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와 타갈로그어(Tagalog) 대조 연구 -형태론적 특징과 어순을 중심으로-

        윤경원 ( Kyeong Won Yoon ) 겨레어문학회 2012 겨레어문학 Vol.48 No.-

        본 논문은 필리핀의 여러 언어 중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타갈로그어의 기본 특성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필리핀계 학습자들을 상대하는 한국어 교수자들이 쉽게 참고할 수 있는 기본 언어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선행 연구를 정리함으로써 타갈로그어의 기본 특성을 살펴본 다음 그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몇 가지 예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타갈로그어는 한국어와 같은 교착어적 특성이 강한 언어인 반면, 한국어와 달리 VSO 어순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어와 타갈로그어의 기본 어순에 기인하여, 두 언어 간에는 격 표지의 배치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러한 타갈로그어 격 표지에는 ``ang/si(주격)``과 ``ng(목적격)``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타갈로그어와 한국어의 형태론적 특성과 어순 중심의 대조 분석은, 필리핀계 학습자들을 교수하는 한국어 교사들이 실제교수 시 학습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대비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features in Tagalog, Filipino language, and to offer fundamental materials which can assist Korean teachers who teach Filipino learners. With this purpose, at the first, the basic features of Tagalog were examined through literary study. Then several examples reflecting those features were presented. As a result, these were revealed. First, Tagalog is one of agglutinative languages like Korean, but it shows VSO word order unlike Korean. Due to the basic word order of Tagalog and Korean, there are differences in case markers placement, and the case markers are such as ``ang/si(subjective)`` and ``ng(objective)`` in Tagalog. This study will be provid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ctual teaching field with practical helps.

      • 도시철도 인접지반 공동발생시 지하수위에 따른 노반 안정성 평가

        윤경원(Kyeong-Won Yoon),이성진(Sung-Jin Lee),박영곤(Young-Kon Park),이상승(Sang-Seung Lee),이동근(Dong-Geun Lee),전상수(Sang-Soo Jeon)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최근 국내 도심지역에서 노후관 누수로 인한 지반 토사 유실은 공동을 빈번하게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인한 지하수위 변화는 열차하중에 의한 노반의 침하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공동발생과 지하수위 변화로 인하여 노반이 허용 침하량을 초과한 경우 열차 탈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동 위치 및 크기, 지하수위의 파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차분해석 상용 프로그램 FLAC3D 를 이용하여 도시철도 인접지반에서 공동이 발생한 경우 지하수위에 따른 철도 노반 안정성 평가를 실시 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공동직경 10m 인 경우 궤도 중심으로부터 이격거리가 25m 이상, 지하수위가 지표면으로부터 22m 하부에 있는 경우에만 노반의 허용침하량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Leakage of aged pipelines in urban areas have induced ground loss frequently resulting in cavities. Train loadings associated with change of groundwater levels in an undiscerning development of urban areas induce roadbed settlements. Since train derailment occurs as the roadbed exceeds the allowable settlements, location and size of cavity and groundwater level should be figured out. In this study, the commercial program, FLAC3D, which is a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numerical code is used to do stablity analysis of roadbed associated with groundwater levels and cavities in adjacent to urban railway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roadbed satisfies the allowable settlements as the center of roadbed is greater than 25-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cavity and groundwater level is lower than 22m below ground surface for 10-m diameter of cavity.

      • KCI등재

        아동ㆍ청소년 한국어 학습자 유형 분류 방안

        윤경원 ( Yoon Kyeong-won ),박효훈 ( Park Hyo-hun ) 한민족어문학회 2021 韓民族語文學 Vol.- No.92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KSL) 학습자로 일원화되어 있는 아동ㆍ청소년 한국어 학습자를 보다 상세하게 유형화함으로써 이들에게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을 제공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동시에 한국어 학습자 요인에 중점을 두는 한국어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지금까지 이루어진 아동ㆍ청소년 한국어 학습자 유형 분류 방법을 분석하여 그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서 아동ㆍ청소년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문식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함을 제안한다. 이러한 학습자 유형 분류는 각 유형에 최적화된 한국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아동ㆍ청소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을 예측하고 범주화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부분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oke the need for KFL/KSL research which focuses on the learner factors while providing effective education to children and teenagers who are now simply unified as KSL learners. To this end, literature review preceded to analyze how the youth learners of Korean have been categorized so far, and to identify its limitations as well. It is suggested that changes of literacy circumstances experienced by the youth learners of Korean should be considered a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raised by the literature review. This typology will help teachers and reserchers to explore optimized KFL/KSL education for the youth learners. It is also essential part to predict and categorize the curriculum for the youth learners of Korean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present.

