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트레스, 자존감, 그리고 미래지향성이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중 매개 및 조절 효과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중심으로

        유조안 ( Joan P. Yoo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6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심리적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스트레스와 대학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존감과 미래지향성의 매개 혹은 조절 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103명의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을 편의표집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수정된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다변량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수행하여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는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존감과 긍정적인 미래지향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스트레스는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존감과 긍정적인 미래지향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조절효과를 검증한 모형에서는 스트레스와 자존감 그리고 스트레스와 미래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요인으로서 스트레스, 자존감, 그리고 미래지향성이 갖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elf-esteem, and positive future orientation on the college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and to examine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self-esteem and positive future orientation affects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from a risk and resilience perspective. Convenience sampling strategy was used to obtain a sample of 103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enrolled in universities arou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data collectio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and bootstrapping method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elf-esteem, and positive future orientation on college adjustment. The analytic results indicate that perceived stress has a direct and indirect negative effect on college adjustment. Self-esteem, and positive future orienta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llege adjustment at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stress on college adjustment through self-esteem and positive future orientation suggest that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stress are not only at risk for poor college adjustment, but also more likely to have reduced level of self-esteem and more negative outlook on the future, which ultimately leads to poor college adjustment.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key independent and the dependent were found.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유조안 ( Yoo Joan P. ),이상균 ( Lee Sang-gyun ),그레이스 정 ( Chung Grace 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잠재계층유형을 확인하고, 이들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참여 동의를 얻은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820명과 주양육자 820명에게서 수집한 서울교육복지건강패널 1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16개의 지표로 구성된 건강증진행위 결과를 바탕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였다. 건강증진행위를 많이 수행하며, 건강위험행위의 실천정도가 낮은 `긍정적 건강증진행위군`, 건강위험행위의 실천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건강행위군`, 기본적 운동량이 적고, 비활동적 좌식생활의 경험가능성이 높은 `비활동적 중위험 건강행위군`이 그것이다. 3개 잠재계층유형은 교차분석과 일원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따라 잠재계층유형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심리 사회적 요인이 상호통제된 조건에서 건강증진행위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정도를 다항로짓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부모·조손가구, 주양육자의 낮은 학력, 모의 근로활동 참여, 남자아동, 중학생, 방임경험, 낮은 자기효능감, 높은 우울 등의 특성을 가질 경우 고위험 건강행위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초등학생, 높은 가족활동빈도, 높은 자기 효능감의 특성을 가질 경우 긍정적 건강행위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latent class analysis to identify heterogeneous subgroups with respect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Multiple dimensions assessing physical activity, eating and sedentary behaviors were explored. This study used wave 1(2014)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and Health Welfare Panel(SEHWP), which consists of 820 matched pairs of mother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Seoul. The final model yielded three latent class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posi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high-risk health behaviors`, and `sedentary lifestyle & middle-risk health behaviors`. We also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latent classes and predictors to determine how the patter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lates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Results indicated that low-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low maternal education level, maternal employment, children`s gender and age, neglect experienc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o the above latent classe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the patter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health promo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ll need to consider this heterogeneity and enhance attention to health promoting predictors depending on the subpopulation.

      • KCI등재

        경제적 결핍 경험의 잠재계층과 부모가 보고한 아동 건강의 관계

        유조안 ( Jo An Yoo ),( Grace H Chung ),이상균 ( Sang Gyun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가구가 경험하는 경제적 결핍의 경험에 대한 잠재계층을 파악하여 그 특성과 구조에 따라 유형화하고, 그 경제적 결핍경험의 유형들과 아동의 건강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건강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 가운데 부모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n=820). 가구의 경제적 결핍경험의 유형화는 최저생계비 기준을 이용한 빈곤 여부, 정부지원, 식품불안정성 경험, 아동의 의료 미충족 경험, 경제적 어려움(공과금, 교육비 미납 등) 5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분석은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계층의 수는 모형 적합도 지수, 그리고 분류된 계층의 신뢰성과 해석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3개의 잠재계층을 선정하였다. 분류된 3개의 잠재계층은 ‘소득 비빈곤-물질적 결핍’, ‘소득 빈곤-물질적 결핍’, 그리고 ‘비빈곤 집단’으로 유형화되었으며, 그 빈도는 ‘소득 비빈곤-물질적 결핍’ 16.2%, ‘소득 빈곤-물질적 결핍’ 14.3%, 그리고 ‘비빈곤 집단’ 69.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경제적 어려움의 경험 유형과 아동 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이항ㆍ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득 비빈곤-물질적 결핍’과 ‘소득 빈곤-물질적 결핍’ 가구에 속한 아동은 비빈곤 가구의 아동에 비해 부모가 보고한 주관적 신체 및 정신건강이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성질환으로 인해 생활에 지장을 받을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 및 과체중ㆍ비만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의 경험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득 중심의 빈곤 가구 사정의 한계와 아동 건강불평등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책적 함의,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aims of this exploratory study are to identify the underlying typology of economic deprivation of households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reported measures of child health are observed between these discrete groups. Data from the first wave(2014) of the “Seoul education and health welfare panel(SEWHP)”, which consists of survey data from 4th grade elementary and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living in Seoul were utilized. Latent class analysis(LCA) is used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of economic hardship. Multinomial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re employ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atent classes and children`s health outcomes. Analytic results show three latent classes of economic hardship including ‘no income poverty-material hardship’ group, ‘income poverty- material hardship’ group, and no economic hardship group. The relative proportions of the identified groups are ‘no income poverty-material hardship’ group(16.2%), ‘income poverty-and material hardship’ group(14.3%), and no economic hardship group(69.5%). Analytic results show that the latent classes of economic hardship are associated with children`s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limitations in activities due to chronic illness. No difference between latent classes were found for underweight and obesity. Implications of study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The Impact of Material Hardship on Children`s Physical Health Trajectories

