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보험계약법상 최초보험료의 지급지체에 관한 연구

        유주선 ( Ju Seon Yoo ) 안암법학회 2011 안암 법학 Vol.0 No.34

        Once an insurance contract is concluded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the contract parties, the insured is obligated to pay the insurance premium to the insurer (Clause 638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Unless otherwise agreed upon between the insurance parties, the first premium must be paid before the commencement of the insurer`s liability (Clause 656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and accordingly the insured must pay the first installment or all at once of the premium due without dela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surance contract (Para. 1-1 of Clause 650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Furthermore, even though the insurer is required to issue the insurance policy without delay upon the establishment of the insurance contract, in the absence of payment of the due sum, it does not need to do so (Clause 640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The German Insurance Law, in contrast to its Korean counterpart, stipulates that the issued insurance policy must be received by the insured before the payment of the premium as far as the amount of the premium to be paid, in first installment or all at once, is negotiated and agreed upon (Article 33 of the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This paper addresses the legal effects surrounding the delay in first premiums payable without delay right after the contract comes into effect rather than the ongoing premiums during the contract period. The Korean Commercial Code (Para. 1-1 of Clause 650) and the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Article 37) show that they both have in common that the first premium must be paid before the commencement of the insurer`s liability. In addition to this commonality, one thing evident is that the German legislators took much consideration of increased protection of the insured`s interests and rights when they amended the law in 2008. In particular, the removal of the previous provision involving such a fictitious right of cancellation of the insurance policy, the restrictions on the cancellation right and requirements for indemnification on the part of the insurer, and the saving provision that makes it clear that the insured must be made aware of the legal effects arising from non-payment of due premiums, all refect such intention. This is believed to throw a meaningful implication of how the legal issue relating to the delay in initial premium payment should be approached in efforts to best revise the existing Korean law concerning insurance polic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독일 보험계약법상 손해방지의무와 우리법에의 시사점

        유주선 ( Ju Seon Yoo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고려법학 Vol.0 No.61

        Durch die Rettungsobliegenheit des § 82 VVG soll der Versicherungsnehmer(VN) zu Rettungsbemuhungen motiviert. Die Rettung gehort zum versicherten Risiko, soweit um deren Kosten geht. § 82 VVG spielt damit zugleich ein allgemeines zivilrechtliches Prinzip, das sich auch in der Schadensminderungsobliegenheit des § 254 BGB niedergeschlagen hat. § 82 VVG gilt fur alle Arten der Schadensversicherung und ist nicht auf die Sachversicherung beschrankt. Die Vorschrift erfaßt insbesondere die Krankheitskostenversicherung sowie die Haftpflichtversicherung. Die Rettungsobliegenheit beginnt mit dem Eintritt des Versicherungsfalls. Anders als nach altem Recht genugt unmittelbares Drohen nicht mehr. Die Rettungsobliegenheit endet mit dem Abschluss der Schadensentwicklung, weil erst damit keine Moglichkeiten zur Abwendung oder Minderung des Schadens mehr bestehen. Das Weisung des Versicherers dient dazu, ihm die Steuerung der zu seiner Risikosphare gehorenden Rettungsbemuhungen des VN zu ermoglichen. Die Einholung von Weisungen ist zwar identisch mit der bloße Anzeige des Versicherungsfalls. Praktisch wird die Anzeige aber in der Regel als hinreichend angesehen werden konnen, weil sie dem Versicherer(VR) Gelegenheit zur Weisung gibt. Den VN trifft eine Obliegenheit zur Befolgung der Weisung. Die Grenzen der Befolgungsobliegenheit entsprechen denen der Rechtsmaßigkeit der Weisung. Bei vorsatzlicher Verletzung der Rettungsobliegenheit wird der VR leistungsfrei. Dem VN bleibt der Nachweis fehlender Kausalitat oder Relevanz moglich, falls keine Arglist des VN vorliegt. In der Sachversicherung kommt es grundsatzlich zur Leistungsfreiheit gegenuber allen von mehreren VN, da ein einheitliches Interesse versichert ist. Bei Vorliegen grober Fahrlassigkeit kommt es regelmaßig zur Kurzung der Leistung. Betroffen ist aber nur derjenige Teil der Versicherungsleistung, fur den dem VN der Nachweis der fehlenden Kausalitat oder Relevanz der Obliegenheitsverletzung nicht gelingt. Mit dem Nachweis der objektiven Obliegenheitsverletzung ist der VR belastet. Er muss darlegen und beweisen, welche konkreten Maßnahmen der VN hatte ergreifen mussen. § 82 VVG ist halbzwingend. Gemaß § 87 VVG kann sich der VR auf eine Vereinbarung, durch welche von § 82 VVG zum Nachteil des VN abgewichen wird, nicht berufen.

