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포츠교육학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 교육과정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유정애(JeongAeYou) 한국체육학회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elementary school level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eams of three dimensions. Thee three dimensions are reorganization, students-centered, and diversity that stand for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survey, class observation,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are conducted in three areas. Data from multiple collection methods a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reorganization, students-centered and diversity are described in the four elements(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7th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 level.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re relatively founded at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but the ways how to implement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re not positive and effective.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고등학교 ‘체육과 건강’ 교과서 분석에 따른 교과서 개발의 개선 방향 탐색

        유정애(JeongAeYou)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둥학교 체육과 건강 교과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체육과 건강 선택 과목 교과서는 현재 4종이 개발되어 각 단위 학교에서 활용되고 있다. 체육과 건강 교과서는 국가수준에서 고시된 체육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상의 유의점과 고등학교 2종 도서 검정 기준을 비교하며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대체로 ‘체육과 건강’ 교과서 단원 수준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영역인 개인 운동, 단체 운동, 야외 운동, 체력 운동, 무용, 건강과 운동 처방을 대부분 준수하고 있었고, 장(chapter) 수준에서도 육상, 체조 수영 등으로 제시하여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표의 내용 요소에 준하고 있다. 그러나 절 수준 이하부터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의도하는 구성 체제의 방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과서 개발의 개선 방향 6가지(체육과 교과서 개발 연구 필요 국가교육과정의 정신과 특징 반영, 학습 영역의 통합, 교과서와 지도서의 차별화, 화보와 사진의 제시 성격 전환, 교과서 부록 자료의 다양화 필요)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Textbooks' based on elective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fter the revised elective curriculum is being published. Results showed that most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to reflect the content system such as individual exercise, team exercise, outdoor exercise, fitness exercise, dance, and health and exercise prescription at the level of units and chapters of textbooks. However, in details, it is indicated that the sub-content of the textbooks have constructed regardless of the i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electi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other documents. Finally, it is suggested six directions to develop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electi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왜 스포츠 문화 교육인가?

        유정애(JeongAeYou),김선희(SunHeeKim)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4

        스포츠는 우리 삶에 존재하고 있는 문화 중의 하나이다. 스포츠 문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속에서 스포츠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을 가지고 스포츠에 참여하도록 만든다. 학교 체육의 목적이 학생들의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스포츠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있다면, 스포츠 문화 교육을 학교 체육 교육에 도입하여 강조할 필요가 있다. 스포츠 자체는 체육 교육 내용으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화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스포츠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은 문화적 지식, 행동, 태도를 습득하고 나타내 보이며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이런 의미에서 스포츠 문화 교육은 스포츠 기술 및 전략의 습득뿐만 아니라 스포츠 지식, 덕목, 규범 및 의례 등을 발전시키면서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고 체험하며 수행과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 체육에서는 스포츠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부분적으로 학교 체육에서 스포츠 지식, 덕목, 의례, 정신, 축제 등을 지도하여 왔지만, 체육 교육자들은 이를 스포츠 문화라는 총체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스포츠 문화는 4가지 내용 영역(스포츠 정신 문화, 스포츠 경기 문화, 스포츠 축제 문화, 스포츠 예술 문화)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 영역들은 상호연관성을 맺고 있기 때문에, 체육 수업에서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 지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학교 체육 교육의 내용으로 도입할 수 있는 스포츠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내용 구성과 지도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Sport is one of cultures in our lives. The sport culture makes people to continually participate in sports with a holistic perspective toward 'Sport' in their lives. Thus, if we want our adolescents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various sports in their lives or during their lifetimes as well as to become only healthy people, we have to educate them 'Sport Culture' 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Sport itself encompasses various cultural components that can be selected as educational contents in physical education. Obviously, sport participants acquire, display, and develop cultural knowledge, behaviors, and attitudes in a sport. The purpose of sport culture education is to understand, experience, perform, and appreciate cultural phenomena in a variety of sports, by developing sport knowledge, virtues, beliefs, norms, rituals etc. as well as sport skills and strategies. To date, there is little attention on sport culture as an educational content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Even if sport knowledge, virtues, rituals, rules, sportpersonship, festivals etc. including sport skills and strategies have been educating 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ysical educators have rarely perceived them as cultural components in sports. Sport culture as educational contents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port as the rituals and virtues, sport as a competition, sport as a festival, and sport as an arts. Because these cultural categories in sports are interrelated and interacted, it should be educated in an integrated approach 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a sense, this paper discussed why sport culture education is need, what educational contents in sport culture are necessary, and how they are taught 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학문으로서의 체육, 교과로서의 체육

