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동물세포의 유가배양 공법에 의한 Erythropoeitin 생산에 관한 동력학적 연구

        유호금,최석규,이윤수,신광순,황희구,이현용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9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5

        유전자 재조합된 동물 세포의 유가 배양시 $1.85\times 10^{-10}$(mmole/cell/h)의 비 glucose 소비속도와 $4.7\times 10^{-7}(\mu g/ceil/h)$의 erythropoetin (EPO)비 생산속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이같은 배양에서 회분 및 연속배양에서 보다 높은 세포수를 얻었으며 전 배양이 유사 안정상태에 도달하는 배양 후기에는 glutamolysis가 생육 공정에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음이 확이됐다. 유가 배양시 13(mmloe/l)의 glucose 농도에서 생육 제한 현상이 일어났으며, 이같은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glucos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양시간의 경과와 함께 EPO 생산성이 증가했다. $1.85\times 10^{-10}$ (mmole/cell/h) of specific glucose consumption rate was obtained under fed-batch cultivation of recombinant mamalian ce11s with maintaining $4.7\times 10^{-7}(\mu g/ceil/h)$ of average specific erythropoeitin production rate. Higher maximum cell density was also achieved than for both cases of batch and perfusion cultivations. It proves that glutamolysis dominates metaboiic pathways at latter period of cultivation where quasi steady state was maintained. Substrate limitation of glucose concentration was estimated as 13 (mmole/l) under fed-batch conditions. while specific product production rate was decreased according to cultivation time, erythropoeitin production was increased as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media increased up to 13.2 (mole/l).

      • SCOPUSKCI등재

        Kinetics of Cultivating Mammalian Cells in Fed-Batc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rythropoeitin

        Yu, Ho Kuem,Choi, Suk Kyu,Lee, Youn Soo,Shin, Kwang Soon,Hwang, Hee Koo,Lee, Hyeon Yong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5

        유전자 재조합된 동물 세포의 유가 배양시 1.85×10 exp(-10)(mmole/cell/h)의 비 glucose 소비속도와 4.7×10 exp(-7)(㎍/cell/h)의 erythropoeitin(EPO)비 생산속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이같은 배양에서 회분 및 연속 배양에서보다 높은 세포수를 얻었으며 전 배양이 유사 안정상태에 도달하는 배양 후기에는 glutamolysis가 생육 공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유가 배양시 13(mmole/l)의 glucose 농도에서 생육 제한 현상이 일어났으며, 이같은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glucos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양시간의 경과와 함께 EPO 생산성이 증가했다. 1.85×10 exp(-10)(mmole/cell/h) of specific glucose consumption rate was obtained under fed-batch cultivation of recombinant mamalian cells with maintaining 4.7×10 exp(-7)(㎍/cell/h) of average specific erythropoeitin production rate. Higher maximum cell density was also achieved than for both cases of batch and perfusion cultivations. It proves that glutamolysis dominates metabolic pathways at latter period of cultivation where quasi steady state was maintained. Substrate limitation of glucose concentration was estimated as 13 (mmole/l) under fed-batch conditions, while specific product production rate was decreased according to cultivation time, erythropoeitin production was increased as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media increased up to 13.2(mole/l).

      • SCOPUSKCI등재

        Dunaliella salina 의 광 제한 현탁 연속배양에 의한 ${\beta}$-carotene 의 생산

        박영식,유호금,오상집,이현용,Park, Young-Shik,You, Ho-Keum,Ohh, Shang-Jip,Lee, Hyeon-Yong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199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1 No.4

        It was proved that the cell growth followed a photo-inhibition model in light-limited turbidostat cultivation, having 1.06 (1/h) of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and 0.00094(kcal/$cm^2$/h) and 0.063 (kcal/$cm^2$/h) as half saturation and light inhibition constants, repectively. ${\beta}$-carotene production showed a growth related porcess. And the activation energy of Dunaliella salina was roughly estimated as 12.36 (kcal/mole) in employing Arrhenius relationship. It should also point out that relatively much porduction of ${\beta}$-carotene was observed at hight light intensity with yieding 1.04 (mg-carotene/g-dry cell/day) of specific product production rate while the cell growth was decreased. The optimal conditions of producing ${\beta}$-carotene in turbiodostat cultivation were as follows: $7.5{\times}10^{-3}$(kcal/$cm^2$/h)of light intensity, 2 (mM) and 50(mM) of nitrate and sodium bicarbonate concentrations and 100(ml/h) of $CO_2$ flow rate.

