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 정체성의 새로운 길 찾기 : 영화 <코르셋>을 중심으로

        유진월 한국여성문학학회 2001 여성문학연구 Vol.5 No.-

        영화 <코르셋>은 여성이 언술 주체로서 등장하고 육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영화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주인공 공선주가 남성의 욕망의 대상인 조형된 육체라는 사회적 억압에 의해 구속당하던 차원에서 벗어나 점차 자신의 육체를 진지하게 보게 되고 진정한 주체로 변화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첫째, 여성이 언술 주체가 된 영화, 이것이 <코르셋>에서 우선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여성은 오랫동안 주체가 아니었기 때문에 영화를 진행시키지 못했고 오직 주체인 남성의 시선에 의해 끌려 다녔으나 선주는 <코르셋>의 진정한 주인공으로서 영화를 이끌어간다. 둘째, 일하는 여자와 성공의 의미를 여성의 관점에서 파악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성공의 의미가 성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사회에서 여자의 남성적 의미의 성공은 전통적인 여성적 성공보다 무의미하다. 그것은 남성의 영역이며 온전하고도 정당한 여성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주인공은 전문직 여성으로서 변화된 위상을 보여주며 여성에게도 일을 통한 성공의 욕망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셋째, <코르셋>은 여성의 육체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담고 있다. 여성은 자신의 육체의 주체가 되지 못한 적이 많았고 영화의 표현에서는 더욱 그러했다. <코르셋>은 여성 육체에 관한 진지한 탐색의 과정을 보여주고 본질적인 사고에 도달함으로써 육체를 통한 여성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결론적으로 <코르셋>은 명확한 여성중심적 관점을 드러냄으로써 페미니즘 영화의 한 모델이 된다. The movie <Corset> is very important. Because a woman is a subject chatacter who leads the movie and she finds new identity. The protagonist Kong, Sunjoo knew that her body was only a object of men's desire. Also she knew that she tried to accept the wrong idea about her body. She found her real body, accepted and loved her fat body. She was happy and she created new identity. First of all, a woman is a real subjective protagoniost in the movie <Corset>. For a long time, as women were not subject so they could not lead movies and they were led by subjective men's view. But Sunjoo leads the movie as a real protagonist. And it is important to see the meaning of women's success in the women's point of view. Generally women's social success is meaningless than traditional women's success in the society that the meaning of success between men and women established differentry. Because the social success is only men's province and it is not important province to women. But the protagonist shows the new appearance as a professional woman in the movie <Corset> and emphacises the women's desire to social success. <Corset> shows the new point of view about women's body. Women could not be subjects of their bodies and especially they were object of men's desire in the expression in the movies. The movie <Corset> shows sincere search about women's body and the movie arrives at the basic thought in the end. It is important to show the formation process of identity by women's body. The movie <Corset> is a good feminism movie that show fair woman-centric viewpoint

      • KCI등재

        <세자매>의 집, 폭력적 시간과 공간의 존재론적 아카이브

        유진월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7 No.-

        In the movie "Three Sisters" (2021), this paper analyzes how the memories of past violent time and space of the three main characters continue to the present and erodes their lives, and examines how they overcome this problem and become new subjects.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time and space in the film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resistance or the power of liberation of heterotopic space. The three sisters show a space to try to change from object to subject, resisting the patriarchal order that has suppressed them. They disturb the patriarchal ruling order while resisting the existing oppressive space to which they belong, and transform the rigid spaces into heterotopic spaces. They cause incidents to escape the control of spaces dominated by patriarchal systems such as houses, churches, prayer houses, and schools surrounding them. As a result, the space of the other is transformed into a space of subject and a space of creation with different values and meanings. They showed the power of resistance through the replacement of heterotopic spaces in situations where patriarchal oppression was applied. The three sisters are carnival characters that show the dynamic process of creation. Carnival is based on a rejection of established authority and is characterized by a desire for creation and change and a future-orientedness. The dynamics of the three sisters drive them to make the time they belong to the time of heterochronia and to build the heterotopia that the time builds. Heterotopia is a space where women/subjects live and exist in that as soon as the subject recognizes and resists the absurdity of space, the space is newly transformed into a heterogeneous space. <Three Sisters> critically depicts the space and time that act as the basis of human existence by connecting them to the family, and allows them to recognize the value of ethical life beyond the narrative of a family and consider the meaning of absurd reality.

