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검사가 직장 유암종의 내시경 절제에 미치는 영향

        조성범 ( Sung Bum Cho ),박선영 ( Sun Young Park ),윤경원 ( Kyeng Won Yoon ),이석 ( Seok Lee ),이완식 ( Wan Sik Lee ),주영은 ( Young Eun Joo ),김현수 ( Hyen Soo Kim ),최성규 ( Sung Kyu Choi ),유종선 ( Jong Sun Rew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1

        목적: 직장 유암종은 대장내시경 확대로 발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차로 내시경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진단 내시경 시 조직검사로 인한 병변 변형에 의해 내시경 절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조직검사 후 변형이 직장 유암종의 내시경 절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직장 유암종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한 42예를 조사하여 진단 시 조직검사 유무에 따라 조직검사군 22예와 조직검사 미시행군 20예로 분류하였다. 조직검사군과 미시행군 간 유암종 크기, 위치 등 임상 차이는 없었다. 각 군 간 점막하 주입 시 융기 제한, 내시경 제거 방법 차이 및 분할 절제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내시경 절제술 시 점막하 주입에 따른 점막 융기 제한을 보인 경우가 조직검사군에서 17예(77%)로 미시행군 9예(45%)에 비해 많았다(p=0.03). 점막 융기 제한에 영향을 미치는 내시경 소견은 조직검사로 인한 종괴의 함몰된 반흔이 관찰된 경우, 조직검사를 한 5 mm 이하의 유암종, 조직검사 후 활동 궤양이 있는 경우였다. 내시경 절제 시 올가미를 이용한 절제술, cap을 이용한 흡인절제술, 고무밴드 결찰 후 절제술에서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으나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을 이용한 경우는 조직검사군 5예로 미시행군 1예에 비해 많았다. 분할절제된 경우는 조직검사군 5예(23%)로 미시행군 2예(10%)에 비해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직장 유암종에서 조직검사로 인한 변형은 내시경 절제 시 점막 융기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절제 이전 조직검사는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Background/Aims: While endoscopic resection could be considered as the best choice for the treatment of small rectal carcinoid, the colonoscopic biopsies performed at the time of detection may lead to scar and ulcer formation and cause unpredicted difficulty in the endoscopic resection. This study was evalua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biopsy scar and the limitation of submucosal elevation for the endoscopic resection of rectal carcinoids. Methods: Twenty two cases of rectal carcinoid which received prior biopsies before the endoscopic resection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with 20 non-biopsied cases. All two groups were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ndoscopic findings such as size and lo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limited submucosal elevation was experienced in 17 cases (77%) in the biopsy group, significantly more frequent than 9 cases (45%) in the non-biopsy group (p=0.03). The colonoscopic findings which contribute to difficult submucosal elevation were the depressive scar formation after biopsy, the size less than 5 mm in the biopsy group, active ulcer formation after biopsy. Regarding the resection metho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as frequently adopted (23% vs. 5%) in the biopsy group. The frequency of endoscopic piecemeal resection in biopsy group was higher than non-biopsy group (23% vs 10%), and all cases were subsequently resected by other endoscopic methods. Conculsions: The post-biopsy scar can interfere with successful submucosal elevation for endoscopic resection of rectal carcinoids. The number of forcep biopsy should be minimized in the diagnostic colonoscopy when endoscopic resection is planned rectal carcinoid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36-4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