      • KCI등재

        우리 상법상 판례에서 바라본 학설의 적정성 평가 -회사법과 보험계약법을 중심으로

        유주선 ( Ju Seon Yoo ) 안암법학회 2010 안암 법학 Vol.0 No.31

        Nach ultra-vires-Lehre in anglo-amerikanischen Recht ist eine juristische Person nur fur diejenigen Zweck rechtsfahig, fur die sie nach ihrem Statut geschaffen wurde. Nach dieser Lehre wird bei juristischer Person eine nur beschrankte Rechtsfahigkeit im Sinne einer Teilrechtsfahigkeit anerkannt. Dabei ist zu beachten, dass eine Beschrankung der Handlung-sfahigkeit bei der juristischen Person zugleich deren Rechtsfahigkeit eingegrenzt. Nach § 34 KBGB erlangt die juristische Person nur Recht und Pflicht innerhalb des Zwecksbereichs der Satzung. Dies bedeutet eigentlich eine Einschrankung ihrer Rechtsfahigkeit auf die vom Zweck der Satzung gezogenen Gebiete. Es erscheint damit fraglich, ob Rechtsgeschafte außerhalb des in der Satzung festgelegten Zwecksbereichs nichtig sind. Doch obwohl handelsrechtliche Gesellschaften als juritische Person ihren Gesellschaftszweck in der Satzung niederlegen und ins Handelsregister eingetragen lassen mussen, wurde eine Nichtigkeit von Rechtsgeschaften außerhalb des Zweckbereichs zu Unsicherheiten im Rechtsverkehr sowie erheblichen Verzogerungen bei Rechtsgeschaften fuhren. Es ist daher abweichend vom Wortlaut des § 34 KBGB anerkannt, dass Rechtsgeschafte juristische Person nicht zwingend durch den Zweck der Satzung eingeschrankt werden. Allerdings soll der satzungsmaßige Zweck anhand der Geschafte, welche die juristische Person betreibt, konkret bestimmtbar bleiben. Man kann folglich festgehalten, dass die Rechtsfahigkeit einer Handelsgesellschaft als juristische Person durch ihren Zweck nicht zwingend eingeschrankt wird. Sie statutiert deshalb innerhalb der durch ihre naturlichen Eigenschaften gezogenen Grenzen eine grundsatzlich unbeschrankte Rechtsfahigkeit. Dies folgt bereits aus der Verkehrsschutzfunktion der Rechtsfahigkeit. Daher genießen alle juritsichen Personen in Korea eine umfassende Rechtsfahigkeit. Die Geschaftsfuhrung der KG in Deutschland steht nach dem Gesetz nur den Komplementaren zu(§ 164 HGB). Ist eine GmbH komplementarin, so handelt fur sie ihr Geschaftsfuhrer. Der Kommanditist beteiligt sich normalerweise nur mit seinem Kapital, nicht mit seiner Arbeitskraft. Er ist deshalb von der Geschaftsfuhrung ausgeschlossen. Lediglich bei ungewohnlichen Geschaften ist seine Zustimmung erforderlich entsprechend der Rechtslage beim nicht geschaftsfuhrenden Gesellschafter der OHG. Dagegen hat der Kommanditist keine Vertretungsmacht(§ 170 HGB). Diese Vorschrift ist zwingend. In seiner Eigenschaft als Gesellschafter ist also der Kommanditist ein organschaftlicher Vertreter. Diese Funktion ist den Komplememtaren vorbehalten. Falls der Versicherungsnehmer nach dem Zustandekommen des Vertrags die Gesamtpramie oder die Erstpramie nicht zahlt und es keine andere Voraussetzung gibt, so gilt der Vertrag nach 2 Monaten vom Zustandekommen des Vertrags als gelost(§ 650 I KHGB). Ist die Folgepramie an Zeitpunkt der Falligkeit nicht gezahlt, so kann der Vertrag gelost werden, sofern es die Mahnung und Kundigung des Versicherers gibt(§ 650 II KHGB). § 39 DVVG(Deutsche Versicherungsvertragsgesetz) betrifft den Verzug des VN mit einer Folgepramie. Er tritt als Sonderregelung an die Stelle von § 323 BGB. Folgepramie, die nicht einmalige oder Erstpramie im Sinne von § 37 VVG ist. § 38 VVG ist hierbei auch dann auf eine Folgepramie anwendbar, wenn die Erstpramie nach § 37 VVG nicht gezahlt wurde, der VR aber von seinem Rucktrittsrecht keinen Gebrauch gemacht hat. Deshalb die Einwilligung in der Stundung der Pramiezahlung mit der Bedingung der im gleichen § 38 DVVG festgelegten Zahlungsfrist und zugleich die Einwilligung der Vertragslosung mit dem Ausgehen der eingewilligten Stundungsfrist ohne Mahnung ist ungultig, da § 38 DVVG gegenuber § 42 DVVG relativ Zwangsregelung ist.

