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탈공업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토지이용변화

        유환종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1) the decline of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eindustrialization, 2) the characteristics of deindustrialized areas, 3) the land-use changes of factory-moved sites and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of the land-use changing patterns. The processes of deindustrialization had the spatial selectivity, which have brought about a mass of the plant closures and relocations at the old industrial areas in Seoul. In the 1960?s the deindustrialization by plant closures and relocations began to undergo at the urban core and its adjacent areas. And in the 1990?s, the deindustrialization has been appeared mainly at the old industrial areas (Semi-Industrial Zo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eindustrialization in Seoul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other advanced countries. Also, the patterns of land-use change tend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area and the process of urban restructuring. So, it is very important to apply the diversified management policies to each are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industrialized areas. And the great emphasis should be laid on the public land development to recapture betterments and to secure open space systematically. 본 논문은 최근 전개되고 있는 서울의 공간구조 변화를 제조업의 쇠퇴에 따른 탈공업화의 심화과정과 탈공업화가 탁월하게 나타나는 지역의 공간적 분포특성, 그리고 탈공업 지역의 공장이적지 토지이용변화와 지역 간 차별화된 토지이용 변화형태를 비교하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서울의 탈공업화는 공간적 선별성을 가지고 진행되어 1960년대에 도심과 주변지역에서 1차적으로 발생했던 대규모 공장이적지가 1990년대에 와서 2차적으로 기존의 공업집적지역이었던 준공업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탈공업화를 경험한 선진국에서 전개되었던 양상과는 분명히 다르게 전개된 것이다. 또한 공장이적지의 토지이용변화 형태는 공장이 위치했던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공장이적지의 발생과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접근은 전체 공간구조의 재편과정과 조화를 이루며, 탈공업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공장이적지의 향후 개발방식에 있어서 적극적인 공적 개입을 통한 공영개발방식을 도입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유기적인 주·공조화와 제조업 고용기반을 체계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동시에 공공용지 확보를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재정지원이 우선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서울시 공장이적지의 토지이용변화 -토지특성을 중심으로-

        유환종 국토지리학회 2004 국토지리학회지 Vol.38 No.4

        Since the 1990s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Seoul has been experienced absolute decline. Seoulhas suffered the decrease of nearly 1,950,000m2 in terms of the total floor space of factories. The purpose of thispaper is to understand the urban restructuring of Seoul in terms of deindustrializa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dthe land-use changes and the land characteristics of factory-moved sites between 1994 and 2002. The case studyareas in this paper cover Mullae1 dong, Yangpyeong dong, Shindorim dong, and Chang-Dobong dong. In theseareas, the nearly 70% of the entire factory sites at 1994 were converted into the other land-uses such as high-riseapartment houses, commercial and office buildings, and industrial vacancies. These land-use changes were closelyrelated with the rezoning, accessibility and parcel size. And the patterns of land-use change tend to be differentiated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area and the land characteristics of factory-moved sites. So, it is very importantto apply the diversified management policies to each are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industrializedareas and the factory-moved sites. And the great emphasis should be laid on the public land development torecapture betterments and to secure open space systematically. 1990년대 이후 서울의 제조업은 절대감소를 경험하여, 약 195만㎡에 달하는 공장용 건물연면적이 감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탈공업화의 관점에서 서울의 공간구조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42002년 기간 중탈공업화가 탁월하게 나타난 문래1동, 양평동, 신도림동, 창동, 도봉동의 5개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기존 공장부지의 토지이용변화와 토지특성을 분석하였다. 1994년 당시 공업용으로 사용되던 부지의 70%가 아파트, 상업업무용, 공업나지 등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토지이용변화에는 도시계획상 용도지역의 변경, 접근성, 그리고 부지면적 등이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또한 토지이용변화 패턴은 지역의 입지와 공장이적지의 토지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전개되었다. 따라서 탈공업지역과 공장이적지의 특성분석에 바탕한 공업지역 관리방안과개발이익의 사유화를 방지하고 체계적인 공공용지의 확보를 위한 공영개발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 페트리 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연출가능성 판단 및 일관성 검증 방법 연구

        유환종(Hwan-Jong Yu),우시연(Shee-Youn Woo),이승열(Seung-Yeol Lee),강태성(Tae-Sung Kang),임영환(Young-Hwan Lim)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B

        하이퍼 프리젠테이션은 기존의 순차적인 멀티미디어 연출에 하이퍼 미디어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비순차적인 연출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동기화 기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연출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러한 동기화 방법에 의해 혼합된 여러 프리젠테이션들간에 일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하이퍼 프리젠테이션 명시 프로그램을 Petri Net으로 모델링하여 주어진 하이퍼프리젠테이션의 연출가능성을 미리 판단하고자 한다.

      • H.263 인코딩 속도향상연구

        유환종(Hwan-Jong Yu),강의선(Eui-Sun Kang),강석찬(Seock-Chan Kang),김영환(Young-Hwan Kim),김진구(Jin-Goo Kim),임영환(Young-Hwan Lim)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Ⅱ

        PSTN(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에서 동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H.263 이라는 표준이 발표되었다. 저속의 전송률을 가지는 PSTN을 이용해서 영상회의나 영상전화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코딩방식으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문제점이 많았다. 이를 위해서 개발된 것이 H.263이다. H.263은 H.261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H.261에 비해서 동일화질을 제공하는데 반정도의 데이터 양으로도 가능하게 해준다. 영상 압축 Encoder는 일반적으로 Decoder에 비하여 영상을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VOD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 압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인코더가 많은 시간을 소비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는 반면에, 영상 회의나 영상 전화 등은 실시간 영상 Encoding, Decoding 을 수행해야 한다. 그리기 위해서 고가의 하드웨어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H.263을 소프트웨어만으로 Encoding 속도향성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 KCI등재

        국가 지역발전전략과 국토공간구조 개편방안

        권용우,유환종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4

        The importance of the mega-region is recognized from globalization and the global economic restructuring processes. In this context, the three-tire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Korean government keep the major implic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considering the world city system and global city-region network, and to suggest the reshaping plan of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Korea. The Economic Regions and the Supra-Economic Regions should lead the development of the our country and maximize the global competition of the nation. In addition, the Global Economic Regions which are able to compete with the enormous economic regions of the world (mega-regions or global cityregions), and the Global Supra-Economic Region which is able to connect with the global economy and the world city system will be needed. 세계화와 세계경제 통합과정에서 일정 규모와 잠재력을 지닌 광역권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현 정부의 광역경제권과 초광역개발권 중심의 지역발전전략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발전정책을 국가 및 세계도시체계의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현재 추진하고 있는 광역경제권과 초광역개발권은 ‘세계-국가-지역 도시체계’의 연결고리로서 국토의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의 글로벌 역량을 극대화하는 견인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세계의 거대 경제지역, 즉 메가지역 또는 세계도시지역들과 경쟁할 수 있는 초광역경제권과 이를 세계경제와 세계도시체계로 연결할 수 있는 글로벌 초광역개발권의 중층적인 개발전략을 병행하여, 세계화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국토 공간구조의 개편방안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