      • KCI등재후보

        학문 목적 한국어(KAP)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출판 논저의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윤경원 ( Kyeong Won Yoo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3 언어사실과 관점 Vol.31 No.-

        So far various research trends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in KFL/KSL research area, but none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AP). This paper presents a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of the studies on the KAP area which published between 2000(January) to 2013(April). Over all 232 research papers (journal articles 97, dissertations 135) came out during the time, and they were classified as per the research topics and the year published. The research topics were set up such as (1) teaching contents, (2) teaching methods, (3) instructional design, (4) teaching materials, (5) evaluation, (6) needs analysis, (7) learners, (8) corpus linguistics, (9) current status. The research periods of the KAP could be divided into (1) first stage (2000 to 2004), (2) second stage (2005 to 2008), (3) third stage(2009 to 2011), (4) forth stage(2012 to curr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KAP research articles and dissertations are unbalanced in topics, and the majority of them leant to the topics of teach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herefore for the future researches it should be much more various and expande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Finally, this is focused on quantitative analysis, so it is hard to comment such as theoretical framework. Thus qualitative analysis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후보

        중등교육과정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일고찰

        윤경원 ( Yoon Kyeong Wo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2 언어사실과 관점 Vol.29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aterial development method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taught in secondary school. So far, most KFL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education activities conducted by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Recently, several proposals have been made regarding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Korean for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but those studies were concentrating on young learners of early ages while the teenagers were out of the interests. However, teenager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increasing now, and some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lready have arranged the quota for foreign students separately. Therefore new Korean language learner`s group of teenagers is in growth, and it means that the studies on those teenagers are required now. This study will be relatively early step to the teenaged learners of KFL in public education system.

      • KCI등재

        가설기자재 관련 안전인증제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원방희(Bang-Hee Won),윤경원(Kyeong-Won Yoon),전상수(Sang-Soo J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국내·외 가설기자재 관련 제도 및 기준 등을 비교·분석하여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건설 산업에서 사용 중인 가설기자재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현재 사용되는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 이행실태를 파 악하기 위하여 생산·임대·사용의 가설기자재 관련 종사자에 대해 인터넷 설문조사 및 현장방문 인터뷰를 실시하여 통계분석 을 수행하고 안전인증제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전인증제도는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한국산업안전 보건공단의 ‘건설중대재해 사례와 대책’을 확인하면 건설재해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가설기자재 관련 종사자의 안전인 증품목 적절성에 대한 응답은 ‘예(36%)’, ‘아니오(30%)’, ‘잘 모르겠음(35%)’으로 현행 안전인증제도 적합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의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는 건설 환경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국외 가설기자재 및 신소재·신제품에 대한 인증 방안 모색과 재사용가설기자재 자율등록제 제도 보완 및 안전성 증대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행 안전인증제도의 인증대상 품목, 인증규격의 현실 적합성 및 인증방법 등을 검토한 후 안전인증제도 개선방향을 제시 하였다. In this study, the systems and standards for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esta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re examined to provide improvement schemes and to insure their safety. Statistical analyses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net and/or field visit surveys of employees working in manufacturing, leasing, and construction companies related to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and improvement schem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lementation of a safety certification system for currently used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This safety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enforced since 2009, but the number of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which are reported by the 'serious accident cases and measures in construction sites' group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has increased. The respondents' answers regarding the suitability of the items, which are required for the safety certification of the equipment and materials, were 'yes (36%)', 'no (30%)', and 'unknown (35%)'. Less than half of the answers regarding the current system were positive an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rrent system does not reflect the evolution of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A system is needed to approve items certified in foreign countries and newly developed materials and items, in addition to the (automatic) registration for the reuse of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s, and improvements are needed in their safety.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size and practicability of the items requiring approval from the current system, the certification methods are reevaluated and improvement schemes are provided for the system.

      •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잠재적 교육과정 분석 -젠더, 국적, 연령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박지순 ( Park Ji-soon ),윤경원 ( Yoon Kyeong-won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1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교재를 통해서 무의식적으로 학습하게 되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 가운데 학습자들이 한국과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첫인상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큰 초급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세 개 대학 기관의 교재를 분석한 결과, 이들 교재에는 젠더에 대한 편협한 시선과 국적에 대한 편향적 사고방식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등장인물의 성별에 따라 직업과 취미 활동 등이 달라지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교재의 집필진들이 지니고 있는 전통적 성 역할 및 성 고정관념이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또한, 국적에 따라서는 취미와 여가 생활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대화의 주도권 배분에서도 다소 간의 차이를 나타냈는데, 지리적으로 한국과 인접해 있거나 서구선진 국가 인물들이 여타 지역의 등장인물들보다 좀 더 능동적인 대화 참여자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대에 따른 고정 관념 역시 등장인물의 출현 횟수, 직업, 활동에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젠더와 국적, 세대에 대한 사회편견의 문제로 귀결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hidden curriculum that Korean learners will learn unconsciously through Korean textbooks. To this purpose, we analyzed three kinds of beginners Korean language coursebook considering that they are likely to give learners their first impressions of Korea and Korean language/ culture. The result showed that these coursebooks reflected a narrow view of gender and a biased way of thinking about nationality and race. Specifically, jobs and hobbies tended to vary depending on the gender of the characters, which could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gender stereotypes that the writers of the textbook hav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hobbies and leisure life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race,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hegemony in dialogue, with figures from geographically close or advanced western countries appearing to be more active participants than characters from other regions. Finally, the stereotype of generations was also reflected in the number of appearances, occupations, and activities of characters. This results in a problem of social bias against gender, nationality, race and generation.