      • KCI등재

        독일 보험계약법상 대표자책임에 관한 고찰

        유주선(Ju seon Yoo) 한국보험법학회 2008 보험법연구 Vol.2 No.1

        본 논문은 제3자가 보험계약자의 대표자로 인정되는 경우에, 그 3자의 행위가 보험계약자의 책임으로 귀속되는 대표자책임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대표자란 보험계약자에 갈음하여 대리나 대리의 유사한 관계에서 부보된 위험에 속하는 업무범위에 있는 자를 의미한다. 하지만 단순히 보험목적에 대한 감독의 양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대표자책임을 인정하기 위하여, 예전의 판례는 위험관리와 계약관리 모두 요구하였으나, 현재의 판례는 양자 중 어느 하나만 존재해도 제3자의 행위에 대한 보험계약자의 귀속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미래에 계약관리가 대표자 지위를 근거지우기 위하여 어떠한 의미를 가져야 하는 가에 대한 질문과 관련하여, 대표자는 인지대리인ㆍ인지표시대리인과 구별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 대륙법 체계를 갖는 오스트리아는 독일의 대표자책임을 인정하는 것 대신에, 피용자에 대한 배상책임구조로 보험자의 면책을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제3자의 행위로 인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제3의 선임이나 감독에 대한 보험계약자의 과책을 판단함으로써 대표자책임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은 이러한 오스트리아의 해결방안이 실효성에서 매우 떨어진다는 점에서, 대표자책임을 통해 보험계약자의 이행책임을 묻고 보험자의 면책을 인정하게 되는 것이다. 특정한 제3자의 행위로 인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보험자가 보험금을 지급해야만 한다면 보험의 단체성 측면에서 볼 때, 이는 타당하다고 할 수 없다. 독일의 대표자책임을 인정하든지 혹은 오스트리아의 해결방법을 통하든지 간에, 보험계약자와 보험자의 이익형량을 고려하여 보다 합리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독일과 마찬가지로 자기책임규정을 담고 있지 않은 우리의 현 실정법을 보건대, 우리의 판례나 학계에서 특정한 제3자의 행위에 대하여 보험계약자가 책임을 부담하게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Bei dieser Untersuchung geht es um die Haftung des Versicherungsnehmers für seinen Repräsentant. Dem Versicherungsnehmner wird das Verhalten eines Dritten zugerechnet, wenn der Dritte als Repräsent des Versicherungsnehmers zu qualifizieren ist. Repräsentanten ist, wer in dem Geschäftsbereich, zu dem das versicherte Risiko gehört, aufgrund eines Vertretungs- oder ähnlichen Verhältnisses an die Stelle des Versicherungsnehmers getreten ist. Die bloße Überlassung der Obhut über die versicherte Sache reicht hierbei nicht aus. Repräsentant kann nur sein, wer befugt ist, selbständig in einem gewissen, nicht ganz unbedeutenden Umfang für den Versicherungsnehmer zu handeln(sog. Risikoverwaltung). Es braucht nicht noch hinzuzutreten, dass der Dritte auch Rechte und Pflichten aus dem Versicherungsvertrag(so. Vertragsverwaltung) wahrzunehmen hat. Übt der Dritte aufgrund eines Vertretungs- oder ähnlichen Verhältnisses jedoch die Verwaltung des Versicherungsvertrags eigenverantwortlich aus, kann dies unabhängig von einer Übergabe der versicherten Sache für seine Repräsentantenstellung sprechen. Während die ältere Rechtsprechung eine Kumulation von Risiko-und Vertragsverwaltung verlangte, kann sich die Repräsentanteneigenschaft nach der neueren Rechtsprechung entweder aus der Risikoverwaltung oder aus der Vertragsverwaltung ergeben. Allerdings ist noch nicht sicher zu sagen, welche Bedeutung die Vertragsverwaltung als eigenständiges Kriterium zur Begründung einer Repräsentantenstellung in der Rechtsprechung zukünftig haben wird. Dies wird auch davon abhängen, wie die Rechtsprechung zukünftig Repräsentant, Wissensvertreter, Wissenserklärungsvertreter gegen-einander abgegrenzt. Anders als in Deutschland macht die österreiche Praxis vielmehr deutlich, dass ein vernünftiger Interessenausgleich auch ohne eine solche Einstands-pflicht erzielt werden kann. Die Rechtsprechung gleicht das Fehlen der Repräsentantenhaftung in Österreich partiell dadurch aus, dass sie das Auswahl- und Überwachungsverschulden des Versicherungsnehmers bei Einschaltung Dritter nach sehr strengen Maßstäben beurteilt. Nachdem §278 BGB nicht anwendbar ist, weist das geltende Recht hinsichtlich der Einstandpflicht des Versicherungsnehmers für das Ver-schulden Dritter eine Regelungslücke auf. Da die überkommene Repräsent-antenhaftung einen der Funktion des Versierungsveretrages entsprechenden Ausgleich der Interessen aller Beteiligten verwirklicht, hat die Rechtsprechung gut daran getan, die Lücke durch Aufrechterhaltung dieses Rechtsinstituts zu schließen. Im Zusammenhang mit der Haftungs des Versicherungsnehmers für Dritter entscheiden man folglich sich, ob die Repräsentantenhaftung in Korea übernommen werden darf oder das Auswahl- und Überwachungsverschulden des Versicherungsnehmers bei Einschaltung Dritter ohne Repräsentant-enhaftung bemerkt werden soll. Meiner Ansicht nach ist vorzügswürdig die deutsche Repräsentantenhaftung, wenn die Kriterien über den Repräsentanten aufgestellt werden können.

