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소기업 해외동반진출 사업의 성과와 그 영향요소의 상대적 중요성: 한류연계와 해외홈쇼핑 사업을 중심으로

        유혜방,정진섭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8 국제경영리뷰 Vol.22 No.1

        Recently, the growth engine of the Korean economy has been falling. In particular, the growth centered on existing large enterprises has been now showing a limited effect on the vitality of the national economy, such as job creation, due to a decrease of ‘trickle down effect’. Moreover, Korea’s domestic market is small. In order for companies to grow, overseas advancement is inevitable. In this situation, it is a meaningful attempt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and factors' relative importance of joint businesses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Es entering into overseas together.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es of th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ve-related’ and ‘Overseas Home Shopping’ business by the ‘Large and Small Business, Agriculture and Fishery Cooperation Found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on SMEs, it is found that cooperation activities in ‘product’, ‘market expansion’, ‘related synergy’, and ‘business context’ are generally positive in terms of the degree of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and dependent variables (corporate performance). Specificall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level of product, market, and related synergy increased, positive effect was shown on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and no significant statistical results were found on the ‘business context’. However, in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positive results were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were as follows, based on the factors and components selecte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industry experts in order to measu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volved variables. In case of large-items, ‘marke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roduct’, ‘business context’, and ‘related synergy’. In terms of sub-items, ‘product promo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roduct improvement’, ‘new market’, ‘existing market’, ‘online market’, ‘improvement of relations’, ‘front-to-back synergy effect’, ‘information acquisition’, ‘image improvement’, and ‘other competitiveness’. In addition, we analyzed respective “Korean Wave-related” and “Overseas Home Shopping” busin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usiness, and finally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최근 한국경제의 성장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 특히 기존 대기업 중심의 성장은 이제 낙수효과가 떨어져 일자리 창출 등 국가경제의 활력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더구나 한국의 내수 시장은 규모 등 한계가 있어 기업들이 성장하기 위해서 해외진출은 불가피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해외로 진출하는 동반진출사업의 성과와 그 성과에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은 의미 있는 시도라고 판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서 ‘한류연계’ 사업과 ‘해외홈쇼핑’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품, 시장 확대, 관련시너지, 경영여건분야의 활동은 대․중소기업 간의 ‘협력정도’라는 매개변수와 동반진출한 기업의 성과라는 종속변수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의 실증결과, 제품, 시장, 관련시너지의 경우, 그 수준이 증가할수록 동반진출 기업성과에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경영여건의 경우, 유의미한 통계적 결과가 나타났지 않았다. 그러나 단순회귀분석에서는 유의미한 긍정적 결과가 도출되어, 이 변수 역시 성과와 관계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한편, 동반진출한 기업의 성과와 관련된 변수의 중요도 측정을 위해, 연구모형을 수립하여 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 항목의 경우, ‘시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제품’, ‘경영여건’ 순으로 중요하다고 분석되었고, ‘관련시너지’가 제일 낮게 나타났다. 하위 항목 중요도의 경우, ‘제품 홍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제품 개선, 신시장, 기존 시장, 온라인 시장, 관계 개선, 전ㆍ후방 시너지 효과, 정보획득, 이미지 개선, 기타 경쟁력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한류연계 사업과 해외홈쇼핑 사업으로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각 사업별 특징에 따른 시사점도 도출하였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제조업의 혁신 생태계와 대학의 역할: 충청권의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정진섭,유혜방,김장훈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2

