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응집과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특성

        李元鎬,柳洪悳,閔庚國 충주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2 産業科學論文集 Vol.10 No.-

        In this research, study about removal of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using coagulation and AOP precesses was conducted. Samples of this study are concentrated wastewater produced in membrane process treating swine wastewater. In first research, study of coagulation process before advance oxidation process was conducted. For the coagulation process, aluminum sulfate(Alum) and ferric chloride(FeCl_3) were used as coagulants. Optimum reaction conditions of alum are pH 6 and coagulant dosage 1500 mg/L. Otherwis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of ferric chloride are pH 4 and coagulant dosage 500 mg/L. In second research,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under the pH and coagulants dosage being adjusted to optimum conditions in first research was conducted. Optimum condition for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is pH 6 in fenton oxidation process. At this time, removal efficiency of TCOD_Cr and UV-254 are 77 and 88%, respectively. Removal efficiency of these process than coagulation using alum or ferric chloride is increased about 14%.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reated by UV/H_2O_2 and ozone(O_3) after alum coagulation process is very high in alkaline condition among pH 2, 6 and 12. Removal efficiencies of TCOD_Cr in fenton, alum/O_3 and alum/UV/H_2O_2 processes are 77, 74 and 69%, respectively. Therefore,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reated by in fenton is very high.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between TCOD_Cr and UV-254 is different from equal sample. Because measurement of UV-254 is interfered with color and particle in swine wastewater itself. Therefore, measurement of organic matter is desirable value of TCOD_Cr than UV-254

      • KCI등재

        가축분뇨실태조사를 위한 양분수지 산정 모델 개발

        김덕우,유홍덕,임도영,정유진,김용석 한국물환경학회 2017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3 No.6

        Nutrient (i.e., nitrogen and phosphorus) budgets are required under a 'Livestock Excreta Survey'. Nutrient budget is one of the agri-environmental indicators that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inputs and outputs of amount of nutrients within a certain boundary and for a period (e.g., 1 year). In this study, a nutrients budget model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determine the surplus of nutrients within a region in Korea. C# program language was us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ploymen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to enhance compatibility. Also the model was developed on Windows OS which is the commonly used operating system in Korea. The model was based on the OECD/Eurostat nutrient budget method and modified to consider manure composting procedures as well. There are key features of the nutrient budget model including directly use of original data sets from various input and output sources, and collectively exchange of the address in different formats. The model can quickly show the results in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with the same data, perform the sensitivity analysis with coefficients and easily compare the results using tables and graphs. Further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utilization, such as the application of various nutrient budget methods, and both pre and post processings such as linking input data through online etc.

      • KCI등재

        기술노트 : 수질개선을 위한 축산계 오염물질 관리방안에 대한 고찰

        안기홍 ( Kihong Ahn ),유홍덕 ( Hongdeok Ryu ),김용석 ( Yongseok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15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1 No.5

