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수담수화 공정을 위한 가스하이드레이트-역삼투공정의 에너지 소모량 평가

        유현욱,김민석,임준혁,김종하,이주동,김수한 대한상하수도학회 2016 상하수도학회지 Vol.30 No.4

        Gas hydrate desalination process is based on a liquid to solid (Gas Hydrate, GH) phase change followed by a physical process to separate the GH from the remaining salty water. The GH based desalination process show 60.5-90% of salt rejection, post treatment like reverse osmosis (RO) process is needed to finally meet the product water quality. In this study,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GH and RO hybrid system was investigated.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GH process is based on the cooling and heating of seawater and the heat of GH formation reaction while RO energy consumption is calculated using the product of pressure and flow rate of high pressure pumps used in the process. The relation between minimum energy consumption of RO process and RO recovery depending on GH salt rejection, and (2) energy consumption of electric based GH process can be calculated from the simulation. As a result, energy consumption of GH-RO hybrid system and conventional seawater RO process (with/without enregy recovery device) is compared. Since the energy consumption of GH process is too high, other solution used seawater heat and heat exchanger instead of electric energy is suggested.

      • 방광암의 이해

        유현욱,You, Hyun Wook 한국생명보험의학회 2014 保險醫學會誌 Vol.33 No.2

        Bladder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affecting men and women and thus has a profound impact on health care. The majority of patients (75%) with newly diagnosed urothelial tumors have non-muscle invasive disease confined to the bladder mucosa or the lamina propria.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bladder cancer are smoking and occupational exposure to toxic chemicals. Painless visible hematuria is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of bladder cancer. Cystoscopy and urine cytology are currently the recommended tools for diagnosis of bladder cancer. Excluding muscle invasion is an important diagnostic step, as outcomes for patients with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MIBC) are less favorable. For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NMIBC), the high rate and frequency of recurrence and the concern for disease progression -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igh-risk tumors - mandate careful strategies for tumor surveillance. The surveillance strategies should be based on available prognostic factors and in particular data from the EORTC risk tables.

      • 중점협력국 인간개발지수(HDI)의 시계열 분석 및 예측

        유현욱 한국국제협력단 2017 개발과 이슈 Vol.- No.37

        외교부 산하 무상원조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은 경영실적을 평가하는 대표 성과지표로 우리 정부 중점 협력 24개국의 HDI 지표를 활용하고 있다. 이는 우리 O D A에 대한 성과 측정을 예산이 집중 투입되는 24개 중점협력국의 ‘삶의 질’ 향상과 직접 연계하여, ODA 사업 책무성을 강화하고 내실화를 증대시키려는 전략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우리 정부 ODA 성과와 거시경제지표인 HDI 지표의 직접적 연계는 리스크를 갖고 있는데, 사업효과성, 성과객관성, 예측불가능성 면에서 그렇다. ODA 사업의 지속가능성, 원조효과성에 대한 외부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를 고려해봤을 때 KOICA 사업의 지속적 성과 제시는 필수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표 성과지표인 HDI 지표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 중점 24개 협력국의 HDI를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계열 분석 방법론 중 자기회귀누적이동평균 모형(ARIMA)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KOICA 사업 성과관리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Does the Presence of Hypoechoic Lesions on Transrectal Ultrasound Suggest a Poor Prognosis for Patients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유현욱,정세빈,전승현,장성구,김진일,임주원 대한비뇨의학회 2013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Vol.5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hypoechoic lesions on transrectal ultrasound (TRUS) as a prognostic factor for patients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s consisted of 71 patients with pT2N0M0 disease following radical prostatectomy between 2002 and 2008. The group with hypoechoic lesions was labeled group 1, whereas the group without hypoechoic lesions was labeled group 2. The presence of hypoechoic lesions on preoperative TRUS was analyzed as a prognostic factor along with several parameters, including preoperative factors and pathologic factors. The biochemical progression-free survival (BPFS) rate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ypoechoic lesions on TRUS. Results: A total of 35 patients had hypoechoic lesions on TRUS, whereas 36 had no hypoechoic lesions. Preoperative baseline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univariate analysis, BPF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ypoechoic lesions on TRUS and the preoperative prostate-specific antigen level. The BPFS rates over the first 24 months were 97.0% in group 1 and 97.1% in group 2;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BPFS rate over 48 months significantly widened to 75.3% compared with 91.7%, respectively. Despite this finding, no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BPFS was found on multivariate analysis in this patient cohort. Conclusions: The presence of hypoechoic lesions on TRUS may suggest worse prognostic characteristics in pT2 prostate cancer. Further studies involving larger subject populations are needed to corroborat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ce of hypoechoic lesions as a prognostic factor.