      • KCI우수등재

        P2P 대출의 규제 체계에 관한 연구

        유주선 ( Yoo Ju Seon ),강현구 ( Kang Hyun Koo )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1

        P2P 대출거래가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P2P 대출형의 경우 아직 관련 법제가 정비되지 않은 관계로 법적 불안정을 야기하고 있다. 대부업자의 자기자본을 통한 단일 대부업자와 다수 차입자 간의 대부행위를 규제하는 규율체계인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대부업법’이라 한다)은 투자자의 자금을 통한 다수 투자자와 다수 차입자 간 대출행위가 이루어지는 P2P대출산업의 특성과 맞지 않다. 증권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을 중개하는 온라인소액 투자중개업자와 달리, 대출을 통한 자금조달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P2P대출업자를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와 함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 한다)에 규율하는 것도 부적절하다. P2P 대출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한 P2P 대출의 규율 필요성에 따라 정부는 2017년 1월 27일 “P2P 대출 가이드라인”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동 가이드라인은 행정지도로서 법규적인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 한계를 가지고 있고, 2017년 8월 29일 개정된 대부업법 시행령은 P2P 대출과 연계하여 영업하는 대부업자에 관한 규율만을 담고 있어 P2P 플랫폼 법인에 대한 직접적인 규율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행정지도나 기존의 법률은 일의적이고 획일적인 규제로서 P2P 대출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급속하게 변화하는 금융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기존금융 규제와 조화를 이루기 위한 방안과, IT 기술을 활용하여 영업하는 P2P 금융업의 특성 고려 및 이용자 보호를 위한 관련 업체들의 엄격한 관리를 위한 별도의 법률을 제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던바, 이에 따라 마련된 것이 바로 “온라인대출중개업에 관한 법률(안)”이다. 본 법률(안)은 현행우리나라 P2P 대출산업 규제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P2P 대출산업의 건전한 육성과 국민의 금융편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동 법률(안)의 일부 규정이 우리나라에 합당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입법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espite the continual growth of the Peer-To-Peer (P2P) Lending transactions in Korea, the P2P Lending market continues to suffer from legal instability due to the lack of laws and regulations. The Act on Registration of Credit Business, etc. and Protection of Finance Users (“Credit Business Act”), which regulates the lending business through the lender’s capital between a single lender and multiple borrowers, does not seem relevant to the P2P Lending transactions, which take place among multiple investors and multiple borrowers. Unlike the online small-amounts investment broker (“Online Brokers”) who brokers procurement of funds through issuance of securities, the P2P lenders broker procurement of funds through lending, and as such, it is not appropriate to regulate the activities of P2P lenders together with those of the Online Brokers under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Capital Markets Act”).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regulating the P2P Lending following the rapid growth of the P2P Lending market and necessity for investor protection,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the “P2P Lending Guidelines” (“Guidelines”), which became effective as of January 27, 2017. However, the Guidelines as mere administrative guidelines had limited effect, as it had no legal enforceability. In addition, the Credit Business Act which was amended on August 29, 2017 fails to directly regulate the business entities that provide P2P platform, as the Act only addresses regulations on the lenders who operate business in connection with P2P lending. In short, the existing administrative guidelines and statutes only provide uniform and arbitrary regulations that fail to take int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2P lending. Against this backdrop, there has been a demand for establishment of a new legal framework which reflects the rapidly changing demands of the financial customers, harmony with the existing financial regulations,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P2P finance business, as well as strict management measures for business entities in the industry to promote protection for users. In response, a new bill has been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under the name of “Act on Online Lending Brokerage Business”. It is expected that enforcement of this new Act will bring improvements in the existing P2P Lending market and further promote the P2P business in Korea,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inancial services for customers. However, there are criticisms that some provisions of the proposed Act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e Korean P2P lending market.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and discuss ways to improve, the proposed Act.

