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제신체활동설문 (IPAQ)을 이용한 신체활동도에 따른 인천지역 대학생의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이섭취 조사

        유정순(You Jeong Soon),진정희(Chin Jeong Hee),김미정(Kim Mi Jung),장경자(Chang Kyung Ja)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8

        대학생들의 신체활동도를 국제신체활동설문 (IPAQ)을 통하여 조사하고 그에 따른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이섭취 상태를 알아보고자 인천지역 대학교에서 체중조절과 영양 관련 교양강의를 듣는 수강생들을 대상 (남자 243명, 여자 195명)으로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3일간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평균 연령은 각각 23.7세, 21.0세이었으며, 자택에서 거주하는 비율은 남녀 각각 59.3%, 73.3%이며 자취, 기숙사, 하숙이나 친척집에 거주하는 순이었다. 조사대상자의 50% 이상이 21~40만원의 용돈을 받고 있었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와 체중감소를 원하는 경우가 유의적으로 많았다. 대학생의 신체활동도를 조사해 본 결과 남학생은 저 신체 활동군이 11.5%인데 반해 여학생은 30.8%나 되었고, 고 신체 활동군의 경우 남학생은 38.7%, 여학생은 22.6%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신체활동도가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고 신체 활동군의 신장이 저 신체 활동군의 신장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근육량과 기초대사량의 경우 고 신체 활동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남학생과 여학생 각각 46.3%, 58.5%가 평소에 아침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남학생의 59.9%와 여학생의 31.8%는 식사를 빠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저 신체 활동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외식 횟수의 비율이 낮았으며 남녀 모두 외식할 때 기호를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간식은 주 3~7회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남학생은 저녁 이후 (55.6%)에, 여학생은 오후 (57.2%)에 많이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학생의 41.2%, 여학생의 3.6%가 흡연을 하며 남학생의 78.6%, 여학생의 68.2%가 음주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부분이 주 2회 이상 음주를 하고 있었다. 컴퓨터사용 및 TV 시청 시간은 남녀 각각 46%, 34.9%가‘하루에 3시간 이상’이라고 대답하였으며 남학생의 경우 고 신체 활동군에서 자신이 건강하다고 지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해 본 결과 신체활동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열량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필요 추정량의 남녀 각각 74.4%, 80.1% 수준으로 섭취하고 있었으며 단백질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권장섭취량의 150%보다 높았다. 칼슘은 권장량의 40% 밖에 섭취하고 있지 않았으며, 철도 여학생은 섭취 부족의 심각성을 보이는 등 균형 잡히지 못한 식생활 양상을 보여 주었다. 식사의 질을 살펴본 결과에서도 가장 NAR이 낮은 영양소는 남녀 모두 칼슘이었으며 영양밀도 지수 (INQ)의 결과 남학생은 엽산, Vit C, 칼슘이, 여학생은 엽산, Vit C, 칼슘, 철이 1보다 낮았다. 여학생의 경우 저 신체 활동군이 30% 이상이나 되었으나 평균 열량섭취는 필요추정량의 80.1%밖에 섭취하고 있지않았다. 또한 평균 BMI는 정상이고 체지방율은 평균 28%이상으로 높은 편에 속해 최근 논란화 되고 있는 마른비만의 문제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생활은 비타민과 무기질 등의 섭취 불균형으로 인한 각종 질병을 초래할 수 있고, 낮은 기초대사량으로 인하여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비만이 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신체활동의 증가를 동반한 올바른 식습관과 정확한 영양지식을 바탕으로 한 식사섭취를 통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이 더욱 활성화 되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levels.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8 college students (243 males and 195 females) in Incheon area and were divided by gender and by physical activity levels, which included low, moderate and high physical activity groups. The average ag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23.7 and 21.0 years old,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the low physical activity group was 11.5% for males and 30.8% for females and that of the high physical activity group was 38.7% for males and 22.6% for female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obesity in Asia-Pacific region, 39.1% of the males and 64.1% of the female students investigated were in the normal range of BMI and 30.9% of the males and 4.6% of the female students were in the obesity category. However, percent of body fat in the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students. The soft lean mass of the high physical activity group was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the low physical activity group, frequency of “eating out” wa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average consumption of energy was 74.4% for males and 80.1% for females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The mean intakes of vitamin C, vitamin B2, folic acid and Ca were 67.3%, 84%, 52.7% and 36.7% for males and 64.8%, 99.9%, 51.1% and 40.1% for females of recommended intake (RI),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obesity prevention as well as health promotion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nd to eat an adequate, balanced diet in femal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전지역 초등학교 6학년생의 성별과 아침 결식에 따른 영양지식 및 식행동

