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투자모델의 유형과 성과

        유희원 ( Hee Won Yu ),김성욱 ( Seong Wook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1

        이 글은 1980년대 이후 나타난 사회투자정책에 대한 강조가 국가별로 어떤 전개 양상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 그 성과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사회투자모델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투자와 소득보장제도와의 결합양식에 따라 둘 간의 대체적 관계가 나타나는 "사회투자국가"와 고전적 소득보장정책의 역할이 여전히 강조되는 "소극적 복지국가", 사회투자와 소득보장 수준이 높고 상호보완적 증감을 형성하는 "사회투자전략국가"로 유형화하고, 이들 유형의 경제 및 사회적 성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투자와 소득보장이 상호보완적인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해 인적자본확 충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률의 경우 적극적인 사회투자전략을 실시한 국가들이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고용률의 경우 사회투자전략국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투자국가도 일정한 성과를 보여 소득보장정책과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보다 큰 성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득불평등의 경우 `90년대 들어 사회투자국가의 소득불평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분배구조의 개선에 기여했던 기존 소득 보장정책이 사회투자정책으로 대체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소득 보장정책을 사회투자로 대체하는 복지국가 전략은 둘 간의 상호보완적 전략을 취하는 전략에 비해 경제 및 사회적 성과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attern of respective nation that has been emphasized the Social Investment policy and based on the result of which it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social investment model of Korean society. For such purpose, typology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ypes of combination pattern between social investment and income security policy such as the social investment state that indicates substitu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the passive welfare state that still emphasize the role of classical income security policy, and the social investment strategic state that shows higher social investment and income security causing mutual complementary increase or decrease based on which the economic and social outcome of those typology patterns were compared and exa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it revealed to have higher human capital increase effect of the countries indicating mutually complementary between social investment and income security compare to the countries otherwise. Second, in case of unemployment ratio, those countries that implemented active social investment strategy indicated lower unemployment ratio compare to the countries otherwise. Third, in the case of female employment ratio, the social investment strategic countries indicated the highest ratio but the social investment nation as well showed a certain result from which it could presume the possibility to achieve much bigger outcome through proper combination with income security system. Finally, in case of income inequality, in the `90s the social investment countries indicated the highest degree of income inequality which appears to be the result of substitution to social investment policy from existing income security policy that contributed to theimprovement of distribution structure. Consequently, it could be noticed that the strategy of welfare state that substitutes income security policy to social investment indicates relatively weak economic-social outcome compare to the strategy mutually comp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