      • 법률비용보험에 관한 연구

        유주선(Ju Seon Yoo) 한국보험법학회 2014 보험법연구 Vol.8 No.2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법에 호소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보다 혼자 참거나 민원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소송을 제기한다고 할지라도 홀로 제기하는 소송이 많은 편이다. 실제로 소송에 관한 법률적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비전문가인 본인 스스로 해결하는 것 보다 법률적 지식으로 무창한 전문가에 의한 조력을 받아야 하는 것이 상식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법률적 전문가인 변호사의 도움을 받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일찍이 주요 선진국은 보험, 즉 법률비용보험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법적 분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무모하지 않으면서 충분하게 승소할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비용, 즉 법원비용이라든가 변호사비용 등을 보험회사가 제공하기로 약정하는 보험인 법률비용보험을 통하여 법률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사람들에게 법률시장을 통한 권리구제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법률비용보험에 대하여 기본적인 의의, 특징 빛 법적 구조를 연구하고 독일의 법률비용보험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대표적인 법률비용회사인 Deutscher Automobile Schutz AG(이하 ’DAS’)의 법률비용보험에 대하여 자세히 고찰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소송비용 및 변호사 보수가 법정화 되어 있다는 점은 우리와 유사한 면을 보여주지만, 법률비용보험만을 전문으로 하는 다수의 보험회사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상품 자체가 단일한 보험으로 발전되고 있다는 점에서, 독일의 법률비용보험 연구가 시시점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계 회사인 DAS사가 독일식의 싱품을 우리나라에서 제공하고 있는바, 그것의 발전가능성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법률비용보험의 발전과 함께, 독일에서는 약관에 의존하던 일부의 방식을 탈피하여 보험계약법에 명문으로 법률비용보험의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 점 역시 입법론의 측면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Legal expenses insurance is a type of insurance. This paper deals with the legal protection insurance in Germany. The insurer is oblig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the legal interests of the policyholder or the insured performance in the agreed scope (§ 125 VVG). This rule describes the objective pursued by a legal expenses insurance business purpose and thus gives the ambiguous term "legal" contours. The decisive factor is the agreement in the AVB. In legal expenses insurance, these are the general conditions for the legal expenses insurance (ARB), which call such costs as the main performance of the insurer in § 1 VVG. The separate documentation of performance in legal protection insurance from a treaty over several risks should clearly lead to the policyholder, the guarantee of legal protection in mind. The casualty, who also runs the Rechtsscutzversicherung is often exposed to conflicts of interest. This allows claims to insurance benefits under a contract for legal expenses insurance if an independent claims settlement company is beauftagt with the performance of processing shall be brought only against this. The policyholder is entitled to freely choose its representatives in erichts- and Verwaltungsverfahrne the lawyer who is wahrnemen its interests in the circle of lawyers, wearing their compensation the insurer under the Insurance Contract. In the event that the insurer denies his liability because the protection of legal interests offer no reasonable prospect of success or was willfully, the insurance contract shall provide for a peer review or other procedure offering comparable guarantee of impartiality in the dispute between the Parties to decide on the success or the wantonness of a prosecution. The notification requirement is to be satisfied even with partially Able drying of coverage. This obligation does not apply if the policyholder knows his law already. The provisions of §§ 126 to 128 SG primarily serve to protect the policyholder. The generally weaker economic position of the policyholder at the conclusion of insurance contracts should be protected. Through the study of the Law Insurance in Germany, I hope that the insurance contract area of legal insurance is to be developed in Korea.

