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증권사기로 인한 민,형사책임에 있어서의 손해와 이익의 산정

        윤광균 ( Goang Gyun Yun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3

        자본시장법은 공시의무위반과 불공정행위에 대하여 행정적 제재와 더불어 형사책임과 민사책임을 부과하고 있다. 그 기본적 행위는 위험범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민사상손해배상청구 사건에서는 원고의 구체적인 손해를 확정하여야 하며, 형사책임에 있어서도 가중적 형벌을 부과함에 있어서는 피고인이 얻은 구체적인 이익 등을 산정하여야한다. 이와 관련한 형사사건에서 종전의 재판례는 그 태도가 분명치 아니하였으나, 대법원 2009. 7. 9. 선고, 2009도1374 판결은 형법 제17조를 근거로 ‘위반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위험과 인과관계가 인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명확히 하였다. 이는 민사책임에서뿐만 아니라 형사책임에 있어서도 구체적으로 위반행위와 인과관계가 있는 이익 등을 산정하여야 하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런데 현실에 있어서 증권시장에서의 증권의 가격은 여러 요인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동하며, 반드시 그 증권의 본질가치를 반영하는 것도 아니다. 모든 정보가 공시되어 반영되는 것도 아니고, 투자자들도 반드시 합리적으로만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결국 인과관계에 관한 일반론을 기초로 증권시장과 투자자의 행태를 고려하여 판단할문제이며, 자본시장법의 목적 등을 고려한 규범적 판단도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그간 효율적시장가설에 근거한 시장사기이론이 논의되어 왔고, 통계적인 방법인 사건연구가 활용되어 왔으나 여전히 논란이 분분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그간 사건연구가 법원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대하여 미국 연방최고법원은 2014년 Halliburton 사건에서 1988년 Basic 판결 이래의 논의를 반영하여보다 구체화된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증권사기로 인한 자본시장법상의 민사책임과 가중적 형사책임을 지움에 있어서 그 요건의 하나가 되고 있는 손해와 이익등의 산정과 관련하여 비교법적 논의와 함께 판례의 태도를 알아보고 증권시장의 현실을 반영하고 규범적 판단을 고려한 나름대로의 합리적인 산정방법을 제시하여 보고자하였다. The Act of Capital Market and Investment Banking provides criminal and civil remedies as well as administrative enforcement. Principally securities frauds without any results are prohibited as dangerous acts. Bu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osses for remedies in civil actions and the defendant’s profits should be proved for weighted penalties in criminal cases. Previously the courts were obscure on how to calculate the profits in criminal cases. However in 2009 the Supreme Court’s decision has made clear that it means the profits earned or losses avoided in causation with the peril of wrongdoing as Criminal Code Sec. 17 provides. So the decision makes it necessary to prove the profits earned or losses avoided specifically in causal connection with the wrongdoing in criminal cases as well as civil cases. However in reality the prices of securities in securities exchanges are constantly changing by various factors and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 fundamental values of the securities. We can not say that all informations are provided publicly and reflected into the prices and investors always act rationally. This is the issue that we should decide by taking the behaviors of markets and investors into consideration upon the general theories of causation and normative consideration such as the purposes of the Act should also be put in it. There have been debates on the fraud on the market theories based on efficient capital markets and the use of event studies as a statistical method. But the event studies have seldom been accepted in our courts.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suggested more clear criteria on this issue in Halliburton case in 2014 reflecting the debates since Basic decision in 1988. This Article discusses how to establish losses and profits in causation with securities frauds in civil and criminal cases with comparative analysis and suggest some rational calculations reflecting the reality of securities markets and the purpose of the Act.