      • KCI등재

        <상록수> 콘텐츠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개양상

        유진월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1 No.-

        The flow of 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Sim Hoon's Evergreen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 media storytelling. The novel and Scenario Evergreen, which Sim Hoon created based on the life and death of the rural activist Choi Yong-Shin in 1935, are literary works that show text-oriented storytelling. Shin Sang-ok's film Evergreen, which showed the success of popularization in 1961, used a proprietor-centered storytelling that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The construction of memorial halls and related projects in the region to present the past can be called performance-oriented storytelling, and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future orientation by activating realistic exchanges and participation with enjoyers. Until now, Evergreen contents have remained in cross-media storytelling that repeats repeatedly in accordance with OSMU's economic principle that repeats the original work only as the media changes. Now, in the rapidly changing era, the use of future-oriented contents is required, and the power to make users who have stayed in the position of simple users active is needed. It is at the time to move forward to new creative contents through the use of transmedia storytelling beyond crossmedia storytelling.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problem of the reality that Sim Hoon is known only as the artist of Evergreen and to know Sim Hoon as a modern comprehensive artist. It is also necessary to use strategies to utilize the current contents more effectively, such as literary works, manuscripts and memorials. Furthermore, as a way to remediate Sim Hoon and Evergree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support performances using transmedia storytelling. Through this, Sim Hoon will take off his rigid frame as a rural enlightenment novelist and revive as a dynamic human image of modern dandy boy, and will also be meaningful as a new content that accommodates the change of the times. 심훈의 <상록수>를 중심으로 한 문화콘텐츠의 흐름을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심훈이 1935년 창작한 소설 <상록수>와 시나리오 <상록수>는 문자 중심의 스토리텔링으로 향후 상록수 콘텐츠에서 OSMU의 원형이 된다. 신상옥, 임권택 감독의 영화 <상록수>는 시대적 요구에 맞는 영상 중심의 스토리텔링으로 대중화에 성공했다. 과거를 현재화하기 위한 기념관 건립과 지역의 관련 사업들은 문화콘텐츠 중심 스토리텔링으로 앞으로 향유자들과의 현실적 교류와 참여를 좀 더 활성화해야 한다. 현재까지 <상록수> 콘텐츠는 OSMU의 경제적 원리에 부합하여 매체만 달라질 뿐 원작을 그대로 반복하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머물러 있었다. 이제 변화하는 시대를 맞이하여 미래지향적 콘텐츠의 활용이 요구되며 사용자들을 적극적인 참여자로 만들 수 있는 동력이 필요하다.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넘어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활용으로 새로운 창작콘텐츠로 나아갈 시점에 있는 것이다. 향후 방향성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근대의 종합 예술가로서의 심훈을 바로 알리고 문학작품과 필경사와 기념관 등 관련 콘텐츠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심훈과 <상록수>의 재매개를 지향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콘텐츠의 창작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통해 심훈은 농촌계몽소설가라는 경직된 틀을 벗고 근대의 역동적 인간상으로 부활할 것이며 <상록수>도 시대의 변화를 수용한 새로운 콘텐츠로 의미화 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時代)와 문학(文學)의 새로운 양상(樣相)

        유진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29 No.1

        디지털시대의 文學은, 문학이 大衆과 점점 멀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대중과 文學을 다시 연결시키고 누구나 文學行爲의 能動的 主體가 될 수 있게 했으며, 權威的 著者와 受動的 讀者라는 전통적 關係에 變化를 가져 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컴퓨터상의 形式的 實驗을 통하여 文學의 多樣性에 기여하고 文學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그러나 否定的인 側面을 보면 藝術的인 表現에는 크게 밑도는 作品이 많고, 단지 慰安으로서의 虛構的 幻想으로 引導할 뿐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圖式的인 人物對立과 攻擊과 破壞를 통한 覇權의 장악이라는 단순한 줄거리, 그리고 剽竊에의 의혹 또한 反省을 요한다. 결국 디지털 時代의 새로운 文學은 화려한 명성에 비해서 아직 虛弱하다고 하겠다. 核心的인 課題는 컨텐츠의 生産이며 컨텐츠의 기저에는 치열한 작가의식과 진정한 문학정신이 있어야만 할 것이다.

      • KCI등재

        낯선 타자와의 조우와 정동의 힘- <미씽 : 사라진 여자>를 중심으로 -

        유진월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5 No.-

        <Missing> show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by the encounter with the other and the power of affect. The two women stand against to fight the male dominated society and the patriarchy, materialism, hierarchical world. At first they meet each other as a native and an immigrant, an employer and an employee, a subject and the other. But they know that they are the same mother, woman, the other and the affect alienated person by the course of pursuit. They realize the truth of each other by the unprejudiced mind, the sisterhood and the motherhood. They show the vision to live together by the formation of relation to affected by the agony of the other and affect to the sadness of the other. In the end they stand as the honorable subject. This movie realize the 'being' to mean the movement to the better way by two women and show the tragic matter in the issue of immigrant will go the more optimistic way. <미씽>은 낯선 타자와의 조우를 통한 관계 맺음의 과정과 미래적 비전을 내포한 정동의 힘을 보여준다. 남성 중심적이고 가부장적이며 물신주의적이고 계급사회적인 타락한 세상과 대적하여 온몸으로 맞서는 두 여자의 힘은 내면 깊은 곳에 자리한 인간으로서의 진실에서 온다. 그들은 처음에는 거주민과 이주자로서 고용주와 고용인으로서 주체와 타자로서 만나지만 아기를 찾으려는 추적 과정을 통해서 서로가 똑같은 엄마이고 여성이며 타자이고 정동 소외자였음을 알게 된다. 그들은 이주자에 대한 편견 없는 태도와 자매애와 모성성을 통해서 타자에 대한 동정이나 연민이 아닌 진실의 접점을 구현한다. 타인의 고통에 깊이 정동되고 타인의 슬픔을 정동하는 관계의 형성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비전을 제시했고 고결한 주체로 서게 된다. 두 여성을 통해서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이동이라는 ‘되기’가 구현되었고 현재의 이주자 문제에 내포된 비극성이 점진적인 낙관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