        유정애(JeongAeYou)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6

        일반적으로 국가수준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개정할 때는 해당 교과의 모학문 지식 체계를 기반으로 논의가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교과에서는 모학문의 지식 체계에 대한 연구와 함께 교과 교육학자들과 교과 내용학자들간의 논의와 소통을 필수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교과 내용에 대한 이 두 집단 간의 시각이 일치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는 학문으로서의 지식과 교과로서의 지식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글은 ‘학문적 입장’과 ‘교육적 입장’에서 체육의 모습을 각각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학문으로서의 체육’과 ‘교과로서의 체육’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앞부분에서는 두 가지 입장에서 바라본 체육의 학문 및 교과 명칭, 학문적 및 교육적 특성, 학문과 교과의 지식 형식과 구조를 살펴보았고, 두번째 부분에서는 학문적 종속성/교육적 독자성, 학문적 지식/교육적 앎, 학문적 개념화/교육적 실천화라는 3가지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글은 학문적 입장에서 체육의 특성과 역할을 다루었던 선행 연구와는 달리, 교육적 입장에서 체육의 정체성, 본질과 특성, 지식의 체계 등을 논의한 것이 특징이다. 오래전부터 학교 교육에서 지식의 문제를 항상 중요하게 다루어왔던 것처럼 이러한 논의와 담론은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Generally, whenever a national curriculum is being revised, discourses based on mother disciplines of all subject matters are being made all the times. For this reason, ongoing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wo groups (content specialists and pedagogy specialists) are inevitable with research on the body of knowledge in each discipline. However, it is common that two groups have not agreed perspectives on contents, because they view the body of knowledge with different angle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physical education with two different positions (one is physical education as a discipline, the other is physic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and to compare two positions in terms of three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part, issues on academic and educational name, academic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and educational forms and structure of knowledge with two positions are discussed. And then comparisons on academic dependency/educational independency, academic knowledge/educational knowing, and academic conceptualization/educational practice are being made in the second part.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discussed physical education as a discipline, this paper tries to give more focus on physic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It is obvious that issues on the body of knowledge in physic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should be solved in order to promote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in comtemporary and future societie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체육진로교육의 방향과 과제탐색

        유정애(JeongAeYou)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6

        그 동안 중학교 교육과정 체제 속에서 체육 분야의 진로교육에 대한 담론은 거의 형성되어 오지 못했다. 주로 학교교육에서 체육진로 교육은 운동선수라는 제한된 진로 교육으로 이루어져왔고, 중학교보다는 고등학교 체육계열 학생들을 위한 체육진로 교육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글에서는 2016년 자유학기제 정식 운영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중학교 체육진로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체육진로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미래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글에서는 자유학기제에서 제안된 체육중점모형의 특성을 소개하고, 자유학기제 ‘체육중점모형’을’체육진로 중점모형’이라는 대안적 명칭으로 제시한 후 이 체육진로 중점모형의 교육적 의미와 구조에 대해 탐색하였다. 또한 체육진로중점모형에 근거하여 일반학생들에게는 융·복합 교육을 통한 체육진로교육과, 학생선수들에게는 역량 계발중심의 체육진로교육이라는 맞춤형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중학교 체육진로교육의활성화를 위한 미래 과제로, 체육진로교육용 진로검사지 개발, e-스포츠커리어넷 개설, 체육진로 전문상담교사 양성및 배치, 교육기부사업을 통한 체육진로체험 지원시스템 구축, 체육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체육진흥법 개정을제안하였다. To date, little attention is given to career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at middle school level. Mostly, career education inphysical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athletic life as only career path in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nd studentathletes in only high school level. In a sen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s of career education inPhysical Education (P.E.) and to suggest future tasks for facilitating career education in P.E. according to free semester systemsince 2016. For doing this, it is add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P.E. model under the free semester system, suggestedalternative terminology like P.E. model in career education,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s & structure of the model. In addition, it is discussed the directions of tailored career education to implement convergence education in career educationfor non-student athletes, as well as to apply competency development based career education for student athletes. Finally, fivefuture tasks are suggested such as the development of career-testing tool in physical education & sports, opening e-sportscareer web-site, the education & placement of sports career teachers, implementing career experiential & supporting systemthroughout educational donation in sports, and revising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law for facilitating careereducation in P.E.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창의성 교육 관점에서 본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과 과제