      • KCI등재

        PEF의 법적환경과 그 성장에 따른 투자자보호 및 기업지배구조의 과제

        윤광균(Yun, Goang Gyun)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과기업연구 Vol.8 No.2

        근래 PEF(Private Equity Fund)가 급속히 성장·확산됨에 따라 금융정책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고, 기업지배구조에도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PEF가 제도권금융 밖에서 자생적으로 성장해 왔으나 이제 규제의 대상이 됨에 따라 그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우리나라는 자본시장법에서 이를 먼저 제도적으로 도입하면서 집합투자기구의 하나로 규율하고 있다. 자본시장법상 PEF에 대한 규제는 공모펀드에 대한 일반적인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형식을 취하다보니 그 내용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어 있다. PEF가 원래 그림자금융 영역에서 시장의 필요에 의하여 발전해 온 것인 만큼 원칙적으로 시장규율과 계약원리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며, 규제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도 목적을 명확히 하고 그에 맞추어 적정한 규제수단을 강구하여야 한다. PEF 역시 타인의 돈을 관리하는 관계로 투자자보호의 문제가 있으나 전문투자자로 구성되는 만큼 가능한 한 사적자치에 맡기고, 다만 금융시스템관리 차원에서 최소한의 감독에 그쳐야 한다. PEF가 헤지펀드나 뮤추얼펀드와 달리 회사의 지배권을 확보하여 PEF 역시 타인의 돈을 관리하는 관계로 투자자보호의 문제가 있으나 전문투자자로 구성되는 만큼 가능한 한 사적자치에 맡기고, 다만 금융시스템관리 차원에서 최소한의 감독에 그쳐야 한다. PEF가 헤지펀드나 뮤추얼펀드와 달리 회사의 지배권을 확보하여 경영을 함에 따라 기업생태계의 변화를 불러올 수 있고, 금융의 산업지배 문제도 제기된다. 금융자원의 효율적 배분 등 국민경제적 관점에서 예의주시할 필요도 있다. 한편으로 PEF와 제도권금융의 경쟁을 통하여 금융혁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Recently, private equity funds (PEFs) have been rapidly growing and are expected to concern financial policies and to affect corporate governance. PEFs have grown outside institutional financing. As PEFs have recently been subject to financial regulation, they should clearly be defined. In Korea, PEFs have been introduced and regulated as a collective investment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The Capital Market Act regulates PEFs by substantially relaxing the provisions concerning public funds. So it is very difficult to grasp the legal frame of PEFs. As PEFs have originally developed in the shadow banking sector following the needs of the market, it is preferable to leave them to the market discipline and the freedom of contract. In case there is a need for regulation, its purpose should be clarified to devise appropriate measures. The PEFs also raise a problem of protecting investors, as they manage other people’s money. However, they should basically be left to private autonomy as they are composed of professional investors. They should be minimally supervised to protect financial system. Unlike hedge funds or mutual funds, PEFs can lead to the changes of corporate ecosystems as they gain control over the companies and raise the issue of financial domination of industral sector. There is also a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national economy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On the other hand, financial innovation can be expected through competition between PEFs and institutional financing.