      • KCI등재

        보험 판매채널의 변화와 신채널 발전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유주선(Yoo, Ju Seon) 한국보험법학회 2020 보험법연구 Vol.14 No.3

        전통적인 보험의 판매채널인 대면채널과 달리, 대인 접촉을 필요하지 않는 비대면채널은 시간적・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자동차보험이나 비교적 단순한 설명을 요하는 보험상품 등의 영역에서만 확대되고 있다. 비대면채널의 부진은 양방향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보험회사가 비대면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밀레니얼 세대와 모바일이나 컴퓨터 등의 결합으로 전통적인 대면채널은 기간이 갈수록 그 영향력을 줄어들고, CM채널이나 TM채널 및 홈 쇼핑 등의 비대면채널이 시장의 점유비율을 점점 확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비대면채널은 독자적인 형태보다는 CM 채널의 경우 전화를 통한 상담 기능이 부가하는 방식을 이용한다거나 TM 채널의 경우 컴퓨터 화면을 보완하는 등을 통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비대면 운용형태가 대세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을 비롯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공지능 설계사와 같은 채널이 등장할 경우 그동안 약점으로 지적되어 온 양방향 소통의 어려움 등 비대면채널의 단점이 극복될 것이다. 이러한 비대면채널의 출현과 발전은 소비자가 본인에게 알맞은 보험을 쉽게 찾아 가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줄 것이고, 사회 후생이 증대되는 경제적 효과를 야기하게 될 것이며, 앞으로 보험시장에서는 새로운 기술력을 갖춘 또 다른 채널들이 다양하게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Unlike face-to-face channels, which are traditional insurance sales channels, non-face-to-face channels that do not require personal contact are currently expanding only in areas such as auto insurance andinsurance products that require relatively simple explanations, despite many advantages in terms of time and economy. The sluggishness of non-face-to-face channels is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to consumers due to difficulty intwo-way communication. Because of these limitations it was often the reason why insurance companies do not actively use the non-face-to-face channels. However, with the combination of millennials and mobiles and computers, traditional face-to-face channels are expected to lose their influence over time, and non-face-to-face channels such as CM channels, TM channels, and home shopping are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the market share. For such non-face-to-face channels, it is expected to become the trend that a hybrid type of non-face-to-face operation, such as supplementing a computer screen in case of TM Channel or using a method added by telephone counseling functions in case of CM Channel, rather than an independent form. If a channel such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 emer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clu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hort comings of non-face-to-face channels, such as the difficulty of two-way communication that has been pointed out as a weakness, will be overcome.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se non-face-to-face channels will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consumers can easily find and subscribe to insurance that is suitable forthem and will lead to an economic effect of increasing social welfar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channels with new technology will rise in the insurance market.