        유정순(You Jeong Soon),김선미(Kim Sun Mi),장경자(Chang Kyung Ja)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3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실태를 살펴보고 아침결식 여부에 따른 아침식사 관련 영양지식과 식행동, 수면 및 운동시간, 스트레스, 학업성적, 교우, 체형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2007년 12월에 대전지역 초등학교 6학년생 237명 (남자 119명, 여자 118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침식사를 일주일에 6~7회하는 아침식사군은 58.6%, 0~5회 하는 아침결식군은 41.4%로 조사되어 다른 연구들보다 높은 결식 실태를 보여주었다. 가족형태는 핵가족이 84.4%로 가장 많았고, 출생 순위는 첫째와 둘째라고 대답한 경우가 46% 정도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직업을 가지고 있는 어머니의 비율이 63.8%이었고 가족의 월수입은 200~400만원에 해당하는 경우가 51.1%로 가장 많았는데 아침결식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 아동의 79.8%가 밥을 포함한 한식의 형태로 아침식사를 하고 있었고 아침식사군에서 한식 형태로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아침결식을 하는 이유로‘입맛이 없어서’와‘시간이 없어서’의 대답이 가장 많았으며 아침식사군에서 가족 모두 아침을 먹는 비율이 아침결식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침식사 관련 영양지식의 점수는 여학생의 영양지식 총점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남학생에서 아침식사군의 영양지식 총점이 아침결식군보다 높았다. 남학생의 경우 아침식사와 체중조절과의 관계 1문항, 아침식사의 중요성과 역할에 관한 3문항의 점수가 아침결식군보다 아침식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아침결식의 위해성과 아침식사 내용에서 한식의 영양적 우수성에 대한 항목은 점수가 0.5정도로 낮았다. 식행동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아침식사군이 아침결식군보다 더 높은 식행동 점수를 보여 일반적인 식행동도 아침식사군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아침결식군에서 6시간 이하로 수면을 취하는 아동의 비율은 아침식사군보다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 아침결식군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비율이 높았고, 학업이 낮다고 대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친구가 많다고 대답한 비율이 아침식사군보다 낮았다. 그러므로, 학동기 아동의 아침결식은 육체적 문제뿐 아니라 정신적인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아침결식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올바른 생활습관을 통하여 아침식사 시간을 확보해야 하며, 가족모두 아침을 먹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아침에 입맛이 없는 어린이의 식욕을 돋우어 줄 수 있는, 한식 형태의 영양적이고 간편한 아침식단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양교육 시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침결식을 하는 아동들은 다른 식행동도 바람직하지 못한 경향이므로 아침식사의 중요성과 아침결식의 위해성을 강조하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knowledge related to breakfast and dietary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ender and skipping breakfa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tal 237; 119 males and 118 females) in Daejeon. The group who ate breakfast six to seven times per week was 58.6%; The group who ate breakfast zero to five times per week was 41.4%. Most of subjects’ families (84.4%) were ‘nuclear family’ and 63.8% of mothers held job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mily income and skipping breakfast. As for the type of breakfast, 79.0% of the male students and 81.4% of female students answered ‘cooked rice’ and the reasons for skipping breakfast were ‘no appetite’ followed by ‘not enough time’, ‘over sleeping’. In the eating breakfast group,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with family was higher compared to the skipping breakfast group. Total scores of nutritional knowledge related to breakfast in the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ale students.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such questions as ‘the relation between eating breakfast and body weight control’ and ‘importance of breakfast’ by skipping breakfast. The dietary behavior scores of the group who ate breakf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ho skipped breakfast. Therefore, a need exists to develop and distribute a simple breakfast menu that contains Korean-style food and can be more appetizing and appealing to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ic awareness program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reakfast and the harmfulness of skipping breakfast.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능성 변비를 가진 여대생의 식습관, 생활 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유정순(You Jeong Soon),박지연(Park Ji Yeon),장경자(Chang Kyung Ja) 韓國營養學會 201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3 No.6