      • KCI우수등재

        LBO에 있어서의 배임죄와 사해행위

        윤광균 ( Goang Gyun Yun ) 법조협회 2015 法曹 Vol.64 No.7

        Recently many leveraged buyout(‘LBO’) cases have been dealt in courts. The Supreme Court has applied same strict standard to LBO as has done to business judgments such as providing financial supports to affiliated companies. However the standards applied by courts are neither consistent nor clear. LBO takes several forms in reality, such as providing security, lending money, merger, dividends or stock purchasing. Offences of misappropriation have been main issues in relation to LBO in Korea, while fraudulent transfers have been issues in United States. In Japan, lower court rendered judgment on tort and power to avoid under Bankruptcy Code . Usually legal disputes follow when target companies fail after LBOs. In ‘Sinhan’ case, the defendant was found guilty, while dependents were acquitted in ‘Hanil Hapsum’ case, which took the procedure of merger. However, Crowthers case in United States found that several steps in merger LBO could be collapsed and could be fraudulent transfer. In Gleneagles case, LBO was found fraudulent transfer. On the other hand, the LBO was approved as legal in Moody case, because the target company was solvent at the time of the transaction. In Japan, Tokyo district court denied avoidance and complicity claims against lender in LBO in case of (株)ソリッドアコ-スティックスand (株)カ-チスホ-ルディングス. The legal issues in relation to LBO are how to interpret and apply the laws under each jurisprudence. But the laws are too broad and unclear, so they do not provide guidances for behavior. That becomes risks in LBO transactions. Our Supreme court seems to be skeptical to LBO. But we have to wait to see whether LBO is efficient and useful in our national economy. It is not proper to override LBO with criminal law. We should review the legality of LBO with the procedures taken rather than fair considerations. It would be better to rely on civil remedies for improper LBOs. This Article reviews and analyses LBO cases in Korea, United States and Japan comparatively. After finding out what has been the legal issues, it discusses the proper standard of review by courts with suggestion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미보충 백지어음에 의한 권리행사는 언제나 무효인가? -새로운 해석의 시도-

        윤광균 ( Goang Gyun Yun ) 법조협회 2011 法曹 Vol.60 No.2

        The negotiable instruments basically have the character of contracts of parties. However the contracts are merged into papers which are called promissory notes, drafts or checks. Korean 「Notes Act」 provides that a note should contain the specified terms, and that in case of lack of any such term the note is invalid. Korean 「Checks Act」 has same provisions on checks. The required terms include payee, date of issuance and place of issuance as well as the unconditional promise to pay a fixed amount of money. In practice, some notes are issued with some terms, including the amount of money and due date, in blank, which are intended to be added later by holder. However some notes are payed and finish their life without the augmentation of the missing terms like payee, date of issuance and place of issuance to the end. But, when the issue is brought before the Court, the Court rules that the incomplete notes are invalid and are not enforceable, according to above mentioned provisions of Notes Act. The deficiency becomes disastrous when the holder of a note sues against the indorser for recourse, because the holder should have presented a complete note in a defined time to preserve the right to recourse. This thesis examines the current laws and bank practices of notes with a brief history of them. Then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incomplete instruments should be enforced as the instruments under Civil Code, and further suggests that the presentment of incomplete instruments should be regarded as a valid presentment for preservation of the right to recourse.

      • KCI우수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내부자거래에서의 2차 정보수령자와 공범관계 -대법원 2002. 1. 25. 선고 2000도90 판결- -대법원 2009. 12. 10. 선고 2008도6953 판결-

        윤광균 ( Goang Gyun Yun ) 법조협회 2012 法曹 Vol.61 No.5

        자본시장법은 상장법인의 내부자·준내부자 및 정보수령자가 미공개중요정보를 특정증권 등의 거래에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정보수령자의 범위에 관하여 논란이 있으며, 대법원 판례는 그 정보수령자를 1차 정보수령자에 한정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형법 총칙상의 공범규정도 적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판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본다. 내부자거래는 사기죄의 범주에 속하며, 내부자와 준내부자는 신분범이다. 그리고정보수령자는 기본적으로 신분범에 가공하는 공범이다. 다만, 자본시장법은 증권거래와 증권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구성요건을 특별히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증권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내부자거래금지 규정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일반사기죄에 관한 법리와 정합성 있게 해석함과 동시에 합목적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내부자거래에 적어도 일반 공범규정과 그 법리가 정용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나아가 증권거래의 공정성과 증권시장의 건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자본시장법의 입법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그 이상을 포섭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내부자거래금지의 대상으로서의 정보수령자는 1차 정보수령자인지, 2차 이후 정보수령자인지 여부에 불구하고 일정한 인식내지 고의가 있는 경우에는 처벌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뚜렷한 논거도 없이 정보수령자의 범위를 1차 정보수령자로 한정하고 있는 일본의 판례와 학설을 무비판적으로 따를 수는 없으며, 한편으로 우리 법의모델이 된 미국의 판례가 정보수령자의 책임의 근거로 일정한 의무위반을 요구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Capital Market Act proscribes the use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on the trading of securities by insider, quasi-insider and tippee. There arises the issue that who are the tippees. The Supreme Court limited the tippee to the first tippee from insider or quasi-insider, and further ruled that general conspiracy rules do not apply to the second and thereafter tippees. This article analyzes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on the contour of tippees with critics. The insider trading is a kind of fraud and the tippees are in conspiracy with the insider. The trading by second and thereafter tippees is also illegal in so far as they are aware that the information is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insiders or quasi-insiders. The provision prohibiting insider trading should, at least, reach the behaviors covered by general anti-fraud provision under Criminal Code, and it should further exten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Capital Market Act. We need not necessarily follow the ruling and theory in Japan which have no solid grounds. However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ecisions and reasoning of United States Supreme Court.