        In recently, the Korea government is concerning on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to improve water quali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measurement for management of livestock wastes.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National Pollution Source Survey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unified database system with the Korea Statistics(KOSAT)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relevant data. The investigation for environmental impact of livestock manure should be supported the designation of control areas and establishment of the technical guidelines including target material, monitoring site, standard method, etc. In addition, it should be followed by appropriate nutrient recycling and proper fertilizer usage based on social consulta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 가축분뇨의 효율적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수집·운반·재활용 시설을 중심으로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손대희 ( Son Daehee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유홍덕 ( Ryu Hongdeok ),정유진 ( Chung Eugene ),김경현 ( Kim Gyeonghye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환경부에서 발간한 가축분뇨 발생 및 처리현황 통계(2020년)에 의한면 주요 축중(한육우, 젖소, 돼지, 닭)의 경우 201,745개소의 축산농가에서 264,477천두의 소, 돼지 등을 사육하고 있으며, 전년에 비해 한우 및 돼지의 사육은 소폭 증가하고, 우유 소비량 감소로 인한 젖소의 사육은 감소 추세를, 닭의 사육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가축사육 두수가 증가됨에 반해 소규모 축산농가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형화, 집약화 등 기업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요 축종의 가축분뇨 발생량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약 17만 ㎥/일을 유지하다가 2018년에는 185,096 ㎥/일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축분뇨 발생량은 원단위가 큰 돼지 등의 사육두수에 크게 의존하며, 돼지의 사육두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축분뇨 발생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관련영업(수집·운반) 업체 및 재활용 시설을 대상으로 가축분뇨 관리의 문제점을 현장조사를 통해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가축분뇨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축분뇨관련 영업(수집·운반) 업체는 458개소를 전수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축종별 현황은 돼지가 292개소(88%), 소 28개소(8%), 젖소 5개소(1.9%), 닭 8개소(2%), 말 1개소(0.1%) 순으로 조사되었다. 가축분뇨 대상 물질(분 38개소(11%), 요 157개소(47%), 분뇨혼합 139개소(42%)), 가축분뇨 일평균 처리량(분 41.1 톤, 요 62.8 ㎥, 분뇨혼합 64.7 톤), 종사인력(수집운반기사 2.2명, 사무직 0.7명, 대표자 1.2명), 장비(20톤 이상 0.9대, 20톤 이하 1.4대) 등으로 조사되었다. 가축분뇨 수집·운반 관련 최종 이동경로는 공공하수처리시설 6개소(2%),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정화처리) 171개소(51%),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자원화처리) 15개소(5%), 자원화시설 111개소(33%), 농지 31개소(9%)로 조사되었다. 가축분뇨 재활용 시설은 333개소를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대상별로 구분하면 퇴비 생산업체는 294개소, 액비 유통업체는 11개, 공동자원화시설은 28개소를 조사하였다. 가축분 퇴비의 원료는 돈분, 우분, 계분, 마분 등이었고 혼합원료와 단독원료 사용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혼합원료는 돈우계분이 44.3%로 가장 높았고 단독원료는 계분이 15.0%로 조사되었다. 전수조사 등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이슈를 도출하였고 가축분뇨법에 근거하여 가축분뇨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가축분뇨 부숙 퇴비·액비의 비료성분 및 중금속 함량 분포특성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손대희 ( Son Daehee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유홍덕 ( Ryu Hongdeok ),정유진 ( Chung Eugene ),김경현 ( Kim Gyeonghye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현재 가축분뇨 관리정책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가축분뇨를 퇴비 및 액비로 자원화라는 긍정적 측면의 이면에는 환경에 대한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농경지에 퇴비 및 액비의 무분별한 살포는 필요 이상의 양분(질소 및 인 등)이 토양에 과잉으로 축적된다. 이는 강우 시 지하수 및 주변 하천, 호소로 유출되어 수질을 악화시킨다. 