        Until now, extant research has focused on fundamental change of future society in the a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re are little studies on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value creation and sustainable growth of regional community. At this moment, this study is to seek sustainability in regional society of Chungcheong-do through value cre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benchmarking result, we recognized that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depends on manufacturing innovation platform and innovative cluster revitalization. In other words, authors identified collaboration among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as well as regional based innovation spill-over in building innovative cluster. In addition, this research based on survey data tried to analyze relative importance on factors influencing innovative cluster in the region of Daejeon,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Province.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there was regional difference in relative importance in terms of start-up, cash grant and policy support.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role of university has a little effect on helping to flourish innovative cluster. Nevertheless, educational innovation of university still remains important to nourish potential human power with convergence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 the e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ill be indispensible to reflect the voice of industry, government and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right people in the digital age. 지금까지 4차 산업혁명의 출현을 맞아 미래 사회의 변화를 논의하는 시도는 다수 있어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 지역사회의 가치창출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다룬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고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충청권의 가치창출 고도화를 통한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요국의 벤치마킹을 실시한 결과, 제조업 분야의 성공적 디지털 전환은 제조업의 플랫폼 구축과 혁신 생태계 활성화에 좌우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즉, 지역 중심의 혁신이 창출되고 확산되는 한편, 산학연관의 협력이 혁신 생태계 구축에 긴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전, 충남 및 충북지역의 기업인 대상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제조업 생태계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창업, 자금지원 및 정책지원을 중심으로 상대적 중요도에 있어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다만 예상과 달리 대학의 역할이 제조업 혁신 생태계 활성화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육의 혁신은 융·복합 역량을 지닌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력양성에 꼭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래 사회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선도적 인재육성에 대한 중요한 책임은 기업, 정부 뿐 아니라 (그 역할이 변화된) 대학 중심의 플랫폼 구축과 혁신 생태계 활성화에 달려 있다.

      • KCI등재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기회의 발견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서열기,유혜방,정진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1

        As youth unemployment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recent years, securing new growth engines through job creation and business startups has become a top priority for national policy. Start-ups contribute to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d region through job creation. In particular, in the early stages of startups, it focuses on individual or small companies, creating new employment and creating a business model that combines diversity and flexibility, contributing to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innovation. In the fa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raze is encouragi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encourage startups to revitalize the economy. The Chinese government is also making efforts to create an innovative start-up environment with the motto of "大衆創業 萬衆革新 (It is called the ‘twin-changing policy’ and means everyone should innovate.)". The opportunities discovery of founding (or start-up) is mostly due to accidental encounter or founding opportunities related to existing businesses, and low intentional and exploratory cases. However, it cannot be asserted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s are irrelevant to discovering and exploiting the founding opportunities of start-up. The model of this study selected entrepreneurship (consisting of 'innovation', 'progressiveness' and 'risk susceptibility') and 'self-efficacy' a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founders through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 opportunities discovery of the start-up (or founding) as a mediating parameter and the opportunities exploitation of the start-up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Chinese founder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240 sample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s (innovation, enterprising, risk sensitivity, self-efficacy) are generally determined by a mediating variable (or 'the opportunity discovery of start-up') and a dependent variable (or ‘the opportunity discovery of start-up').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the opportunities discovery of start-up showed positive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 dependent variable (or ‘the opportunity discovery of start-up'). This suggests that not onl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s, but also the parameter of the opportunity discover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opportunity exploitation of start-up. In addition, the conclusion section presented various related strategic implications. 최근 들어 청년 실업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면서 일자리창출과 창업 활성화를 통한 신성장 동력의 확보가 국가정책의 최우선 과제가 되고 있다. 창업은 일자리창출 등을 통해 국가 및 지역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기여한다. 특히 창업 초기에는 개인 또는 소규모의 기업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고용창출과 다양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조하여 혁신을 통한 경제발전에 기여한다.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직면하여 세계 각국이 경제 활성화를 위해 창업을 장려하는 열풍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정부 역시 “대중창업 만중혁신(大衆創業 萬衆革新)”을 모토로 제시하고 혁신적 창업환경 조성에 노력하고 있다. 창업기회의 발견은 우연적으로 기회를 접하게 되었다거나 기존 사업과 연관된 사업으로의 창업기회를 발견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의도적이고 탐색적인 경우는 낮은 편이다. 그렇지만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는데 관계가 없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본 연구의 모델은 기존 문헌연구의 고찰을 통해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으로 구성된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변수로 선정하였고, 그들이 매개변수인 창업 기회의 발견이나 종속변수인 창업기회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240개의 샘플을 활용한 실증분석의 결과,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자기효능감)은 ‘창업기회의 발견’이라는 매개변수와 ‘창업기회의 활용’이라는 종속변수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기회의 발견이 모든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변수들과 창업기회의 활용 변수 사이에 긍정적인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창업기회의 활용에 있어서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뿐 아니라, 창업기회의 발견이라는 매개변수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외에 결론 부문에서는 다양한 관련 전략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SR 활동의 속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중 전자제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우시진,유혜방,정진섭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1 국제경영리뷰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CSR (활동의) 속성’과 ‘브랜드 태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SR 적합성, CSR 지속성이 CSR 진정 성과 브랜드 태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CSR 진정성이 ‘CSR 적합성 및 CSR 지속성’과 ‘브랜드 태도’ 사이의 매개효과 여부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한국 205명, 중국 207명의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 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CSR 적합성’과 ‘CSR 지속성’이 높아지면 ‘CSR 진정성’과 ‘브 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SR의 진정성’이 ‘CSR 적합성 및 CSR 지속성’과 ‘브랜드 태도’ 사이 에 긍정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한국과 중국의 전자 기업들의 경우, CSR 전략 수립에 있어서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중국 전자제품 기업들에 나타난 기타 공통점과 차이점도 고찰하고 관련 전략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SR attributes (of activity)' and 'brand attitude'.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CSR sustainability and CSR fit on CSR authenticity and brand attitude recognition is to be investigated.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verify whether CSR authenticit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CSR sustainability and CSR fit' and 'brand attitude'.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05 Korean and 207 general consumers using electronic products in Chin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increase in 'CSR sustainability' and 'CSR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CSR authenticity' and 'brand attitude'. In addition, 'the authenticity of CSR' showed a posi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SR Sustainability and CSR fit' and 'brand attitude'. Therefore, these results should be focused on establishing CSR strategies for Korean and Chinese electronic companie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the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at appeared in Korean and Chinese electronics companies were considered, and related strategic implications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후보