      • KCI등재후보

        증권회사의 고객보호의무와 손해배상책임

        윤광균(Yun Goang Gyun) 한국법학원 2007 저스티스 Vol.- No.97

        오늘날 투자의 대중화의 진전에 따라 일반투자자의 유가증권거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그로 인하여 예기치 못한 손실로 많은 불행한 결과가 초래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러한 불행을 막고 적정하고 공정한 유가증권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 자본시장이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하여는 자본시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증권회사에 대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고객보호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필요하다. 증권회사의 고객보호의무는 거래일반에 적용되는 신의성실의 원칙이나 선관주의의무에 더하여 설명의무, 적합성확보 의무, 그리고 과당매매금지 등 고객의 이익을 최우선시하여야 하는 의무를 포함한다. 현행법령상으로 이러한 의무에 관하여 단편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체계적이고 명확하지 못하고, 판례상으로도 정립되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아직은 발전과정에 있는 개념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과 일본의 법령과 판례에 나타난 고객보호의무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보았다. Securities field, by its nature, requires specialized and unique legal treatment. Securities are intricate instruments and involve many risks. The public rely on broker-dealer's experts and honesty and put trust and confidence on them in purchasing or trading the securities. Here it is necessary for the broker-dealers to provide special care to protect their customers. In soliciting and selling securities the broker-dealers should disclose necessary and sufficient informations for their customers to evaluate the risks and make informed decisions when they solicit and sell securities. They should advise suitable securities in view of financial resources and investment objectives of the customers and should not engage in churning. Broker-dealers deal with customers as principal or agent and they are under duties not to defraud customers and fiduciary's duties in case of agency transactions according to fraud provisions of Civil Code and Criminal Code. In applying those principles to the securities transactions, it is necessary to take the special aspects of securities into consid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ecurities Transaction Act and the Rules under it have special provisions for protections of customers by broker-dealers. However it's not clear whether those provisions provide civil remedy to customers in the case of violation by broker-dealers. Those questions can be decided on the bases of principles of Civil Act and in consideration of special aspects of securities. The broker-dealer's duty to protect their customers has been evolved from ethical precept to law and is still in developing stage. The broker-dealers have to do business on more stringent standards than any other industries for fair and honest trading.