        본 연구는 기능성 변비를 가진 여대생들의 식습관, 생활스트레스,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한 후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인천지역 대학교에서 건강관련 교양 강의를 듣는 여대생을 대상 (265명)으로 설문조사와 신체계측을 실시하였다. 기능성 변비의 기준은 로마기준 II를 이용하였으며, 정상군은 179명 (67.5%), 기능성변비군은 86명 (32.5%)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8세, 자택에서 거주하는 비율은 69.8%로 가장 많았으며 20~40만원을 받고 있는 학생이 전체의 61.1%이었고 변비 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습관 점수를 살펴보면 식품섭취의 다양성에 관한 항목은 변비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나머지 항목들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변비군과 정상군 모두 채소류 섭취와 유제품 섭취에 관한 점수가 가장 낮았다. 스트레스 점수는 교수 문제, 학업 문제, 경제 문제, 가치관 문제와 총 합계 점수에서 변비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건강관련 삶의 질을 SF-36을 통해 살펴본 결과 변비군의 평균은 70.4점, 정상군의 평균은 74.3점으로 변비군의 삶의 질이 정상군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고, 8개의 항목 중 신체적 역할 제한 영역, 감정적 역할 제한 영역 또한 변비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기능성 변비를 가지고 있는 여학생들의 식습관 점수, 생활 스트레스 점수,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생활 스트레스 점수는 식습관 점수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 (r = -0.221, p < 0.05)를 보여 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식습관 점수가 낮았고, 스트레스와 건강관련삶의 질 간에도 부적 상관관계 (r = -0.539, p < 0.001)를 보여 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로 볼 때 기능성 변비를 가진 경우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도록 교육하고,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도록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study purpose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among dietary habits score, life stress sco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L) scor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FC). The data were collected in 2008 from 265 female college students: 86 with FC and 179 without FC. The diagnosis of FC was based on the Rome II criteria, and life stress and HRQL were assessed using self-administered life stress questionnaire and SF-36, respectively. The correlations among dietary habit score, life stress score, and HRQL score were evaluated. The averages of age,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mass index (BMI)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20.8 years, 160.9 ㎝, 53.7 ㎏, 27.8%, and 20.7 ㎏/㎡, respectively. The average dietary habit score of “having meals with diverse food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C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p < 0.05). The average faculty problem (p < 0.05), grade problem (p < 0.05), economy problem (p < 0.05), value problem (p < 0.05), and total stress (p < 0.01) scores of the F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The average HRQL score was 70.4 in the FC group and 74.3 in the normal group (p < 0.05).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otal stress score and total food habits score (r = -0.221; p < 0.01) and HRQL score (r = -0.539; p < 0.01) in the FC.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students with FC are highly perceptive to stress and have low HRQL. In addition, female students with FC may require nutritional education about eating diversity.

      • KCI등재

        인천지역 대학생의 변비유병률, 배변습관 및 영양소섭취

        유정순(You Jeong Soon),진정희(Chin Jeong Hee),장경자(Chang Kyung Ja)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8

