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천문과학관 프로그램에 반영된 과학교육과정의 분석

        윤광아,최상인,정구송,이호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이 연구는 과학 교육과정 중 천문관련 단원의 내용과 천문과학관의 전시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천문과학관이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를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천문과학관 5곳으로 천문과학관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평가하고 프로그램 형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사용된 평가도구는 교육부(1997)에서 고시한 과학교육과정 내용과 교육과정 평가원(2000)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근거로 고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천문과학관에서는 과학 교육과정 내용 중 천문관련 학습요소를 대부분 반영하고 있었다. 이는 천문과학관이 비형식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과학 교육과 비교적 잘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반영비율은 5학년이 가장 높으며, 전시 형태는 패널 형태가 가장 많았다. 평가점수는 반영비율에 비하여 낮았는데 이는 향후 천문과학관의 프로그램을 선정함에 있어 과학 교육과정을 더 충실히 반영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rograms of astronomy museums reflect the contents and objectives of current science curriculums. To attain the aim,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museum programs and science curriculum have been made. Five domestic astronomy museums have been select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ir programs have been studied and appreciated by assessment instruments for astronomy museum programs.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devis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science curriculum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1997) and the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stronomy museums reflect most of the learning elements of science curricula concerning astronom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tronomy museum as an informal education institute is comparatively well connected to science education. The 5th grade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mostly on the museum programs, and too many of the astronomy museum programs were in forms of panel exhibition. Science curricula fared well but they failed to reflect the curricular objectives, which resulted m relatively low assessment scores.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and act as guidance for selecting and developing astronomy museum programs which include the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s more substantially.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인식 및 평가의 정치심리 기반

        윤광일 ( Yoon Kwang-i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4

        이 연구는 한국의 안보체제가 무엇보다 한미동맹과 이의 구체적 실재인 주한미군의 존재를 골간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 인식에 기반하여, 미국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한국 유권자 정치이념 특유의 하위차원으로 제시되어 온 안보정책에 관한 선호와 평가의 한 요소로 상정하고,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에 대한 태도와 경제, 안보, 외교 분야에서 미국에 대한 인식 등에 미치는 개인의 정치이념 성향과 가치 및 이데올로기 성향 등 정치심리 변인의 영향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반공, 대북 및 통일 정책 선호에 초점을 맞추었던 선행연구에 더하여, 한국 유권자 정치이념 성향과 구조의 보편과 특수를 경험적으로 밝히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탈물질주의 가치와 이데올로기 성향 변수인 우익권위주의 성향과 사회지배지향, 체제정당화 동기가 정치이념 성향과 함께 미국에 대한 유권자 인식과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안보정책 선호의 동기적 기반으로 상정된 상징적 정치이념 성향과 정치심리 기반 변수가 한미동맹과 미국의 상대적, 절대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예측한 방향으로 일관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우익권위주의 성향만이 상대적으로 일관되게 한미동맹과 주한 미군이 현재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할 가능성을 높였고 독자외교 노선과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 유지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는 데 동의할 가능성도 높였다. Based on the fact that the ROK-US Alliance and its embodiment, USFK, are the linchpin for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foundation of attitudes toward the Alliance, USFK, and the U.S. leadership in the region and the world.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estimate the effects of such motivational bases as left-right political orientation, postmaterialism, right wing authoritarianism (RWA),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DO), system justification motivation on those attitudes. The study would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the security dimension in individual’s political ideology, which has been suggested to be specific to Korean voters. In general, those motivational variables are not found to have consistent effects on the individual’s U.S.-related evaluations. Only the RWA seems to increase positive evaluation of the ROK-US Alliance and USFK, Korea’s diplomatic independence, the U.S-led world ord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역주의의 변화: 1988년, 2003년 및 2016년 조사결과 비교

        윤광일 ( Yoon Kwang-il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7 의정연구 Vol.23 No.1

        이 글은 지역주의의 미시적, 사회심리적 기반을 파악하기 위해 이의 이론적 작업으로 지역주의의 개념적 위상을 제시하고 편견과 사회정체성이론을 소개했다. 경험적 분석에서는 지역주의의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1988년, 2003년, 그리고 2016년에 수집한 전국단위의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영·호남 출신에 대한 편견, 차별경험, 지역갈등에 대한 귀인 등의 변화양상을 출신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호남 출신에 대한 편견이 전국적으로 또한 출신지역 별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다만, 대구/경북 지역 출신의 호남출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령이 낮을수록 호남편견은 낮아지는 것으로 보이나 지지하는 지역정당에 따라 호남편견이 갈리는, 지역갈등과 이념갈등이 중첩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셋째, 대부분의 응답자가 출신지역에 따른 명시적 차별은 경험하지 못했지만 상대적으로 호남 지역출신 응답자의 차별 경험 비율이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에 비해 높게 나왔고, 정체성과 자존감과 관련된 차별 경험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호남출신은 지역갈등의 원인을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지역주민의 의식과 같은 내적 요인에서 찾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정부의 경제발전 정책이라는 외적, 구조적 요인에 귀인해 왔다. 이는 편견 대상 집단의 일반적 행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글을 요약하며 편견감소 방안에 대해 논의하며 글을 맺는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icro-level, social psychological foundation of regionalism and analyze its change and continuity by comparing 1988, 2003, and 2016 survey results. Drawing on the theory of prejudice and social identity, it clarifies the concept of regionalism and examines its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implications. In the empirical analysis, where it takes advantage of relevant questions of the same or similar wording in three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s, the study identifies the changes in regionalism at the individual level focusing on anti-Honam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nd attribution of regional conflict. First, anti-Honam prejudice has been in decline nationally as well as regardless of where one has grown up, except for Daegu/Kyungpook area. Second, anti-Honam prejudice has been weakened among younger generations while regional party identification now affects the sentiment in the direction of regional cleavage overlapped with ideological leanings. Third, while most respondents do not experience explicit discrimination, Honam natives are still more likely to experience discrimination, especially identity and self-esteem related, due to his or her home town. Fourth, Honam natives have been more likely to attribute regional conflict to an external, structural factor like government economic policy and less likely to a subjective one like regional sentiment, which seems to be consistent with attributional attitudes of the victims of prejudice. The study ends with the discussion of how to reduce further anti-Honam prejudice, which includes contact hypothesis, recategorization, cross-categorization, and de-catego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