      • KCI등재후보

        금융감독상의 제재와 적법절차에 관한 고찰

        윤광균(YUN Goang-Gyun) 한국법학원 2008 저스티스 Vol.- No.104

        금융산업은 강도 높은 규제가 이루어지는 분야이다. 그 규제는 헌법상 보장된 영업의 자유와 재산권을 제약하는 중대한 규제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법률은 감독의 기준을 정하고 그 위반에 대한 제재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을 금융감독기관에 포괄위임하고 있다. 이는 다양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고 금융감독기관의 전문성과 경험을 활용하기 위하여 불가피하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며, 그 통제는 절차적 통제가 보다 현실적이고 실효성이 있다. 본 논문은 금융감독기관의 제재와 관련한 적법절차의 요청과 그 실태를 미국 및 영국의 예와 비교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우리나라는 헌법상 적법절차가 보장되어 있고 이를 구체화하는 법률로서 행정절차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 금융감독과 관련하여 충분히 실현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제재와 관련하여 행정판사에 의한 사법절차에 준하는 청문이 실시되고 있으며, 영국 금융감독원(FSA)도 주로 위부인사로 구성된 규제결정위원회(RDC)에 의하여 독립적이고 공정한 제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우리 금융감독기관은 내부적으로 제재심의위원회 등이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실질적이고 충실한 적법절차가 실현되고 있다고는 보기 어렵다. 금융감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제재는 인·허가의 취소, 영업의 정지와 같은 전통적인 제재뿐만 아니라 임원해임요구 등 인사적 제재와 과징금부과 등 금전적인 제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중대한 제재를 함에 있어서는 사법절차에 준하는 행정절차가 실시되어야 하며, 이는 독립적이고 공정하며 자질을 갖춘 청문주재자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법원은 사후적으로 적법 절차의 충족여부를 엄격히 판단함으로써 금융감독기관의 충실한 행정절차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nancial industry is highly regulated field. The regulation includes restrictions of the freedom of business and property rights secured by Constitution. The statutes delegates a broad discretion to the financial supervisory agencies, which includes the rule-making powers and disciplinary actions. Although the broad delegation is necessary to cope with ever-changing financial markets and to use specialities and experiences of the agencies, it should be within a proper constraint. In this regard, the due process control, rather than the substance control, is considered more efficient. This thesis discusses the due process requirements in disciplinary actions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agencies, wi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actices of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The Constitution provides for the due process and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was enacted to implement it. However, it does not appear that the requirements of the due process are fully implemented with regard to the financial supervisory actions. In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 of the United States, the Administrative Law Judge(ALJ) holds hearings and in the Financial Services Authority(FSA) of England, the regulatory decisions are made by the Regulatory Decisions Committee(RDC), the majority of which comprise of outside persons. Although our financial supervisory agencies also have the Disciplinary Review Committee, it is not comparable to those of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The financial disciplinary actions include the barring of directors or employees and monetary penalties, as well as revocation or suspension of permit. Such a serious disciplinary action necessarily requires the quasi-judicial adjudication by the independent, fair and competent hearing officers.

      • KCI우수등재

        회사와 그 지배자 간 거래의 공정성 판단기준에 관한 고찰 -대법원 2009. 5. 29. 선고 2007도4949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비판-

