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묘를 통한 손의 상징적 표현연구

        윤기언(Yoon, Ki-U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3 No.13

        오늘날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은 작품과 감상자 사이의 소통과 교감이다. 현대미술의 특징과 경향은 작품에 관한 정보나 미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으면 감상이 어렵다. 미술은 작가의 의지나 감정의 표현이 작품을 통하여 감상자에게 전달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 따라서 동시대 미술가는 창작과 감상 사이의 소통방식에 대한 궁구가 필요하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손은 언어적 기능을 바탕으로 화면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신체언어로서 손짓은 내적인 발화로부터 나타나며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공간의 경계를 넘어 소통의 수단으로 보편성을 띤다. 동아시아에서 불교미술의 수인(手印)은 신앙의 대상이자 권능을 상징하기도 하였고 현대미술에서도 손의 상징성은 다양하게 주제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구자는 현대인의 삶을 상징하는 매체로 손을 주목하였다. 손은 잠재된 감정이나 욕구를 표출하기도 하고 사회 속에서 개인의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작품에서 손짓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성을 보여주기도 하며 새로운 의미를 파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손짓의 무리는 군중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 현대사회의 모습을 환기시킨다. 작품에서 손의 상징적 표현은 전통회화의 선묘법을 모태로 한다. 시원적이며 기록적인 특징을 지닌 철선묘(鐵線描)로 가시화시켰고, 필사적 묘사를 통하여 일상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순간을 주목하게 하였다. 손의 움직임을 부각시키고자 역동적인 혼묘(混描)를 활용하였고, 반복과 중첩의 시각 효과는 한지의 투과성과 배접기법으로 구현하였다. 또한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시간성과 공간성을 부여함으로써 손짓의 상징적인 표현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소통의 방식으로 동아시아 전통회화의 상징적 기능을 재고하고 상징을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선묘의 심미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동시에 손짓의 선묘 표현이 지닌 시각언어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이를 현대적 미감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Today, the social function and the role of art is communication or communion between artworks and viewers. The characteristic and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are to be difficult to appreciate without basic understandings of and being informed about art. Art can be completed only when the will of the artist and expressions of emotion are transmitted to audiences through the work. Therefore, contemporary artists need to find ways to communicate between creation and appreciation. In my work, hands are important elements in the painting as verbal functions. As a body language, the hand gesture is derived from internal utterances and conveys universality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cross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from east to west, and past to present. ‘Mudra(手印)’ in Buddhist art of the East is also a metaphor of power and symbol of authority. In contemporary art, the symbol of hands often highlight themes in various ways. I have noticed that my hands as a medium of symbolizing the lives of modern people. The hand expresses latent feelings and desires, and symbolically shows the individual’s will in a society. In a work, gestures represent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a society, and arouse the image of modern society representing in forms of the crowd.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hand in works was visualized as a prototype of Line drawing(線描) as t’ich hsien miao (鐵線描) with the original and recorded features. The method of direct copying with a brush attracted attention to moments not recognized in everyday life. The movement of hands was emphasized as a depiction of a dynamic hun miao(混描), which expressed the visual effect of overlapping in a baejeop(褙接) techniques that take advantage of the transparency of the Korean paper. I also tried to expand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hand gesture by providing time and space using the video media. This dissertation examined the aesthetic meanings and values of Line drawing(線描) as a symbolic expression technique reviewing the symbolic functions of traditional painting of the East in a way of communication. Based upon it, I researched possibilities of the expression of Line drawing(線描) as a visual language and reinterpreted it as a modern aesthetic.

      • KCI등재

        미술 전공 대학생의 몰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화 재료와 기법의 물성 체험을 중심으로 -

        차민주,윤기언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3

        본 연구는 미술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화 표현활동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몰입 경험에 대한 의미를 질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다시 말해, 완성된 결과물이 아닌 한국화 재료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과정을 체험하며 그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몰입이라는 개인적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몰입을 통해 개인의 정서적 변화를 감지하고 질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가? 라는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화에서의 몰입은 개인의 태도에서부터 그 재료의 용도와 기법을 익히는 단계로 서서히 움직이며 연구 참여자의 경험에 의해 축적되고 성장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시 말해, 개인은 한국화의 재료와 물성을 끊임없이 탐구하며 내면의 질적 성장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화 물성 체험 중심의 몰입 경험은 개인의 능력, 목표, 기준에 따라 각자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자기 성장을 이루는 핵심 요소가 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meaning of the immersion (i.e., the flow by Csikszentmihalyi) through Korean painting activities. That is,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sonal experience of immersion that occurs while experienc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inherent in Korean painting material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ompleted artwork. In summar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ly, the experiential nature of Korean painting activities lies in the gradual and internally-oriented process of individual cultivation, taking place within the given time frame. This experiential process within the allocated time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aspects unique to Korean painting materials. In addition, experiencing the sensitive nature of Korean painting materials prompted students to take an interest in expressing themselves and their emotions through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Secondly, in conducting a basic Korean painting education program, the role of the teacher – not only as guide but also as facilitator - is of utmost importanc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