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화정책과 기업 설비투자: 자산가격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 분석

        박상준,육승환 한국은행 2018 經濟分析 Vol.24 No.4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monetary policy affect corporate investment or not,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asset price channel and the balance sheet channel among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mechanisms. Unbalanced dynamic panel model based on system GMM method is employed and annual financial statements data of Korean firms from 2000 to 2016 are used. For estimating the asset price channel, Tobin’s q i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for estimating the balance sheet channel, the cross products of liquidity asset ratio and call rate difference or liquidity asset ratio and rate of increase in monetary base are used as interaction in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debt ratio and operating profit ratio are included as the regressors. The dependent variable is investment ratio (the ratio of real investment amount to real tangible fixed asset amount). The empirical test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vestment at t and Tobin’s Q at t-1. Considering lowering policy rate possibly increase stock price, and then stock price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Tobin’s Q, the plus signal of Tobin’s Q means that the asset price channel of monetary policy func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efficient of liquidity asset ratio at the former period (t-1) is also estimated as plus – it means that there might b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s and banks. Meanwhile, the coefficient of interaction term which is the cross product of liquidity asset ratio and call rate difference is estimated plus and the one which is the cross products of liquidity asset ratio and rate of increase in monetary base is estimated minus. This means that the impact of liquidity asset on investment gets weaker during the time of easing monetary policy; therefore, the balance sheet channel of monetary policy fun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 estimation by firm size distribution shows that the impacts of the asset price channel and the balance sheet channel are stronger in the smaller firms. Besides, the impact of operating profit on investment is estimated more powerful in the smaller firms rather than in the larger firms. On the contrary, only the debt ratio coefficient of top 50% sized-firm group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minus sign.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in the aspects of firms’ investment during the time of tightening monetary policy, and external fund premium for smaller firms. 저자 : 박상준(와세다대학교), 육승환(금융통화연구실) <요약> 본 연구는 통화정책이 기업의 설비투자에 미치는 파급경로를 불균형 동태적 패널모형으로 분석하였다. 2000~2016년 중 우리나라 기업의 재무제표 데이터(연간)를 이용하여 자산가격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GMM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t-1기의 토빈 q는 t기의 투자율과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금리의 인하가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주가 상승이 토빈 q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유의적인 양의 값으로 추정된 토빈q의 계수는 자산가격 파급경로가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기 유동성자산의 계수도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은행과 기업 간에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유동성자산 비율과 콜금리 차분의 교차항은 양의 값을, 유동성자산과 본원통화 증가율의 교차항은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확장적 통화정책이 실시되고 있을 때에는 투자에 대한 유동성자산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차대조표경로가 작동하고 있음을 뜻한다. 기업을 규모별로 분류하여 추정한 결과,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자산가격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가 더 뚜렷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영업이익률의 투자에 미치는 영향력도 규모가 큰 기업보다는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채비율은 상위 50% 기업에서만 유의적인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 단위의 분석을 통해 통화정책의 자산가격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가 작동하여, 통화정책이 기업의 투자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 또한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기업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 규모별로 상이할 수 있음을 보인 것도 정책적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최저임금과 생산성: 우리나라 제조업의 사례

        김규일,육승환 한국은행 2020 經濟分析 Vol.26 No.1

        Recent discussions about a minimum wage increase (MWI) and its influence on the economy have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labor costs and employment. However, concerning the qualitative aspects, an MWI could have positive effects by enhancing firm productivity and crowding out marginal firms from the market. These positive effects of an MWI can offset, to some extent, its potential negative effects – increasing labor costs and decreasing employment, among others. In this regard we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an MWI on firm productivity (total factor productivity). Using firm level panel data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we calculate the influence rates of a minimum wage by sector and by firm size (number of workers), and analyze its effects on firm productivity.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functions of the firms are estimated by taking into account endogeneity among the input factors, in order to resolve the drawbacks of existing studies – underestimating the capital factor coefficient and overestimating the labor factor coefficient. This study finds that the influences of an MWI on wages, employment, and productivity are substantially different across sectors and firm sizes. While an MWI has shown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productivity growth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a whole, each sector demonstrates a different direction of effect, and the degree of productivity change also varies by sector. The impacts of an MWI on firm productivity are generally estimated to be more negative for smaller firms, but in some sectors the effects are found to be positive. In addition, the wage increases resulting from an MWI seem to cause a productivity enhancement across all secto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sidering the empirical findings that an MWI causes an increase in productivity in many sector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would be desirable to take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 negative side effects but also the positive effects of an MWI when designing any future minimum wage policy. Moreover, in spite of there being a uniform minimum wage, this study finds that the diverse influence rates of a minimum wage across firms have different impacts on wages, employment, and productivity across sectors or firm size. This finding could be conducive to discussions about differentiation among minimum wage schemes by sector or firm size. 최저임금 인상 관련 논의가 고용인원 수와 같이 양적 측면에 국한되면서 부정적 효과가주로 부각되어 왔지만, 최저임금 인상은 기업 또는 산업 특성에 따라 생산성 제고, 저생산성 한계기업 퇴출 등 질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최저임금 인상이 기업의 생산성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위해 제조업 부문의 사업체 단위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조업 내 업종별 ꞏ 고용규모별 최저임금 영향률을 추정하고 이를 기업의 생산성과 연계함으로써 최저임금 변화가 생산성에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생산함수 추정에서 기존 연구의 문제점인 요소투입의 내생성을 보정함으로써 자본계수 과소추정 및 노동계수 과대추정의 문제를 보완하였다. 분석 결과, 최저임금 인상이 임금, 고용,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별 ꞏ 고용규모별로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은 제조업 전반의 생산성 제고에 긍정적인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생산성 변화의 방향과 폭은 업종별로 상이했다.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규모별생산성에 미친 영향을 보면 전반적으로 고용규모가 작을수록 생산성에 부정적이지만 업종에 따라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유발된 임금 상승은 제조업 내 모든 업종에 걸쳐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상당수 업종에서 생산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추정된 만큼, 이를 최저임금 상승이 초래하는 노동비용 증가 및 고용 감소 효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게바람직하다. 아울러 동일한 최저임금 적용에도 불구하고 최저임금영향률의 차이로 인해 최저임금이 고용, 임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 ꞏ 규모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에 유념할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