      • KCI등재

        냉장고용 선반 패밀리금형의 유동 밸런스와 클램프힘 개선에 관한 연구

        박제홍(Je-Hong Park),윤경원(Kyeong-Won Yoon),고창오(Chang-Oh Ko),서상원(Sang-Won Seo),김수진(Su-Jin Kim) 한국생산제조학회 2014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23 No.6

        Injection molding industries realiz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family molds to improve competitiveness. One of the primary causes of manufacturing defective products is the imbalance of flow in a family mold. In this study, the family mold of a shelf for refrigerators is analyzed by using CAE software. First, the flow balance, clamping force, and injection pressure are analyzed for different gate diameters of two cavities. Second, the flow balance, clamping force, and injection pressure are improved when the two gate valves are open at different times. Finally, the results of filling analysis are compared with the test injection product.

      • KCI등재

        南韓地域 漢藥資源植物의 蒐集分類와 利用體系에 關한 硏究, II. 南韓地域 漢藥資源植物의 蒐集分類

        이종일,이상래,박병서,김영기,조영숙,박정로,전순실,윤경원,의수,조덕봉,Lee, Jong-Ill,Lee, Sang-Rae,Park, Bueng-Sue,Kim, Young-Kee,Cho, Yueng-Suk,Park, Jueng-Ro,Jun, Sun-Sil,Yun, Kyeong-Won,Yoon, Eui-Soo,Jo, Deog-Bong 한국자원식물학회 199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6 No.2

        Plant in chollabuk-do have investded 105 family, 442 species. 2. The order of distribution of the most family was the Compositae 43, Leguminosae Gramineae each 28, Rosaceae 17, Liliaceas 22, Labiatae 17, Ranunculaceae 12, Betulaceae 11, Violaceae 10, Polygonaceae Aspidiaceae each 9, Cruciferae${\cdot}$Caryothyllaceae${\cdot}$Celastraceae each 8, Fagaceae, Rubiaceae each 6, Ulmaceae 5. 3. Medical plants have invested 56 family, 116 species. 4. The order of the most family was the Compositae 8, Liliaceae Rosaceae${\cdot}$Umbelliferae${\cdot}$Labiatae each 6, Leguminosae${\cdot}$Rutaceae each 5, Campanulaceae${\cdot}$Ranunculaceae each 3, Simaroubaceae${\cdot}$Euphorbiaceae${\cdot}$Araliaceae each 2, Scrophulariaceae${\cdot}$Plantaginaceae each 1.

      • 교차터널 시공 시 도시철도 궤도 안정성 평가

        이상승(Sang-Seung Lee),박영곤(Young-Kon Park),이성진(Sung-Jin Lee),윤경원(Kyeong-Won Yoon),이동근(Dong-Geun Lee),전상수(Sang-Soo Jeon)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도시철도 운용기관은 인구의 유동이 많은 구간에 환승역을 건설하여 탑승자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환승 구간의 터널은 대부분 상, 하부로 엇갈려 시공하는 교차터널이며 터널 위 지상에는 높은 인구 유동성으로 인하여 고층 구조물이 지속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교차터널 및 지상구조물 시공은 기존 도시철도 주변 지반의 응력을 변화시켜 지하 구조물의 변형을 초래, 궤도틀림을 유발한다. 궤도틀림은 승차감 저하 및 레일마모를 발생시키며 열차의 탈선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차분해석 상용프로그램 FLAC3D를 이용, 지표면 상부에 구조물 하중이 재하 된 경우 도시철도 하부 교차터널 시공에 따른 궤도틀림량을 산정하여 궤도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교차터널 시공에 의한 도시철도 궤도의 수직 및 수평 변형을 유발시키며 수직변형에 의한 궤도틀림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anagement institutions for urban railways have constructed transfer station in high floating population areas to provide an easy transfer for passengers. Most of tunnels in transfer station are constructed across above and below each other. The construction of the tunnels and superstructures induces the stress variation of ground in adjacent to the existing urban railways, the transforma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and finally results in track irregularity. Track irregularity results in a rough ride, a wearing of rail, and even train derailment. In this study, the commercial program, FLAC3D, which is a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numerical code is used to do stability analysis of track by estimating track irregularity as the weight of superstructures is applied on ground surface and the intersection tunnel is constructed below the existing tunnel. Numerical results show that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formations are induced by the construction of intersection tunnels. Track irregularity is mainly induced by the vertical transformatio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