      • SCOPUSKCI등재

        Dunaliella salina의 광 제한 현탁 연속배양에 의한 β-carotene의 생산

        박영식,유호금,오상집,이현용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1 No.4

        β-carotene의 생산을 위해서는 배양조에 조사되는 광원이 중요한 생육조절 변수임이 확인됐으며, 높은 빛의 강도에서는 균체 생육이 저해되는 photo-inhibition model을 따르는 반면 β-carotene의 생산은 크게 영향을 받지않고 다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조사되는 광원에 기인된 배지내 온도변화에 따른 균체 생육은 Arrhenius 관계식을 따랐다. 특히 pH 조절을 위해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는 무기 탄소원의 일부가 균체 생육에는 사용돼나 β-carotene의 합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이 입증됐다. 이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탁 연속 배양시 β-carotene의 생산을 위한 빛의 강도, 이산화 탄소의 유입속도, 질소 및 탄소원의 농도 등과 같은 생육 변수들의 최적 조건이 확립됐다. 이와 함께 빛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체 에너지 전환 수율은 감소하는 반면 β-carotene으로의 에너지 전환 수율은 상대적으로 일정한 수치를 나타냄으로서, β-carotene의 최대 생산을 위해서는 공정 및 생육 변수들의 최적화를 위한 보다 복합적인 연구가 추진돼야 할 것이다. It was proved that the cell growth followed a photo-inhibition model in light-limited turbidostat cultivation, having 1.06 (1/h) of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and 0.00094 (㎉/㎠/h) and 0.063 (㎉/㎠/h) as half saturation and light inhibition constants, repectively. β-carotene production showed a growth related process. And the activation energy of Dunaliella salina was roughly estimated as 12.36 (㎉/㏖e) in employing Arrhenius relationship. It should also point out that relatively much production of β-carotene was observed at high light intensity with yielding 1.04 (mg-carotene/g-dry cell/day) of specific product production rate while the cell growth was decreased. The optimal conditions of producing β-carotene in turbidostat cultivation were as follows: 7.5×10exp(-3) (㎉/㎠/h) of light intensity, 2 (mM) and 50 (mM) of nitrate and sodium bicarbonate concentrations and 100 (㎖/h) of CO_2 flow rate.

      • SCOPUSKCI등재

        Spirulina platensis를 이용한 축산 폐수처리 및 고단백 사료원의 생산

        성기흔,이정호,박영식,김현규,유호금,오상집,이현용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2

        축산 폐수로부터 새로운 고단백 사료원의 생산 및 축산 폐기물 처리의 이중적 효과를 얻기 위해 pilot 규모의 광 배양조를 이용해 광합성 미세 조류인 Spirulina plantenis를 회분 배양했다. 30%의 폐기물이 있는 배지를 사용해 배양한 결과 0.31(1/day)의 비생육 속도와 0.170의 생체 에너지 전환 수율을 얻었다. 이는 순수 배양에서 얻을 수 있는 결과인 0.71(1/day)와 0.545의 전환 수율과 비교해 낮은 수치이나 폐수처리가 가능하며 약 0.29(g-dry wt./L) 이상의 일정균체 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최적 희석 배율은 배지 부피당 약 20%로 계산됐다. 부영영화의 주원인인 질산과 인산 염은 희석 농도에 따라 다르지만 COD와 함께 배앙 처리후 약 50% 이상 제거?? 제거 속도는 축산 폐기물의 희석 농도에 크게 영향받는 것을 확인했다. 이같이 생산된 biomass는 70% 이상의 고단백질과 10%이하의 낮은 농도의 지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일반 사료원에서 부족되기 쉬운 lysine, methionine 등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을 풍부히 포함하고 있어 새로운 사료원으로서 그 가치가 클 것으로 평가된다. Microalga, Spirulina platensis has been cultivated in a pilot scale photo-bioreactor to treat wastewater and to produce high protein feedstocks from swine waste containing medium. 0.31(1/day) of specific growth rate and 0.170 of bioenergeric yield were obtained from batch cultivation in 30% waste containing medium, compared to 0.71(1/day) and 0.545 from clean culture. An optimal dilution concentration was decided as 20% of working volume, based upon the cell growth and biomass productivity. The removal rate of nitrates in the wastewater was decreased as the adding concentration of wastewater was increased while the decrease of total phosphates was reversed, showing 0.33(1/day) and 0.30(1/day) of rate constants for nitrate removal in 10% addition and for phosphate removal in 30% addition, respectively.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mino acid profile of the biomass were superior to those of commerically available health food product, Spirulina s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