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작품리뷰: 목은재(木隱齋)

        유정훈,박인수,Yu, Jeong-Hun,Park, In-Su 대한건축사협회 2010 建築士 Vol.2010 No.11

        박준영 건축사는 매우 독특한 분으로 인터뷰 후에 기억되었다. 매우 훌륭한 품질의 건축을 위해 자신의 경제적 상황도 마다 않고, 일관되게 업무를 처리하는 모습은 대단함을 넘어 존경스런 생각도 들게 되었다. 하지만 그의 표현처럼, '산수를 못해' 조직의 운영과 사업의 어려움을 감내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안타까움도 함께 들었다. 하지만 이런 것이 어디 그 만의 문제는 일까? 학교에서도 산수를 좀 알려주고, 국내 건축 환경이 계속 좋은 품질의 건축을 유지하는 데 기본적 여건이 되어주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 Al-Mg합금(Al-5wt%Mg-3wt%Zn-1wt%Mn)의 T6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변화

        유정훈,신기삼,허성강,김정민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5 공업기술연구 Vol.5 No.-

        Al-Mg base alloys are attractive for aircraft. automobile and leisure applications because of their properties of low density, high intensity and wear resistance. The effect of Zn and Mn on the properties was studied in an Al-Mg base alloy. After T6 heat-treatment, the change of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y was examined. Our investigations show that after T6 heat-treatment, the elongation was improved. The microstructures are investigated by TEM, which shows that the size of Al6Mn, Al57Mn12 phase is 100~500nm, and it also appears presence of the very small size MgZn₂ phase about 30nm.

      • KCI우수등재

        미관찰 지역 특성을 고려한 내국인 국제선 항공수요 추정 모형

        유정훈,최정윤,YU, Jeong Whon,CHOI, Jung Yoo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36 No.2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국제선 항공수요에 대웅하기 위해 지방 광역권에도 새로운 공항 건설 및 기존 공항 확장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항공수요예측은 우리나라 전체 항공수요 또는 주요 도시 간의 항공수요에 대해서 수행되어 왔으며, 지방의 고유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항공수요예측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권 국제선 항공수요를 대상으로 하였고, 현실적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지방 광역권의 고유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패널 자료를 활용한 fixed-effects model을 최적 모형으로 제안하였다. 모형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패널 자료 분석은 시계열 특성을 가지는 몇 개의 거시 사회경제지표만을 사용한 모형에서 다루기 어려운 허구적 회귀와 미관찰 이질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통계적 검증과 적합성 평가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fixed-effects model이 다른 계량경제 모형들에 비해서 영남권 국제선 수요예측에 있어서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In order to meet the ever-increasing demand for international air travel, several plans are underway to open new airports and expand existing provincial airports. However, existing air demand forecasts have been based on the total air demand in Korea or the air demand among major cities. There is not much forecast of regional air demand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outbound air travel demand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was analyzed and the fixed-effects model using panel data was proposed as an optimal model that can reflect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etropolitan areas which are difficult to observe in reality. The results of model validation show that panel data analysis effectively addresses the spurious regression and unobserved heterogeneity that are difficult to handle in a model using only a few macroeconomic indicators with time series characteristics. Various statistical validation and conformance tests suggest that the fixed-effects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superior to other econometric models in predicting demand for international demand in the southeastern region.

      • KCI등재

        대전 지역에서 무균성 뇌막염의 역학적 연구(1987-2003년)

        유정훈,이형신,홍자현,이미희,이병철,이경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11

        Purpose:To evaluate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aseptic meningitis in Daejeon, Korea from 1987 to 2003. Methods:A total of 2201 medical records of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admitted to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jeon St. Mary's Hospital, was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The mean annual number of cases was 129, with a higher rate of occurrence in the summer season(May to August, 74.1%). Outbreaks of aseptic meningitis were noted in the years 1990, 1993, 1996, 1997, 2001, and 2002. The age distribution was relatively even, with higher incidences in the 4-7 years group and in the under one year old group. The male-to-female ratio was 2:1. Comparing the epidemics of 1997 and 2002, there were no marked differences in age distribution, except in the less than 1 year old age group(11.8% vs. 4.4%), nor in the monthly incidence. Neurologic complications were found in 0.7% of the patients. Conclusion:Outbreaks of aseptic meningitis occurred every one to three years in Daejeon, reflecting typical nationwide epidemics that occurred from 1987 to 2003. The incidence of disease in the less than 1 year age group during each epidemic may reflect the herd immunity of the maternal generation. 목 적:1987년부터 2003년까지 발생한 무균성 뇌막염의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1987-2003년, 17년 동안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무균성 뇌막염 환아 2201명을 대상으로 입원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별, 연도별, 월별 및 재원기간에 따른 합병증 발생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 과:연간 평균 환아 수는 129명이었으며, 1990년, 1993년, 1996년, 1997년, 1998년, 2001년 및 2002년에 많은 환아가 발생하였다. 하절기(5-8월)에 74.1%의 환아가 발생하였으며, 남녀비는 2:1, 연령은 4-7세가 가장 많았으며(44.1%), 소아 연령 전반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환아 수가 가장 많았던 1997년과 2002년 비교 상, 연령 분포에서 1세 미만 환아 발생률이 1997년에서 더 높았다(11.8% vs. 4.4%). 신경학적 합병증은 16명에서 관찰되어 0.7%를 보였다. 결 론:대전에서 무균성 수막염의 유행은 1990년대 들어 1-3년 간격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국적인 유행과 일치하였다. 각 유행 연도의 연령 분포에서 1세 미만 환아들의 발생 빈도 차이에는 모친 세대의 면역 상태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소아에서 발생한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1례

        유정훈,이병철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1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은 호흡세기관지의 전층을 침범하는 진행성의 만성 염증성 폐질환으로 주로 40대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소아에서는 매우 드문 것으로 되어 있다. 저자들은 수년간의 만성적인 기침과 가래를 주소로 내원한 12세 여아에서 폐결핵으로 치료하였으나 방사선 검사상 호전이 없어, 임상 경과와 고해상도 전산화 단층 검사, 폐기능 검사 및 기관지 조직 검사 등을 통하여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으로 진단할 수 있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소아에서도 만성 기침과 부비동염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흉부방사선 검사상 폐결핵이 의심될 때 미만성 범세기관지염도 감별해야 될 질환의 하나로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iffuse panbronchiolitis(DPB) is a chronic inflammatory airway disease predominantly affecting respiratory bronchioles, with distinct clinicopathological profiles. It was first described in 1966 by Yamanaka et al. The etiology of DPB is not yet clear, and the natural history of the disease is respiratory failure leading to cor pulmonale and ultimately death. But the long-term use of low-dose macrolide has proven to be highly effective in treating patients with DPB. Usual age at diagnosis is over 40. A few cases of DPB have been reported in Korea since 1992 but there have been no reports in children. We experienced a case of DPB in a 12-year-old girl. Therefore, we report the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