      • KCI등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 탐색-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유현욱,강은영,권민효,김명곤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교급별 연계 및 진로교육을 강화하는 진로 연계 교육을 운영한다고 발표하였다. 진로교육이란 개인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게는 학생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교육을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하여 특수교사(초, 중, 고) 15명을 대상으로 학교급별 초점 집단 면담(FGI)을 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 내용 요소 분석 결과로 초, 중, 고를 모두 합하여 3개의 대주제, 7개의 소주제, 17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고,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 방안 분석 결과로 초, 중, 고를 모두 합하여 10개의 대주제, 22개의 소주제, 60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학교급별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안했으며,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근로시간 유연화 제도의 시행이 중소기업 노동비용에 미치는 영향

        유현욱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3 중소기업정책연구 Vol.8 No.3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implementation of flexible working hour systems on labor cost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ntroduction of legal measures such as the 52-hour workweek has increased labor costs for companies. In response, many companies have adopted flexible working hour system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ssess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flexible working hour systems align with their intended policy purpose of reducing labor costs. To investigate this, the study classified companies that meet the criteria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Basic Act based on total assets and annual sales using data from ‘Workplace Panel Survey’. The analysis aims to assess the effects of flexible working hour systems on key variable : “per capita labor costs”. This variable serve as proxies for labor cos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ixed effects model”, and “Random effects model”. The purpose of this was to examine the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ing hour systems and the between effects and within effects of the entities. The findings revealed contrasting results across different industries. In sectors such as “Manufacturing” and “Business Facility Management and Business Support Services”, the implementation of flexible working hour systems leads to an increase in per capita labor costs, contrary to the intended purpose of the policy. In the ‘Wholesale and Retail Trade’ industry, per capita labor costs increased when only one of the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was implemented which is “elastic working hour system”. Simultaneous adoption of “selective working hour system” with “elastic working hour system” resulted in a decrease in per capita labor costs. Several factors may contribute to these divergent outcomes. It is possible that the unpredictable nature of seasonal variations in workload hindered the ability to increase labor as needed. Additionally, the short unit periods of the flexible working hour systems might have limited their effectiveness. Moreover, the occurrence of wage protection measures during labor-management negotiations could have undermined the potential benefits of the system. Lastly, the introduction of a comprehensive wage system may contribute to these outcomes. Recognizing the need for corrective measures,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proposed reforms to the working hour systems. However, it is essential to adopt a flexible approach that consider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Future research should delve deeper into the specific mechanisms through which flexible working hour systems affect labor costs in SMEs, taking into account industry-specific factors and contextual nuances.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근로시간 유연화 제도 시행이 노동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주52시간제 도입 등 법정근로시간 단축 제도는 기업 인건비를 상승시켰고, 이에 대해 기업들은 유연근무제 도입을 통해 대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근로시간 유연화 제도의 단위 기간이 짧아 제도 도입의 장점을 살릴 수 없고, 노·사 합의 과정에서 임금 보전 행위가 나타나면 제도의 도입 취지가 무색하게 기업의 노동비용은 상승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사업체 패널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자산 총액과 연 매출액 기준이 중소기업 기준에 부합하는 사업장을 별도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 사업장의 유연근무제 도입이 ‘1인당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별로 구분하여 고정효과 모형·임의효과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근로시간 유연화 제도의 도입과 패널자료의 개체 간 효과, 시계열 효과를 아울러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분석 결과, 근로시간 유연화 제도의 도입에 따라 ‘제조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은 1인당 인건비가 상승하여 제도 도입 취지에 역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매 및 소매업’은 탄력적 근로시간제만 도입했을 경우, 1인당 인건비가 상승했으나,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동시 도입했을 경우, 1인당 인건비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산업별로 연중 시기별 업무량 편차를 예상할 수 없어 ‘필요 시기’에 ‘필요 만큼’ 노동 투입을 증가할 수 없었거나, 둘째, 근로시간 유연화 제도의 단위 기간이 지나치게 짧았거나, 셋째, 기업이 노·사 협의 과정에서 임금 보전 조치를 실행했기 때문이거나, 넷째, 포괄임금제 도입으로 근로시간 연장과 노동비용간의 상관관계가 없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을 통해 이에 대한 시정 조치를 발표했다. 하지만 일괄적이고 경직적인 조치보다는 산업별 특성에 맞는 유연한 접근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유현욱,홍혜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and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For this purpose, 492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nd Seoul completed the related survey.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ajor variables and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howed the path which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influenced SNS addiction tendency differ by the type of attachment. Secondly, stable attachment did not directly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yet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Thirdly,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showed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stable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 지역 중학생에게 청소년 또래애착, SNS 중독경향성,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하여 총492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애착의 세 하위요인과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애착과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애착 차원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애착,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