        스포츠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이미지 및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정,유혜방,정진섭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産業과 經營 Vol.35 No.1

        최근 중국의 급격한 경제 발전과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점차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소비자로 대표되는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이 CSR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스포츠 패션과 운동화 시장의 매출은 두 자릿수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스포츠 패션 시장과 수익성이 높은 해외 글로벌 제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스포츠 패션 제조업체 들은 동 산업의 중국 시장 발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스포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스포츠 기업에 대한 이미지, 그리고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스포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 이미지 사이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홍보 플랫폼, 자아일치성 그리고 신뢰의 조절효과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스포츠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를 포함한 본 연구모델을 통해, 결국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적 시사점도 탐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항 면세점의 서비스 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중국 면세점의 실증 비교

        유혜미,유혜방,정진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Entering the 21st century, people's income and living standards continued to improve, and the rapid increase in overseas tourism brought new opportunities to the duty-free industry. The duty-free industry eventuall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enhanc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increasing sales and creating jobs in the sector concerned. South Korea's duty-free industry market is sophisticated and currently has a leadership position worldwide. On the other hand, China's duty-free industry started relatively late, had a weak foundation and had long been under government control. Thus there is a wide gap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development of the duty-free industry. This study also seeks to explore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duty-free industry by comparing duty-free shops at airports in Korea and China. First, hypotheses and models were established based on existing studies relating to the quality of service and intention to revisit airport duty-free shop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at airport duty-free shops on 'revisit intention' of customers, and also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and 'perceived value'.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who had visited airport duty-free shops in Incheon, Korea, and airport duty-free shops in Qingdao, China. 17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Korea and 204 questionnaires in China.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ous quality of service at airport duty-free shop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ing airport duty-free shops. Second, perceived values show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airport duty-free shops and the customer's revisit intention. Third, trust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s revisit intention at airport duty-free shops. Fourth, it turned out that the 'perceived value' of airport duty-free shops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lated implications were also presented: Korea's duty-free industry started earlier than China and now has an international competitive edge. Nevertheless, the business model should continue to be complemented. The supplementation of additional facilities through new technologies and the improvement of airport duty-free shops' infrastructure will require continuous improvement of airport duty-free service quality,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China's airport duty-free shops need to quickly improve manpower service levels and management levels. In terms of products, various sectors such as diversity and product placement should be learned through benchmarking of duty-free shops with a lot of international experience, such as Korea, and various service levels should be upgraded to the international level. In addition, both countries need to make proper use of their latest digital transformation and convergence strategies, and continue to improve and innovate based on global SDGs. 21 세기에 들어서면서 사람들의 소득과 생활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고, 해외 관광이 급격하게 증가되면서 면세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가져 왔다. 면세 산업은 해당부문의 매출을 증가시키고 일자리를 창출하여 결국 관광 산업의 발전과 국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다. 한국의 면세 산업 시장은 세련되어 있으며 현재 세계적으로 리더의 위치에 있다. 반면, 중국의 면세 산업은 비교적 늦게 시작하였고, 기초가 약하며, 오랜 기간 정부의 통제하에 있었다. 따라서 면세 산업 발전에서 한국과 중국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공항 면세점 비교를 통해 면세 산업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도 탐색하고자 한다. 