미래예측에 대한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통해 소위 ‘미래 관련 과제’에 서의 미래예측에 대한 태도와 미래라는 시공간의 특성 간의 차이를 분석이 가능하다. 동 연구는 차이 분석과 차이 분석을 통한 대안 제시를 하고자 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미래관련 발주 조직이 미래 변화에 합리적인 대응하 고, 더 나아가 미래를 주도하는 데 밀알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저자들은 판단 했다. 저자 들은 이를 위해 나라장터에 등록된 2013년 1월부터 2016년 6월 까지의 미래 관련 과제를 140건 도출하고, 미래 시점 인식 여부와 그 미래 시점 기간, 부처별 진행현황 및 평균 예산, 미래예측방법론의 원용 여부와 미래전문가의 투입 등 현황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미래 관련 과제의 대부분이 미래라는 시공간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미래연구가 미래를 대비하고 준비하며 주도하는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음과, 공공조직의 대부분이 미래예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확인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주도적이고 합리적으로 미래를 준비하고 만들어가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 KCI등재

        빙쇄굴 모델에 의한 극지 해저 파이프라인의 매설깊이 산정

        윤기영(Ki-Young Yoon),최경식(Kyung-Sik Choi) 한국해양공학회 1997 韓國海洋工學會誌 Vol.11 No.2

        The interaction of grounded-ice features with underlying seabed is one of the major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of Arctic pipeline system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offshore gas fields near Sakhalin Island, which is an ice-infested area, in this paper an ice scour model to determine the burial depth of Arctic offshore pipeline is studied. Using a simplified ice-seabed interaction process, ice scour depth is easily estimated. This nonlinear numerical model can simulate the scouring process for various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ice mass, incoming velocity, soil strength. This study also deals with interacting forces during the scouring process in sloping seabed conditions and discusses the ice loads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eabed soil.

      • KCI등재
      • 정책의제설정 단계에서의 예측적 거버넌스

        윤기영(Keeyoung Yoon) 미래학회 2017 미래연구 Vol.2 No.2

        미래는 불확실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미래의 불확실 성을 지수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정책학은 미래예측 및 미래연 구의 성과를 원용해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정책이 그 대상을 미래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예측적 거버넌스가 2010년대 등장했다. 예측적 거버넌스는 실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고, 그 정의는 최근 확대되었다. 정책의제설정에서 예측적 거버넌스와 그 하부 개념인 예측적 민주주의 등의 체계적 반영이 필요하다. 이를 사전·진행· 사후적 미래예측이라는 시점을 통해 확인하고, 정책의제설정에서의 미래예 측의 유형을 조성적·장기적·규범적 미래예측과, 적응적·단기적·탐색적 미래예측으로 나누었다. 미래의 복잡성과 미래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조성 적·장기적·규범적 미래예측이 중요성을 강조하고, 우리나라의 최근 정부및 국회의 예측적 거버넌스의 동향을 살펴보고 개략적 정책제언을 더했다. The core feature of future is the uncertaint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at present has make the uncertainty increase exponentially. The main object of futures studies is the future uncertainty. Thus, the need for the policy to employ the methodogies and results of futures studies, because the time frmae object of the policy is future. Because of this, anticipatory goverance emerged in 2010’s. The contents of ancitipatory governance were formed based on the practical experiences, and the meaining has extended lately. Especially, anticiaptory governance is more important in the phase of policy agenda setting. Ancipatory governance in all processes of policy was analyzed from the view point of pre-, on-, post- foresight. And then, anticipatory governance was classified into construtive, long-term and normative foresight and adaptive, short-term and explolrative foresight. Constructive, long-term and normative foresight was ascertained being signified. And the trends of anticipatory governance in south korean government and congress was looked over and the policies on ancitpatory governance was suggested.

      • 박테리아에 대한 나노 입자의 항균 특성 평가

        윤기영(Ki-Young Yoon),이승재(Seung Jae Lee),이정은(Jung-Eun Lee),배귀남(Gwi-Nam Bae),지준호(Jun-Ho Ji),황정호(Jungho Hwang),정효일(Hyo-Il Jung) 한국실내환경학회 2005 한국실내환경학회지 Vol.2 No.1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allic nanoparticles against bacteria was investigated. Silver, copper, and titania nanoparticles were tested. The bacteria species E. coli and B. subtilis were selected as models for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respectively. Bacteriological tests were performed in Luria-Bertani (LB) medium or Nutrient (NT) medium on solid agar plates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noparticles in the range of 0 to 150 ㎍/㎖. Silver and copper nanoparticles were shown to be an effective bactericide. However, titania nanoparticles were found to be ineffective as an antimicrobial agent. It appears that E. coli cells are more sensitive to the copper nanoparticles than to silver nanoparticles and B. subtilis cells have similar sensitivity against both copper and silver nanoparticles.

      • KCI등재

        차량용 블루투스 스피커를 위한 EMC를 고려한 4층 PCB 설계

        윤기영(Ki-Young Yoon),김부균(Boo-Gyoun Kim),이성수(Seongsoo Lee) 한국전기전자학회 202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5 No.4

        본 논문에서는 전자파 방출을 줄이기 위해 필터나 디커플링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PCB 내의 칩 배치, 배선 모양 등을 변경하여 위험신호의 배선 길이와 귀환경로를 짧게 하는 EMC 고려 PCB 설계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PCB 상의 여러 가지 신호에 대해 신호속도를 계산하고, 신호속도가 가장 높은 위험신호에 대해 선로를 가능한 짧게 하도록 가장 먼저 칩의 위치를 선정하고 배선도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한다. 또 위험신호의 귀환경로에 불연속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며 귀환경로의 기준이 되는 전원판과 접지판이 분할되어 있지 않도록 한다. CISPR-32, CISPR-25 등의 전자파 적합성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던 차량용 블루투스 지향성 스피커에 이 기법을 적용하여 PCB를 재설계한 후 EMC 측정을 수행하였더니 해당 전자파 적합성 시험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었다. 제안하는 기법은 EMC 특성이 중요한 전자기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This paper proposes an EMC-aware PCB design method to reduce electromagnetic emission, where trace length and teturn path of critical signal are shortened by changing chip location and trace layout on the PCB, while additional filters or decoupling capacitors are not required. In the proposed method, signal velocity is calculated for various signals on the PCB. Critical signal with the fastest signal velocity is determined and its return path is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by placing chip location and trace routing first. Return path of critical signal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not to have discontinuity. Power plane and ground plane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not to be divided, since these planes are the reference of return path.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utomotive directional Bluetooth speaker which failed to pass CISPR 32 and CISPR 25 EMC tests. Its PCB was redesigned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and it easily passed the EMC tests.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to EMC-sensitive electronic equip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