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니터링 및 수치모의를 이용한 하상변동분석 - 세종보 상류를 중심으로 -

        김하룡,유인상,유찬종,정상만,Kim. Ha Yong,Yu. In Sang,Ryu. Chan Jong,Jeong. Sang Ma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세종보 상류 전 구간에 발생한 토사 퇴적으로 인해 수문운영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준설 및 저층수 차단 등 하상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었으나 그 효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세종보 상류구간에 하상변동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획일적이고 단기적인 해결책을 적용하였기 때문으로 세종보 상류 구간의 하상변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종보 상류 약 600m 구간에 대해 홍수기 전 후로 구분하여 하상변동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하상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실측한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하여 보 상류의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세종보 상류 모니터링 구간에서 <TEX>$169,263m^3$</TEX>의 토사가 퇴적되었으며 토사의 퇴적은 우안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상류부 전체적으로 퇴적 경향을 보였으나 가동보 수문 개도시 빠른 유속의 영향으로 보 직상류의 토사퇴적은 적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RMA2를 이용하여 흐름특성을 모의한 결과 우안은 오목한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유속이 낮게 모의되었으며 수문 개도에 따라 유속의 분포도 바뀌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ED-2D를 이용한 하상변동 모의결과 수문개도 방법에 상관없이 우안이 퇴적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이는 지형적 특징으로 인한 우안의 낮은 유속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니터링 및 수치모의 결과 세종보 상류는 전체적으로 퇴적되고 있으며 특히 우안의 낮은 유속으로 인해 퇴적 현상은 우안에 집중되고 있으므로 해결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아라천 주운수로의 퇴적양상분석을 통한 퇴사관리방안

        박원철(Park Won cheol),유찬종(Yu Chan jong),김하룡(Kim Ha yo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 내륙 주운 기능과 방수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아라천에 대해 하상변동 모니터링 분석을 통해 퇴사환경을 규명하고 하천하구의 특징인 해안 표사의 유입과 상류 유사 유입 등을 모의할 수 있는 다차원 수치모형을 선정하여 실측 결과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아라천의 장·단기 하상변동 양상을 파악하여 주운수로의 기능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준설 시기를 제시하였다. 수위 재현성 평가와 하상변동 재현성 평가의 모형검증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어 EFDC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장기하상변동 분석 결과 10년 동안 평년 유량 기준으로 최대 1 m가 퇴사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1년 기준 약 0.1m 퇴사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서는 퇴사고가 1.2 m를 초과해서는 안되므로 12년에 한번 준설을 시행하는 것이 주운수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ability of the Ara waterway as the first domestic inland water transportation and as a flood control channel was evaluated by monitoring its riverbed variation. This was performed by investigating the accumulated sediment and the river estuary’s condition due to sediments flowing with seawater and upstream inflows. Also, a multidimensional numerical model was developed and its applicabilit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s with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Knowing the short-term and long-term riverbed variation of Ara waterway, the dredging period was proposed to maintain its functions. The water level and riverbed variation reproducibility evaluation was validated and the suitability of the EFDC model was verified. Result of the long-term riverbed change analysis suggests that a maximum of 1m of sediment was accumulated based on a 10-year normal flow rate. Also, in order to safely operate Ara waterway for water transportation purposes, the dredge height should not exceed 1.2m once in 12 years.

      • KCI등재

        울산광역시 간접적 침수심-피해액 곡선 특성 분석

        김하룡(Kim Ha yong),유인상(Yu In sang),유찬종(Yu Chan jong),정상만(Jeong Sang ma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6

        Damages are increasing worldwide due to effects of climate changes. In order to estimate flood damage in Korea, multidimensional method is oftenly used. However, results are not accurate since it is calculated collectively by applying statistically derived ratios and coefficients to general property damage. Also, several of these coefficients were adapted from Japan damage assessment standard, which might not directly represent the domestic situation in Korea. Therefore, a flood depth-damage curve was calculated for the residential buildings in Ulsan Metropolitan City where the actual flooding occurred. Results indicate that the indirect method is 0.84~2.46 times higher than the direct damage function.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인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홍수피해 추정과 관련하여 다차원법이 많이 이용되나 일반자산 피해액에 통계적으로 도출된 비율계수를 적용하여 일괄 계산하므로 정밀도에 문제가 있으며 일본의 피해산정 기준에서 제시된 계수를 사용하고 있어 국내 실정을 완벽히 반영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침수가 발생한 울산광역시의 주거용 건물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침수심-피해액 곡선을 산정하고 다차원법을 이용하여 침수심-피해액 곡선을 산정하여 두 피해함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다차원법에 의한 손실함수가 0.84~2.46배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