      • KCI등재

        예금자보호법상 예금보험관계와 금융기관 파산절차에 관한 연구

        유주선(Yoo Ju Seon) 한국보험법학회 2017 보험법연구 Vol.11 No.1

        Since the deposit insurance system uses the name of insurance, the financial institution that is an insurance contractor has to pay the insurance premiums, and the 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KDIC’), which is in the status of insurer at the time of occurring an insured accident, shall be obliged to pay the sum insured. However, deposit insurance corresponds to public insurance as an economic policy insurance that is operated for national policy in the national economic aspect. Unlike general private insurance, the deposit insurance system can not be applied in the same way with the principle of the insurance or the principle of the algebraic law within it. Deposit insurance, after depositing premiums paid by financial institutions as a deposit insurance fund, if a financial institution can not comply with a deposit withdrawal request from a depositor due to reasons such as insolvency, will pay certain deposits as benefits to depositors on behalf of the accrued financial institutions. In that point of view, deposit insurance has the nature of non-life insurance, and in the point that the policyholder and the insured are different, it can be regarded as a type of non-life insurance contract for othe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eposit insurance, the fact that an insurance accident does not occur as an independent accident but has a tendency to chain is also not common in other insurance. The KDIC, which has the status of an insurer of a financial institution, was selected as a bankruptcy trustee at the time of the bankruptcy filling of the insolvent financial institution, and the bankruptcy work was efficiently and promptly performed and received a positive evaluation. Efforts of deposit insurance to effectively manage, maximize dividends and contribute to the bankruptcy system are highly appreciated. The study examines the main contents of deposit insurance centering on the legal insurance relationship, not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KDIC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 as well as reviews the core business contents of KDIC under insurer status of private insurance and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bankruptcy process. Regarding the bankruptcy administrative affairs, the role of the KDIC contributing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bankruptcy foundation and its performance were worthy of recognition. Nevertheless, a dispute over the legal status of thae KDIC is always present and the role of KDIC, which manages the risks of financial institutions more actively rather than only limited to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paying deposits of insolvency of financial institutions, is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end the scope of deposit insurance in order to introduce the functional deposit system and protect depositors. 예금보험제도는보험이라는명칭을사용하고있기때문에, 보험계약자인부보금융기관은 해당 보험료를 지급해야 하며 보험사고 시 보험자 지위에 있는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라한다)는보험금지급의무를부담하게된다. 그러나예금보험은국민경제적인입장에서 국가의 정책수행을 위하여 운영되는 경제정책보험으로서 공공보험에 해당한다. 일반 민영보험과는 달리, 예금보험제도는 보험의 원리인 대수의 법칙이라든가 수지상등의 원칙이 민영보험의 영역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다. 예금보험은 금융기관이 납부하는 보험료를 재원으로 하여 예금보험기금으로 적립한 후 금융기관이 경영부실 등의 사유로 인하여 예금자의 예금인출요구에 응할 수 없는 경우 예금보험기구가 사고 금융기관을 대신하여 예금자에게 일정한예금을보험금으로지급하게된다. 그렇게본다면, 예금보험은손해보험의성격을 가지고있고, 보험계약자와피보험자가서로다르다는점에서, 타인을위한손해보험계약일종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예금보험에서 보험사고는 독립적인 사고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연쇄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점 역시 다른 보험과 차이가 있다. 부보금융기관의 보험자 지위를 가지고 있는 예보는 부실금융기관 파산선고 시 파산관재인으로 선임되어 해당 파산업무를 효율적이면서 신속하게 진행하여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약15년간의 예보의 효율적인 재단운영 및 배당 극대화 노력 및 청ㆍ파산제도에 대한 예보의 공헌은 높이 평가할만 한 것이다. 본연구는예보와부보금융기관간법정보험관계를중심으로예금보험의주요내용을검토한다. 동시에사보험의보험자지위에있는예보가담당하는핵심적인논점및파산절차에서 발생하는 법적 쟁점 등을 다루고 있다, 파산관재업무와 관련하여, 파산재단을 운영하고 관리하면서 기여한 예보의 역할 및 그 성과는 인정받을 만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보의 법적 지위에 대한 다툼이 언제나 상존하고, 금융기관의 부실에 대한 예금지급이라는 전통적인 기능에 한정되는 예보가 아닌, 금융기관의 리스크를 관리하는 보다 적극적인 예보 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기능별 예금체계의 도입과 예금자보호를 위하여 예금보험의 대상범위가 보다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본시장법상 사모펀드제도에 대한 최근 입법적 동향