        유정애(JeongAeYou)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4

        창의성 교육은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학교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던 교육적 관점 중의 하나이다. 그 동안 체육 교과에서는 부분적으로 창의성 교육을 수행하여 왔지만 어떻게 창의성 교육을 실행하여 왔는지, 현행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에는 어느 정도 창의성 교육 관련 내용 요소가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교육 관점에 비추어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의 위치를 분석하고 체육과에서 창의성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체육과 교육과정의 과제를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창의성 교육 내용 분석 기준을 활용하여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창의성 교육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성격부터 평가까지 모든 항목에서 창의성 교육 요소가 부분적으로 반영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창의성 교육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수행해야 할 과제로, 창의적 사고와 함께 창의적 심성을 통합한 창의성 교육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Creativity education is one of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that Korean school education has continuously emphasized. To date, Physical Education as a subject has educated creativity within the past and current national P.E. curriculum document, but there is little known of how the past P.E curriculum. has emphasized and in what extent the 2007 revised national P.E. curriculum has implied on creativ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reativity relevant components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P.E. curriculum document using the analysis criteria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o suggest the task of a national P.E. curriculum in the futur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urrent national P.E. curriculum has included some parts of creativity from introduction to evaluation, but the curriculum document did not include the entire compon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n addition, this paper aims to suggest future task tha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do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creativity education. That is, the task represents the emphasis on creativity education in terms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mind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생의 교양 체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유정애(JeongAeYou),권민정(MinJungKwon),오수학(SuHakOh)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교양체육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국ㆍ공립 및 사립 대학교 총 30개를 선정하고, 교양체육 과목을 수강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양체육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총 1097부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체육에 대한 만족도를 대학생의 개인 배경 변인(성별, 대학유형,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학년 및 전공 계열에 따른 만족도는 모든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대학 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교수 전문성을 제외한 7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고학년(3~4학년) 학생이 저학년(1~2학년) 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국립대 학생이 사립대 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끝으로, 공학계열 학생이 타계열(인문사회, 자연과학, 기타)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physical education as liberal education in Korea. For doing this, total 30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are selected to implement survey that would investigate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courses of physical education as physical education. Total 1097 college students among all collected questionnaires are finally chosen to analyze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physical education are analyzed in 8 items according to sex, university type, grade, and major. The findings have showed tha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items according to sex, grade and major. Moreover,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ven items except for teaching expertise. In conclusion, satisfaction level of males students, juniors and seniors,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nd engineering students have being highly satisfied than females, juniors and seniors, private university students and other major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학생 선수의 학습 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 방향과 과제

        유정애(JeongAeYou)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3

        최근 공부하는 학생 선수를 만들기 위한 국가정책의 대표적인 제도로 소개된 최저학력제는 학생 선수의 학력 향상과 정체성 회복이라는 교육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동시에 이 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과 이견은 아직도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제도의 취지, 운영 및 성과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최근에 더욱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제도의 발전적 진화를 위해서는 바람직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이 담론의 대부분이 사회학적인 이론이나 관점에 치우쳐져 있음을 인식하면서, 보다 다양한 접근 방식과 발전 논리를 위해서는 교육학적 관점과 논리가 함께 병행되어야 함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학생 선수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운영되고 있는 최저학력제의 교육적 한계를 살펴보고, 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공진화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학생 선수의 학습 역량 계발에 필요한 교육적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두 번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학생 선수의 관련 체육 정책을 평가하고 수정 보완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several policie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re being implemented to facilitate studen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nd student athletes’ learning. Among them,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produced meaningful outputs such as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hletes’ academics and the recovery of their identities as students. However, there still exist critiques and disagreements towards this policy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ommunity. This various discourse regarding to this policy is constructive, but the perspectives toward these most discourses are lean to sociology, not educational backgrounds even if students athletes are students themsel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e necessity of paradigm co-evolution after the educational limitations of this polity are discovered and to suggest educational directions and tasks that are inevitable for developing learning competency of students athlete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학교체육 활동의 대학입시 반영에 관한 교육적 의미와 방향 탐색