특히, 가축분뇨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암모니아성 질소는 수생태계에서 독성을 유발시키며, 오염 부하량 측면에서도 가축분뇨에 함유된 유기물, 질소 및 인의 농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비록 적은 양이 환경에 유입되어도 그 영향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시설 중에서 퇴비 생산시설 294개소, 액비생산시설 19개소, 퇴비와 액비를 같이 생산하고 있는 시설 10개소를 선정하여 가축분뇨 부숙 퇴비·액비의 비료성분 및 중금속 함량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퇴비 및 액비의 검사용 시료 채취방법 및 수량, 운반, 보존, 분석은 비료의 품질검사방법 및 시료채취기준 고시 4조(농촌진흥청 고시)의 기준을 준수하였다. 분석항목은 품질검사방법 및 시료채취기준 고시 6조(이화학적 검사방법 등)와 7조(판정기준)의 검사방법대로 검사를 실시하고 기준을 판정하였다. 가축분퇴비 분석항목은 유기물, 비소, 카드뮴, 수은, 납, 크롬, 구리, 니켈, 아연, 대장균(O157:H7), 살모넬라, 유기물대 질소의 비, 염분, 수분, 부숙도, 염산불용해물, 질소전량 및 암모니아성질소 등 18개 항목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항목은 산술평균, 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분산, 중간값과 백분위수(95%ile, 75%ile, 25%ile, 5%ile), 변동계수, 표준오차 및 피어슨상관계수이다. 가축분 퇴비의 통계분석 결과, 유기물의 평균값(범위)은 40.6%(11.8∼81.0)이었고, 유해성분의 평균값(범위)은 납이 12.4 mg/kg(1.5∼99.2), 크롬은 14.5 mg/kg(0.2∼193.9), 구리가 149.3 mg/kg(12.9∼688.0), 니켈은 8.6 mg/kg(0.6∼137.5), 아연은 597.2 mg/kg(8.6∼3,132.0)로 조사되었다. 액비의 통계분석 결과, 질소전량, 인산전량 및 칼리전량의 평균값(범위)은 각각 0.22%(0.05∼1.22), 0.06%(0.01∼0.35) 및 0.33%(0.12∼0.74)이였고, 유해성분의 평균값(범위)은 크롬이 2.9 mg/kg(0.2∼8.7), 구리가 20.4 mg/kg(1.6∼74.1), 니켈은 1.3 mg/kg(0.4∼4.2), 아연은 79.8 mg/kg(3.0∼340.7)로 조사되었다. 일부 조사대상시설에서는 구리와 아연이 공정규격을 초과하였는데 이는 구리 및 아연 등 광물질이 포함된 사료를 사용한 시설로 조사되었으며, 이로 인해 돈분에 검출되었을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가축분뇨의 효율적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수집·운반·재활용 시설을 중심으로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손대희 ( Son Daehee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유홍덕 ( Ryu Hongdeok ),정유진 ( Chung Eugene ),김경현 ( Kim Gyeonghye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환경부에서 발간한 가축분뇨 발생 및 처리현황 통계(2020년)에 의한면 주요 축중(한육우, 젖소, 돼지, 닭)의 경우 201,745개소의 축산농가에서 264,477천두의 소, 돼지 등을 사육하고 있으며, 전년에 비해 한우 및 돼지의 사육은 소폭 증가하고, 우유 소비량 감소로 인한 젖소의 사육은 감소 추세를, 닭의 사육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가축사육 두수가 증가됨에 반해 소규모 축산농가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형화, 집약화 등 기업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요 축종의 가축분뇨 발생량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약 17만 ㎥/일을 유지하다가 2018년에는 185,096 ㎥/일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축분뇨 발생량은 원단위가 큰 돼지 등의 사육두수에 크게 의존하며, 돼지의 사육두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축분뇨 발생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관련영업(수집·운반) 업체 및 재활용 시설을 대상으로 가축분뇨 관리의 문제점을 현장조사를 통해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가축분뇨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축분뇨관련 영업(수집·운반) 업체는 458개소를 전수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축종별 현황은 돼지가 292개소(88%), 소 28개소(8%), 젖소 5개소(1.9%), 닭 8개소(2%), 말 1개소(0.1%) 순으로 조사되었다. 가축분뇨 대상 물질(분 38개소(11%), 요 157개소(47%), 분뇨혼합 139개소(42%)), 가축분뇨 일평균 처리량(분 41.1 톤, 요 62.8 ㎥, 분뇨혼합 64.7 톤), 종사인력(수집운반기사 2.2명, 사무직 0.7명, 대표자 1.2명), 장비(20톤 이상 0.9대, 20톤 이하 1.4대) 등으로 조사되었다. 가축분뇨 수집·운반 관련 최종 이동경로는 공공하수처리시설 6개소(2%),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정화처리) 171개소(51%),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자원화처리) 15개소(5%), 자원화시설 111개소(33%), 농지 31개소(9%)로 조사되었다. 가축분뇨 재활용 시설은 333개소를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대상별로 구분하면 퇴비 생산업체는 294개소, 액비 유통업체는 11개, 공동자원화시설은 28개소를 조사하였다. 가축분 퇴비의 원료는 돈분, 우분, 계분, 마분 등이었고 혼합원료와 단독원료 사용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혼합원료는 돈우계분이 44.3%로 가장 높았고 단독원료는 계분이 15.0%로 조사되었다. 전수조사 등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이슈를 도출하였고 가축분뇨법에 근거하여 가축분뇨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가축분뇨 부숙 퇴비·액비의 비료성분 및 중금속 함량 분포특성