먼저, 공항 면세점의 서비스 품질과 재방문 의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토대로 가설 및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항 면세점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며, ‘신뢰’와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 인천의 공항 면세점과 중국 칭다오의 공항 면세점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한국의 경우에는 178개의 설문지를, 중국의 경우에는 204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항 면세점의 다양한 서비스 품질은 공항 면세점의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공항 면세점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의 재방문 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중개자 역할을 한다. 셋째, 신뢰는 서비스 품질과 공항 면세점을 다시 방문하려는 고객 의도 사이에서 긍정적 매개효과를 보인다. 넷째, 공항 면세점의 ‘지각된 가치’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관련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한국의 면세 산업은 중국대비 일찍 시작하였으며, 현재 국제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한다. 새로운 기술을 통한 부가시설의 보완성, 공항 면세점의 인프라 향상 등을 통해 공항 면세점의 서비스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함은 물론, COVID-19 팬데믹과 같은 비상 상황에 대한 인프라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공항 면세점은 인력 서비스 수준과 관리 수준을 신속하게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상품 측면에서는 한국과 같이 국제적 경험이 많은 면세점의 벤치마킹을 통해 다양성, 상품배치 등 여러 부문을 학습하고, 다양한 서비스 수준도 업그레이드하여 국제적 수준까지 올려야 한다. 또한 양국 모두 최근 디지털 전환과 융합 전략을 적절히 활용하고, 전세계적인 지속개발목표( SDGs)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혁신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업과 대학의 산학비즈니스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 산·관·학 모델의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정진섭,김현규,유혜방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0 專門經營人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최근 플랫폼 및 비즈니스 생태계 시대에 직면하여, 지역의 기업 및 대학과 효율적으로 협력하기 위한 산학 비즈니스 플랫폼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러한 플랫폼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삼중나선(Triple Helix) 모델 이라는 산·관·학 모델을 기반으로 AHP(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를 활용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무엇보다도 한국과 중국 모두 ‘기술 상업화’의 중요 성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양국의 차이점도 발견하였다. 한국의 경우 양질의 노동력이 강조된 반면, 중국은 신생 기업의 육성을 보다 더 강조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은 모두 산·관·학 협력 플랫폼이 중요하며, 그 하위 요소로서 대학, 기업, 정부 모두 각각의 역할에 따라 서로 다른 중요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최근 산·관·학 협력 플랫폼에서는 기존과 다른 대학의 새로운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a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business platform, and suggests some desirable directions. To this end, we carried out empirical analysis using AHP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 for related experts in Korea and China. Prior to empirical analysis, the detailed roles of companies, universities, and governments, which are the main subjects of the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cooperaton, and related platforms (based on the Triple Helix model)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as realized above all. Also,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discovered. In Korea, high quality workforce was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China has given priority to the cultivation of startups. In Korea and China, the platform for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government, and university is important, and as a sub-element, universities, companies, and governments have different important roles based on their positions. In particular, the role of universiti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has been highlighted.

      • KCI등재

        자동차산업에서 위기경영체제가 구성원의 충성도 및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상현(Sang Hyeon Park),유혜방(Huifang Liu),정진섭(Jin Sup Ju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1 창조와 혁신 Vol.14 No.2

        본 연구는 자동차산업에 있어서, 기업의 위기경영체제 조성이 구성원의 충성도 및 태도변화에 미치는 관계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 문헌을 기반으로 연구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자동차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보면, 기업의 위기경영체제는 구성원의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구성원의 충성도는 태도변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한편 기업의 위기경영체제는 구성원의 태도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구성원의 충성도는 위기경영체제와 태도변화 사이에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종업원의 충성도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결론 부문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측면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of a company s ‘crisis management system’ to its members ‘loyalty’ and ‘the change of attitude’ in the automobile industry. First,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executives and employees engaged in the automobile industry. A total of 203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company s ‘crisis management system’ influenced the ‘loyalty’ of its members, and the ‘loyalty’ influenced the ‘change of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company s crisis management system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attitude of its members. Members loyalty also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the change of attitude, suggesting that employees loyalty is important. Finally, the conclusion section suggests various aspects of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