        Joan P. Yoo(유조안),Kristen S. Slack,Jane L. Holl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7

        본 연구는 미국에서 복지수급을 받고 있는 가정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의 빈곤 경험이 이들의 건강궤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 이 있다. 최근 건강불평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빈곤이 개인의 건강에 장?단기적 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아동기의 빈곤이 건강궤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탐색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질적 빈곤 경험이 저소득층 아동의 건강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으로써 아동 건강불평등의 영향요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 에서는 1998년에 복지수급을 받고 있던 저소득층 가구들을 표본으로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총 4차년도의 패널데이터를 수집한 일리노이 가족 연구(Illinois Families Study)와 이 연구의 아동부가조사(Illinois Families Study-Child Well-being Supplement)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질병으로 인한 아동의 의료이용 횟수와 앓아누운 날 수를 주요 종속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데이터의 분석은 패널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층성장모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지 않은 무조건모형에 서는 의료이용 횟수와 앓아누운 날 수는 아이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반적으로 아동의 건강상태가 계속 좋아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물질적 빈곤과 건강궤적의 관계에서는 물질적 빈곤을 많 이 경험할수록 저소득층 아동의 건강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물질적 빈곤의 개별적인 종류가 저소득층 아동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측정 지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불안정한 주거와 아동 의 미충족 의료수준은 아동의 질병으로 인한 의료 이용궤적의 초기값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식품 미보장은 아동이 앓아누운 날 수로 측정된 건강궤적의 변화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국의 연구 결과는 한국에서 아동 건강 불평등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 모색의 필요성에 대한 함의를 지닌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cators of material hardship and the health trajectories of low-income children, and to explore how material hardship explains individual differences in low-income children`s health trajectories. The analyses for this paper are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Illinois Families Study (IFS) and the Illinois Families Study-Child Well-being Supplement (IFS-CWB). IFS is a five-year panel study that examined the well- being and adaptation of former and current welf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Multilevel growth curve analysis is employ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While the analytic findings suggest that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ial hardship variables vary by health outcomes, results show that generally children who experience economic hardships are more likely to show trajectories of health that led to worse health than their counterparts. Particularly, children`s unmet medical needs and housing insecurity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number of sick visits to health professional trajectory, while food hardship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number of days a child was sick in bed trajectory. Implications for the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청소년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상균(Lee, Sanggyun),유조안(Yoo, Joan P),그레이스정(Chung, Grace H)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건강증진모형에 기반한 매개변인을 통해 청소년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2014년 서울시교육청의 협조아래 수집된 서울교육건강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학부모의 연구참여 동의를 얻은 초등학생·중학생 820명과 그들의 주양육자 820명이 응답한 자료다. 최저생계비 미달과 정부지원·보조 경험으로 구성된 소득빈곤, 가족구조결손을 보여주는 한부모가구, 의료욕구 미충족, 경제적 어려움, 식품불안정성 등 빈곤관련 위험요인에 대해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빈곤집단’ ,‘소득비빈곤·물질적 결핍집단’, ‘한부모빈곤·물질적 결핍집단’으로 명명된 3개 잠재계층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유형이 방임경험, 가족활동,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소득비빈곤·물질적 결핍집단과 한부모빈곤·물질적 결핍집단은 비빈곤집단에 비해 방임경험을 제외한 모든 매개변인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득빈곤을 경험하는 전형적인 취약집단과 함께 소득빈곤을 경험하지 않는 가구에서도 복수의 빈곤관련 위험요인을 경험하는 경우, 가족활동,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를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건강증진과 관련하여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누적효과와 하위집단유형을 고려해 개입대상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기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nderlying typology of poverty-related risks of households with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olesc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re observed between these discrete groups. Latent class analysis was utilized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of poverty-related risks. Mediation analysis with multi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was employ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oposed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nt classes and adolesc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proposed mediators include neglect experiences, family activities, and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stress. Our analytic results showed three latent classes of poverty-related risks including ‘single-parent poverty?material hardship group’, ‘non income poverty?material hardship group’, and ‘no economic hardship group’. Relative to the ‘no economic hardship group’, those assigned to 2 poverty-related hardship groups were less likely to have heath promoting behaviors through the proposed mediators(except for neglect experi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health promo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ll need to consider this clear heterogeneity of poverty-related risks and enhance the level of attention given to significant mediators on the subpop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피폭력 및 피학대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진(Lee, Hyun Jin),유조안(Yoo, Joan Pae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0 No.1