        윤광균 ( Goang Gyun Yun ) 법조협회 2010 法曹 Vol.59 No.1

        우리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법적으로 계약자유의 원칙이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는 거래의 양당사자가 각자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협상을 하고 합의점을 찾음으로서 각자의 공정한 몫을 얻고 국민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런데, 회사와 그 지배자 간의 거래는 이러한 제3자적 거래의 원리가 작용하지 않는다. 특정 거래에 있어서 그 지배자와 회사의 이해가 상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회사 및 소수주주의 이익을 희생시킬 우려가 있다. 회사법상 이사의 경업과 자기거래를 제한하는 등의 규정을 두고 있으나 회사와 지배자 간의 거래를 일반적으로 규율하는 규정은 두고 있지 않다. 그러나 회사와 그 지배자 간 거래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법적으로 특별히 다루지 않으면 안 되며, 회사법상 구체적인 규정이 없더라도 일반 법원칙에 의하여 그 공정성을 심사하여야 한다. 미국 판례는 이러한 경우 완전한 공정성(entire fairness)을 요구하며, 이는 공정한 거래(fair dealing)와 공정한 가격(fair price)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최근 삼성그룹 소속 회사들이 저가로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지배주주의 자녀에게 발행하여 지배권을 승계시킨 행위에 대하여 형사적으로 배임죄의 죄책을 물어 기소되고, 민사적으로 그 발행무효의 소가 제기된 사건에서 대법원판결이 선고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에버랜드 사건에서 전원합의체의 다수의견은 전환사채의 발행에 있어서 주주배정방식과 제3자배정방식을 엄격히 구분하면서, 제3자배정방식의 저가발행인 경우에는 회사에 손해를 입힌 것이 되나, 일단 주주배정방식으로 발행한 경우에는 기존 주주가 실권하여 제3자에게 배정하는 경우에도 회사에 손해가 없다고 하여 이러한 방식을 취한 에버랜드의 전환사채발행에 대하여 이사와 지배주주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였다. 그리고 동 판결은 이사는 회사에 대하여 신임관계에 있을 뿐이고 주주에 대하여는 신임관계에 있지 않으므로 저가 발행으로 인하여 비록 기존주주들이 손해를 입더라도 배임죄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동 판결의 별개의견은 더 나아가 제3자배정방식의 경우에도 저가발행으로 인한 손해는 기존주식의 희석화로 인한 주주의 손해에 불과하고 회사에는 손해가 없다는 이유로 무죄의견을 밝혔으며, 또한 반대의견도 주주배정방식과 제3자배정방식을 구분하고, 이사는 회사의 수임자뿐이라는 전제에는 다수의견과 같이하면서, 다만 동 사건에서와 같이 기존주주의 대량실권으로 인하여 제3자배정을 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제3자배정방식에 의한 것으로 보아야 하고, 따라서 배임죄가 된다는 의견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사는 회사와 주주 전체의 수임자로서 주주에 대하여도 신임관계가 있고, 따라서 그 의무에 위배하여 주주의 손해를 초래한 경우에도 배임죄가 성립할 수 있음을 논증하고, 나아가 회사와 그 지배자 간의 거래에 있어서 거래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여 보았다.

      • KCI등재

        금산법상 부실금융기관 공적소유화의 적법성과 합헌성

        윤광균(Yun, Goang-Gyu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성균관법학 Vol.23 No.3

        In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each country rescued the financial institutions in trouble by the injection of public funds. 10 years age Korea also experienced the financial crisis caused by the foreign exchange unbalance and resolved the financial institutions in trouble with provisions of public funds. All these were processed by special resolution schemes instead of general bankruptcy laws. United States have ‘prompt corrective action’ scheme for curing troubled financial institutions. England also introduced ‘special resolution regime’ by enacting 「Banking Act 2009」. Japan enacted 「Act of Rehabilitation of Financial System」 and 「Act of Prompt Stabilization of Financial System」 each in 1998 in addition to prompt corrective action scheme. Korea also introduced prompt corrective action scheme by amending the 「Act of Restructuring of Financial Industry」 in 1998, which included the order of capital increase with reduction of existing shares, order of transfer of assets and liabilities and appointment of conservator by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 1999, the Commission appointed conservator for Daehan Life Insurance Ltd. after finding that the liabilities of the Company far exceeded the assets. And the conservator, in place of board of directors, reduced all equity of existing shareholders to zero without any compensation and issued new shares to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making the Corporation the sole shareholder. As a result, the Company was in fact placed into public ownership by such a series of actions. The shareholders of the Company filed several lawsuits which did not succeed. This paper analyzes the legality and constitutionality of the actions by the Commission and conservator, especially whether the conservator had the power to reduce the equity of existing shareholders and issue new shares in place of board of directors of the Compan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nationaliz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in default is permitted under the Constitution if it is necessary to preserve financial systems and to stabilize financial markets. However such an authority should be specifically and clearly provided by Congress. But the 「Act of Restructuring of Financial Industry」 then in place did not provide such an authority or power to the Commission or the conservator. In addition this paper raises a doubt on whether the rescuing of the Company with such a large scale of public fund was proper.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also be liquidated in principle as other companies under market discipline. Rescuing such an institution with public fund should be limited for preserving overall financial systems and stabilizing financial mark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