        유정애(JeongAeYou)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5

        본 글은 우리나라 대학입시에 학교체육 활동이 종합적으로 반영되기를 기대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학교체육활동이 대학입시에 반영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사회문화적 차이로 인해 학교체육활동이 부분적으로,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글은 학교체육 활동이 대학입시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적 의미로는, 학교체육의 정상화 및 내실화, 학생 선발기능에서 사정 기능으로 확장, 다양한 인재 평가 시스템 구축, 고교 교육과 대학 교육의 글로벌 융합 인재 교육의 방향성 제시가 있다. 교육적 방향성의 경우, 공교육 강화를 위한 학교체육활동 국한, 고교 교육과 대학 교육의 연계성 및 형평성 확보, 핵심 역량중심의 학교체육활동 반영이 해당된다. 끝으로, 본 글에서는 학교체육 활동의 대학입시 반영에 관한 교육적 의미와 방향성을 기초로, 대학 입시 전형 내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6가지 내용(체육 기초학습능력, 건강체력, 자기관리능력, 봉사정신, 팀워크, 도전정신)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sionally initiated to improve Korean college entrance system throughout school physical education. Most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systematically implied school physical educa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college entrance system. However,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partially established with non-systematics system unlike those advanced countries. To improve the limit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educational meanings and direction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be included college entrance system. In this paper, four educational meanings such as the normaliz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extension of assessment function,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evaluation tools, and global human resource education for high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were explored. In addition, the educational directions were addressed such as only school physical education for increasing a public education power, the establishment of coherence and equity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key competency-based physical education as a college entrance system. Lastly, six exemplary elements were suggested for most universities that might introduce and apply the elements in their college entrance systems.

      • KCI등재

        체육부장교사의 중간관리자 역할 기대와 역할 수행 탐색

        유정애(JeongAeYou),진연경(YeonKyungJin)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6

        본 연구는 학교조직 내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중간관리자인 체육부장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실제 역할수행 모습을 질적 사례 연구를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명의 경기도 체육부장교사를 의도적 표본추출을 활용하여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및 문서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Pattern, 19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체육부장교사들은 첫째, 부서간의 불분명한 경계와 체육교사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인해 체육관련 업무뿐만 아니라 예능, 환경, 복지와 같은 비체육관련업무 기대도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체육부장교사들은 상급 관리자와의 협상과 체육교사의 위상 수립, 예우와 배려를 위한 과중한 업무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부장교사로서 즐거운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교사들 간의 단합에 대한 개인적 기대가 있었으며, 부서의 계원, 동료교사 및 관리자와의 화합과 협력을 위해 ‘소통의 장 마련’과 ‘부드러운 의사전달 방법 활용’등을 통해 자신의 기대를 충족하고자 노력을 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임체육 부장교사는 업무수행에 있어 책임감으로 인한 부담을, 경력체육 부장교사는 과도한 업무 증가에 대한 부담을 느끼면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explore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novice and experience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head as middle manager at school. For this, two P.E. department heads at two middle schools located at Kyunggi province in Korea are purposely sampl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is made to do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inductive category analysis(Pattern, 1980). In this paper, first, the P.E. department heads are expected to do directly unrelated works, due to unclear boundary among different departments and typical bias toward P.E. teachers at schools. For this reason, first of all, they have performed to do negotiation with school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to establish the status of P.E. teachers within the school, and to do over-loaded work for sacrifice and caring other teachers. Secondly, they as middle managers are expected to make pleasant school culture and to develop teamwork among department members. Thus, they have did their best in their given duties, using ongoing communication and soft delivery methods to bring harmonious teamwork and collaboration among department members, colleagues, and school managers. Ultimately, both novice and experienced P.E. department heads have felt burdens to perform their given roles due to accountability and much workloads in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