        본 연구는 학교와 사이버,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 및 학대 피해가 아동․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내면화 문제행동인 우울·불안이 매개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좌절-공격성 이론에서 부정적인 사건과 공격성에 부정적인 감정이 매개요인으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고 있는바,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폭력이나 학대를 당한 피해 아동·청소년이 일관되게 보이는 우울과 불안 증상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아동종합실태조사에 응답한 만 18세 미만의 2,497명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과 사이버폭력 피해경험 그리고 가정 내 학대 피해경험 모두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과 가정 내 학대 피해경험은 부분 매개를, 사이버 폭력 피해경험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피해 아동·청소년의 공격성 완화 및 회복을 위해서는 우울과 불안감 해소를 위한 선제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school violence, cyber violence and domestic abuse on aggress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depression and anxiety are mediated. Based on Frustration-aggression theory(Berkowitz, 1989), this study primarily seeks to examine whether violence and abuse experiences affect the agg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violence and abuse experience on aggress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ggression, including school, cyber violence, and domestic abuse.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whether depression and anxiety mediates between violence and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show that school violence and domestic abuse damage experience are partially mediated and cyber violence damage experience is completely mediated. This indicates that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relieve depression and anxiety in order to alleviate the aggress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인지된 동네 무질서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선희(Jung Sun Hee),유조안(Yoo Joan P.)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6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관계 스트레스가 인지된 동네 무질서와 문제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 가설은 관련 선행연구와 Pearmi(1999)의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기초로 설정되었다. 활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 패널 조사(KYPS) 중2 패 널 4차년도 데이터`이며,연구대상은 2,3아명의 만16세~만18세 청소년이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분석방법에 따라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고,추가적으로 Hayes(2013)의 `PROCESS procedure for SPSS,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청소년의 부모관계 스트레스는 인지된 동네 무질서와 문제행동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동네 무질서의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은 불안 · 우울과 공격성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인지된 동네 무질서의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관계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동네 무질서가 통제된 상태에서,부모관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불안 · 우울과 공격성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test 및 부트스트래핑 실시 결과,청소년의 부모관계 스트레스는 인지된 동네 무질서와 불안 · 우울의 관계, 인지된 동네 무질서와 공격성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사회복지적인 관점에서 청소년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한 연구의 함의와 한계가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problem behaviors.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based on Pearlin`s(1999) stress process model and findings from previous literature. The data from the 4-wave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a panel survey of 8-grade stud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y variables. The sample included 2,301 adolescents (16 to 18 years old). Findings showed that parent-child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problem behaviors in adolescents. As adolescents perceived more neighborhood disorder, the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nxiety/depression and aggression. In addition, greater neighborhood disorder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the parent-child stress. Furthermore, when controlling for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the higher levels of the parent-child stres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anxiety/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Sobel test and bootstrapping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stress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anxiety/depress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and aggres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to prevent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과체중,비만 및 신체상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주연 ( Ju Yeon Lee ),유조안 ( Joan Paek Y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과체중ㆍ비만 및 신체상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자존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0 한국청소년 건강 실태 조사’ 대상자 중 초등학교 4, 5, 6학년 2,21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 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수간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신체상만족도는 자존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존감은 또래관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은 신체상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 개하였다. 그러나 비만과 과체중은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객관적인 비만지위와 주관적인 신체상만족도가 초등학교고학년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대표성 있는 표본을 활용해 실증적으로 검증 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신체상만족도가 낮은 아동에 대한 심리사회적 개입에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고 개인적 차원의 개입 뿐 아니라 사회 환경의 변화를 촉구한다는 점 에서 사회복지 실천에의 함의를 제시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overweight, obesity, and body image satisfaction are associated with peer relationships and whether self-esteem mediates these associations for children in upper elementary school. Data from the 2010 Korean Survey on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as utilized for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2,212 children in 4th, 5th, and 6th. grad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ion model. The analytic results demonstrate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ody imag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imag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s is fully mediated by self-esteem. However, no significant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overweight or obesity on peer relationships was found in the analytic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dy image satisfaction influences peer relationships through self-esteem for 4th-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