        유주선(Yoo, Ju Seon) 한국증권법학회 2016 증권법연구 Vol.17 No.3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가 아닌 특정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모의 방법에 의하고 지분증권에 투자하는 것이 PEF이다. 2014년 3월 6일 PEF를 통한 M&A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PEF 역시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공정거래법이 규제하는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지정된다. PEF의 M&A 시장 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공정거래법을 개정하고자 한 것이었다.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지정 면제, 의결권 제한 및 기업결합신고대상회사 또는 그 특수관계인이 일정한 규모 이상의 다른 회사에 대하여 기업결합을 하거나 상대회사 또는 그 특수관계인과 공동으로 기업결합을 하는 경우에 이에 대한 신고의 면제 등이 그것이었다. 그러나 동 방안은 입법으로 반영되지 못했다. 2014년 7월 24일 자본시장법의 일부개정이 이루어졌다. 사모펀드 규율체계를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인 헤지펀드와 경영참여형 사모펀드인 PEF로 단순하면서도 명확하게 함으로써 한국형 사모펀드 규율체계를 확립한 것이라 하겠다. 전문투자형 사모펀드를 운용하는 운용사의 경우 인가를 받도록 하던 것을 등록만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모펀드의 자율성을 확보해 주기 위하여 모든 사모펀드에 대하여 설립 후 2주 내에 사후보고하는 것으로 개선하였고, 특히 경영참여형 사모펀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한 것도 주목할 만한 사항이다. 운용사의 특성에 따라 사모펀드를 구분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지적과 함께 하나의 사모펀드가 경영권을 인수 · 합병하도록 하고, 주식이나 채권 및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의 경영권지분을 매매하는 PEF와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헤지펀드로 구분하는 방식으로 개정하였다. 그러나 다른 주요 선진국의 운용방식을 보면, 사모펀드는 이원화 방식 대신에 일원화 운용방안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모펀드에 대한 등록이나 운용 및 판매 등 직접적인 규제방식에서 벗어나 펀드운용자에 대한 간접규제를 통하여 사모펀드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an amendments that the government announced M&A Activation Plan by deregulation of private equity fund(PEF) i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 Act(CMFIS). On March 6, 2014, a plan was proposed to stimulate Merge & Aquisition through the PEF. The PEF is also designated as a large-scale business group that is regulated by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MRFTA) when the PEF has certain requirements as a large-scale business group. It is necessary to amend MRFTA in order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the PEF in the M &A market. On July 24, 2014, there were some amendments in CMFIS to deregulate establishment, operation, sale of PEF. The PEF is established by simplifying and clarifying the private equity discipline system with hedge funds, fund as professional investment fund as management participation. In addition to pointing out that it is appropriate to classify private equity fun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compan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private equity fund to acquire management rights and to invest in various assets such as stocks, bonds, and derivatives In Korea, it was revised to divide the PEF, which sells the management rights of the enterprise, and the hedge fund, which earns profit by investing in various assets. However, in other major developed countries, it is reasonable to provide a method to unify private equity funds in place of such separated dual schemes and it is important to avoid direct regulation of fund registration, operation, sale and to regulate private fund operators indirectly.

      • KCI등재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손해와 주주의 이사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

        유주선(Yoo, Ju Seon) 한국증권법학회 2013 증권법연구 Vol.14 No.3

        출자한 만큼만 책임을 지는 회사형태의 대표적인 주식회사에서, 만약 채무자로서 회사가 변제능력이 없어 거래 당사자에게 채무를 이행할 수 없는 경우라면, 주식회사의 구성원은 회사채무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는다. 회사의 자력과 상관없이 회사의 구성원이 손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업무집행을 하는 유한회사(유한책임회사 동일)의 업무집행자나 주식회사의 이사가 회사의 구성원인 사원이나 주주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회사의 구성원이 업무집행자(이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의 질문은 매우 흥미로운 논제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주식회사 주주 손해에 대한 이사의 책임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사의 고의, 중과실로 인한 임무해태행위로 말미암아 주주가 손해를 입은 경우, 상법 제401조를 근거로 한 손해배상청구권 행사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다수설은 그 손해는 ‘직접손해’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보는 동시에 이사가 회사재산을 횡령함에 따라 회사재산이 감소함으로써 주주가 손해를 입게 되는 ‘간접손해’에 대하여도 동 규정의 적용가능성을 주장한다. 대법원은 지속적인 판결에서 이와 반대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2012년 12월 13일 대법원의 판단 역시 예전의 방향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다만, 상장회사 이사의 횡령행위가 있었고 그 이후 그 이사의 부실공시에 의해 주가가 정상적인 가격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며, 주주들이 그러한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주식을 취득하였다가 주가가 하락하여 입은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한다면, 그것은 직접손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서, 직접손해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