        안태웅 ( Ahn Taeung ),강성주 ( Kang Seongju ),김동민 ( Kim Dongmin ),손대희 ( Son Daehee ),이흥수 ( Lee Heungsoo ),오정국 ( Oh Jungkuk ),유홍덕 ( Ryu Hongdeok ),정유진 ( Chung Eugene ),김경현 ( Kim Gyeonghye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현재 가축분뇨 관리정책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가축분뇨를 퇴비 및 액비로 자원화라는 긍정적 측면의 이면에는 환경에 대한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농경지에 퇴비 및 액비의 무분별한 살포는 필요 이상의 양분(질소 및 인 등)이 토양에 과잉으로 축적된다. 이는 강우 시 지하수 및 주변 하천, 호소로 유출되어 수질을 악화시킨다. 특히, 가축분뇨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암모니아성 질소는 수생태계에서 독성을 유발시키며, 오염 부하량 측면에서도 가축분뇨에 함유된 유기물, 질소 및 인의 농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비록 적은 양이 환경에 유입되어도 그 영향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시설 중에서 퇴비 생산시설 294개소, 액비생산시설 19개소, 퇴비와 액비를 같이 생산하고 있는 시설 10개소를 선정하여 가축분뇨 부숙 퇴비·액비의 비료성분 및 중금속 함량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퇴비 및 액비의 검사용 시료 채취방법 및 수량, 운반, 보존, 분석은 비료의 품질검사방법 및 시료채취기준 고시 4조(농촌진흥청 고시)의 기준을 준수하였다. 분석항목은 품질검사방법 및 시료채취기준 고시 6조(이화학적 검사방법 등)와 7조(판정기준)의 검사방법대로 검사를 실시하고 기준을 판정하였다. 가축분퇴비 분석항목은 유기물, 비소, 카드뮴, 수은, 납, 크롬, 구리, 니켈, 아연, 대장균(O157:H7), 살모넬라, 유기물대 질소의 비, 염분, 수분, 부숙도, 염산불용해물, 질소전량 및 암모니아성질소 등 18개 항목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항목은 산술평균, 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분산, 중간값과 백분위수(95%ile, 75%ile, 25%ile, 5%ile), 변동계수, 표준오차 및 피어슨상관계수이다. 가축분 퇴비의 통계분석 결과, 유기물의 평균값(범위)은 40.6%(11.8∼81.0)이었고, 유해성분의 평균값(범위)은 납이 12.4 mg/kg(1.5∼99.2), 크롬은 14.5 mg/kg(0.2∼193.9), 구리가 149.3 mg/kg(12.9∼688.0), 니켈은 8.6 mg/kg(0.6∼137.5), 아연은 597.2 mg/kg(8.6∼3,132.0)로 조사되었다. 액비의 통계분석 결과, 질소전량, 인산전량 및 칼리전량의 평균값(범위)은 각각 0.22%(0.05∼1.22), 0.06%(0.01∼0.35) 및 0.33%(0.12∼0.74)이였고, 유해성분의 평균값(범위)은 크롬이 2.9 mg/kg(0.2∼8.7), 구리가 20.4 mg/kg(1.6∼74.1), 니켈은 1.3 mg/kg(0.4∼4.2), 아연은 79.8 mg/kg(3.0∼340.7)로 조사되었다. 일부 조사대상시설에서는 구리와 아연이 공정규격을 초과하였는데 이는 구리 및 아연 등 광물질이 포함된 사료를 사용한 시설로 조사되었으며, 이로 인해 돈분에 검출되었을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