        대학생들의 변비유병률과 배변습관을 알아보고 영양소섭취 상태를 알아보고자 인천지역 대학교에서 건강관련 교양 강의를 듣는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남자 166명, 여자 187명)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3일간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학생 23.5세, 여학생 20.9세이었으며, 자택에서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자취, 기숙사, 하숙이나 친척집에 거주하는 순이었다. 남학생의 63.9%, 여학생의 63.1%는 21~40만원의 용돈을 받고 있었고 지난 2개월 동안 남학생의 45.2%, 여학생의 47.1% 는 체중을 유지하고 있었다. 로마기준 Ⅱ를 이용하여 조사한 기능성 변비유병률은 남 녀 각각 12.7%, 28.9%, 자의적 변비 유병률은 남녀 각각 12.0%, 36.9%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사항에 따른 기능성 변비와 자의적 변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자의적 변비 중 남학생의 35.0%, 여학생의 44.9%만이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하였고, 본인은 변비가 아니라고 응답했지만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한 경우는 11.4%이었다. 본인이 변비라고 인식하는 경우 남학생의 94.7%, 여학생의 91.0%는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험이 없었고 남학생은 모두 변비약이나 건강 기능식품을 이용하고 있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변비 완화를 위해 10.3%가 변비약, 11.8%가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고 있었다. 배변습관 조사 결과 남학생의 75.3%, 여학생의 40.1% 는 주 5회 이상 배변을 하고 있었고, 변의 양은 2 cup 이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남학생은 93.4%, 여학생은 75.9% 로 남학생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남녀 모두 대상자의 70% 정도가 배변 후 상쾌하다고 하였으며 남학생의 49.4%, 여학생의 24.6%만이 규칙적으로 배변을 하였다. 신체계측치와 영양소 섭취량 분석 결과 기능성 변비와 자의적 변비 유무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의 경우 성별이나 변비 유무와 상관없이 RI에서 UL 사이로 섭취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EAR보다 낮게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타민 C, Vit B₂, 엽산, 칼슘, 아연의 섭취는 EAR 이하로 섭취하는 비율이 모두 50%를 넘어 영양소의 섭취량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엽산은 남녀 모두 95% 이상이 EAR 이하로 섭취하고 있어 섭취 부족이 심각하였다. 변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이섬유 섭취량은 1,000 kcal당섭취량으로 환산에 남학생은 8.5 g, 여학생은 8.9 g으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식이섬유 충분섭취량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여학생의 경우 기능성 변비의 유병률은 28.9%, 자의적 변비의 유병률은 36.9%로 조사되었는데, 본인은 변비가 아니라고 응답했지만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한 경우도 13.6%이며 본인이 변비라고 응답한 경우의 대다수는 의료기관 방문이나 약물, 기능성 식품 섭취 같은 노력도 하지 않고 있어 만성적 변비로 인한 질병의 위험이 우려된다. 또한 식이섬유 섭취를 비롯한 각종 영양소들도 균형 있는 섭취를 하고 있지 않아 이후 다가올 임신기와 수유기의 영양문제로 이어질 것이므로 올바른 영양섭취를 비롯한 적절한 영양교육이 활성화 되어야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bowel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353 college students (166 males and 187 females) aged 19 to 29 years in Incheon area.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bowel habits and dietary intake using questionnaires during march, 2008 and the prevalence of functional constipation (FC) was based on the Rome Ⅱ criteria. The prevalence of FC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12.7% and 28.9%,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self-reported constipation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12.0% and 36.9%, respectively. Both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Among the subjects that have self-reported constipation, proportions of FC were 35.0% in male students and 55.1% in female students. Of subjects that did not self-reported constipation, the proportions of FC were 9.6% in male students and 13.6% in female students. Over 90% of respondents that self-reported constipation in male students, had neither visited a hospital and nor used laxatives or functional foods for constipation relief. Seventy five point three percent of male students, and 40.1% of female students, had a defecation frequency of over 5 times per week (p < 0.001). Ratios intaken under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of Vit A, Vit C, folic acid and Ca were over the 50% regardless of functional constipation. Mean daily consumption of total dietary fiber was 15.0 g/day in male students and 13.5 g/day i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se results, both functional constipation and self-reported constipation are more frequent i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in case-control study and related to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nutrients to relieve of constipation.

      • KCI등재

        학교급식 영양교사와 영양사의 역할갈등,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 비교 : 영양교사와 영양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Chin Jeong Hee,유정순(You Jeong Soon),장경자(Chang Kyung Ja) 한국영양학회 201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fferences in role conflict, self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perceived by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 total of 335 female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from Incheon area were survey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 November 2010.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15.0.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tested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Student's t-test, the chi-square test, and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nutrition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dietitians. The effect of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fo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In addi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were influenced by their annual salaries. The frequency of meals served also affected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the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nd the effect of job involvement by the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was different according to meal service typ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for resolving role conflicts among school foodservice specialists and improve their self-efficacy for enhancing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quality of school food service. These efforts may contribute to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food service specialists and ultimately to the productivity of food service and the establishment of food service specialist r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